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Ⅰ. 구석기문화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1) 구석기유적의 분포

 우리 나라의 구석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광복 이전인 1935년 두만강가에 있는 종성 동관진(온성 강안리)유적의 상삼봉에서 비롯한다. 그 곳에서는 홍적세(기)의 하이에나속·말사슴·들소와 코뿔이(소) 등의 뼈화석이 출토되었다. 그 뒤에 이어지는 동관진유적의 조사보고는 당시의 연구수준과 시대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상당히 높은 단계에서 고생물학적 조사연구, 층위의 구분 시도, 석기와 뿔연모의 수법, 형태에 관한 고고학적 분석, 화석의 정도(化石度)가 연구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지사관으로 그릇된 역사인식의 논리 때문에 부정되었고, 이와 같은 부정 일변도의 자세는 광복이 된 다음에도 계속되어 왔다.

 이와 같이 우리의 구석기연구는 처음부터 잘못된 시대상황 아래에서 이루어져 왔기에,「구석기」에 관한 보다 적극적인 해석과 이해가 편견 속에 묻히게 되어, 구석기학사에서「잃어버린 시간」으로 되어버렸다. 그로 말미암아 우리의 구석기문화 연구는 그 시대와 문화의 부정에 대한 긍정의 답이 되는 것이고, 그것은 우리 역사의 상한을 신석기시대에서 구석기시대로 올려 놓는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 학문의 장을 세계로 펼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부정 속에서 출발한 석장리유적이 지니는 의의와 위치는 매우 크다 하겠다. 이 유적을 10년간에 걸쳐 연차사업으로 조사·발굴하여 구석기연구에 씨를 뿌리고 자라게 하여 결실을 거둘 수 있게 된 사실은 우리 나라 구석기의 학사적인 입장에서도 그 위치를 높이 살 만하다.

 광복 이후 우리의 손으로, 자생적으로 시작한 구석기유적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많은 성과를 얻어, 남북한을 통틀어 30개 이상의 유적이 발굴되었으나, 분단으로 인하여 남북한이 제각기 따로이 조사·연구를 전개함에 따라, 우리 나라 구석기유적의 연구에 대한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그럼에도 구석기유적의 발굴 계기가 된 선봉 굴포리유적(1963∼1964년 발굴)과 공주 석장리유적(1964∼1974·1990·1992년 발굴)이 모두 한데유적이라는 점과, 같은 시기에 우리의 손에 의해 조사되었다는 점이나, 층위유적이면서도 집터(굴포 1기, 석장리 1지구 1호 집터)유적을 찾아 보고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연구과정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10년간 연차 발굴로 조사된 석장리유적조사는 바로 동굴유적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었는데, 그렇게 하여 찾게 된 유적이 제천의 점말 용굴이었다. 이 유적이 있는 충북 일원에는 조선계와 옥천계로 발달된 석회암지대가 잘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질구조에는 자연동굴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석회암동굴은 층위가 분명히 구분되고, 동·식물상의 자료들이 잘 분포되어 있는 이점이 있어서, 이 용굴의 발굴 계기는 구석기문화에 대한 관심을 석기 중심에서 고동물·고식물 등의 자연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방향으로 진전되게 하였다. 이 연구가 계속되면서 충북지방의 석회암동굴에 깊은 관심이 모아져, 청원 두루봉동굴을 비롯하여 단양지방의 상시바위그늘·금굴·구낭굴 등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한편 충주댐이 건설되는 남한강의 수몰지역에도 집중적인 조사로, 단양 수양개·제천 창내·명오리 큰길가 등의 한데유적과 단양 금굴의 동굴유적이 발굴되어, 이 지역에는 동굴유적과 한데유적이 어우러져 밀집되어 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발굴로 밝혀진 연구결과로는 유적의 밀집성뿐만 아니라, 이미 멸종된 동물화석을 포함하여 많은 화석자료들이 출토되어 우리 나라는 물론 아시아 구석기학계에 훌륭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들 유적의 가장 밑층에서부터 전기·중기·후기 구석기 등의 문화층들이 층위로 있음이 밝혀지고,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전기 구석기(단양 금굴)유물들이 출토되면서 시원적 성격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동굴유적에서는 거의 동굴마다 사람뼈가 출토되어, 우리 겨레의 뿌리(고인류)연구에 더할 수 없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서, 위와 같은 성격과 문화적 특징들은 국가에서 설정한 중원문화(권)의 핵심적인 성격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1970년대 후반에 찾게 된 임진강(한탄강)유역의 전곡리유적은 국가차원에서 실시하여 여러 기관이 조사에 참가하는 대규모의 발굴이었다. 아슐리안계통의 훌륭한 주먹도끼가 다량으로 출토되어서 더욱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고, 또한 이 유적을 중심으로 하여「전곡리문화」라는 독특한 학문성과를 얻게 되었다. 이 조사에 참가한 조사자들의 관심은 부근으로 확대되어, 파주 금파리와 주월리 등의 한데유적에서 좋은 석기와 유구를 발굴하는 개가를 올리게 된다.

 1980년대 중반에 곡성 제월리의 구석기유물에 대한 보고가 있은 후, 섬진강에 건설되는 주암댐수몰지역 조사로 승주 곡천유적에서 구석기문화층이 보고되었으며, 승주 금평·화순 대전 등지에서 잔석기(細石器)문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화순 대전유적에서는 완전한 집터까지 발굴되어 학계의 관심을 끌게 되고, 이것은 이전 복원되었다. 이 문화적 성격은 거창 임불리·부산 해운대 등지에서도 찾아져, 남부지역에 잔석기문화전통이 넓게 펼쳐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 특징은 일본 규슈지방과도 연결되어 앞으로 연구가 주목된다.

 한편 북한에서는 선봉 굴포리조사 이후, 상원 강둑을 보수하는 공사과정에서 찾게 된 상원 검은모루유적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고동물화석자료와 함께 석기가 발굴되면서, 동굴조사에 모든 관심을 쏟게 된다.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동굴조사운동을 벌여 200개 이상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조사는 평양이 문화와 역사의 발상지 또는 기원지라는 주장을 펴면서, 평양을 중심으로 발달된 상원계의 석회암동굴만 발굴하였는데, ’70년대 조사된 지역으로 상원 청청암, 덕천 승리산, 평양 대현동·만달리 등과, ’80년대의 용곡동굴·승호동굴을 대표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조사들로 석회암동굴유적에서 주로 출토되는 많은 고동물화석과 고인류화석의 발굴은 북한 구석기학계의 큰 특징으로 지적되겠다.

 이렇듯 우리 나라의 구석기유적은 주로 대동강유역과 남한강 일대에 밀집되어 출토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아울러 금강·한탄강·섬진강가와 경기도·강원도의 내륙지역에서도 구석기유적이 찾아져 우리 나라의 전역을 분포의 범위로 보아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지도 1>). 이러한 점에서 우리 나라의 구석기시대에는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땅의 전지역에서 삶을 꾸려 나갔던 것으로 짐작된다.

<지도 1>우리 나라 구석기유적 분포도

 그러면 여기에서는 발굴·보고된 구석기유적 가운데 성격과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고찰해 보겠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