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Ⅱ. 고조선1. 고조선의 국가형성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1. 한국 고대의 정치발전 단계론
        • 2. 국가 형성 이론의 한국사 적용문제
        • 3. 초기국가의 성격
          • 1) 국가 기원 및 형성이론
          • 2) 군장사회와 국가
      • Ⅱ. 고조선
        • 1. 고조선의 국가형성
          • 1) 고조선의 건국신화
          • 2) 동이족과 그 문화권
            • (1) 지석묘문화
            • (2) 비파형청동단검문화
          • 3) 고조선의 주민과 예맥
          • 4) 고조선의 건국연대
          • 5)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 (1) 고조선의 위치문제
              • 가. 대동강중심설
              • 나. 요동중심설
              • 다. 중심지이동설
            • (2) 문헌에 나타난 고조선의 영역
              • 가. 춘추전국시기 고조선의 영역
              • 나. 진의 중국통일과 고조선의 영역
              • 다. 한과의 관계와 위만조선의 영역
        • 2. 고조선의 변천
          • 1) 고조선사회의 국가적 성장
          • 2) 위만조선의 성립과 변천
            • (1) 위만조선의 성립
            • (2) 위만조선의 국가적 성격
          • 3)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4) 한사군의 설치와 그 변천
            • (1) 한사군의 설치와 구성
            • (2) 한사군의 성격과 변천
        • 3. 고조선의 문화와 사회 경제
          • 1) 고조선 전기와 청동기문화
            • (1) 비파형동검 이전의 청동기문화
            • (2) 비파형동검시기의 고조선문화
              • 가. 비파형동검이 쓰이나 고조선이 출현하지 않은 시기(기원전 11세기∼9세기)
              • 나. 고조선 초기(기원전 8∼7세기)
              • 다. 고조선 중기(기원전 6∼4세기)
              • 라. 주변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
          • 2) 후기 고조선과 철기문화(기원전 4∼2세기)
            • (1) 기원전 4세기 고조선지역
            • (2) 기원전 3∼2세기의 철기문화
              • 가. 세죽리-연화보유형의 문화
              • 나. 기원전 3∼2세기의 세형동검문화
          • 3) 고조선의 사회경제
            • (1) 사회성격
            • (2) 경제성격
              • 가. 조공무역
              • 나. 명도전
      • Ⅲ. 부여
        • 1. 부여의 성립
          • 1) 부여사의 성격
          • 2) 부여의 기원과 건국설화
            • (1) 부여 명칭의 기원
            • (2) 부여족의 기원
            • (3) 부여의 선주민문화와 한대 부여문화
            • (4) 건국 연대
          • 3) 부여의 영역과 지리적 특성
            • (1) 3세기 부여의 영역
            • (2) 부여국 왕성의 위치
              • 가. 부여국 전기의 왕성
              • 나. 부여국 후기의 왕성
        • 2. 부여의 성장과 대외관계
          • 1) 부여의 성장
            • (1) 부여의 기원(부여·북부여·동부여)
            • (2) 부여의 성장
          • 2) 부여의 대외관계
            • (1) 고구려와의 관계
            • (2) 중국과의 관계
            • (3) 부여의 쇠퇴와 부흥운동
        • 3. 부여의 정치와 사회
          • 1)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통치조직
          • 2) 사회와 경제
            • (1) 신분제도
            • (2) 법률과 형벌
            • (3) 경제생활
        • 4. 부여의 문화
          • 1) 신앙과 제의
          • 2) 생활 풍습
          • 3) 예술-건축, 공예, 기타
      • Ⅳ. 동예와 옥저
        • 1. 동예의 사회와 문화
          • 1) 동예의 위치와 변천
          • 2) 동예의 사회와 문화
        • 2. 옥저의 사회와 문화
          • 1) 옥저의 위치와 변천
          • 2) 옥저의 사회와 문화
      • Ⅴ. 삼한
        • 1. 삼한의 정치와 사회
          • 1) 진국과 삼한
          • 2) 삼한의 정치
            • (1) 소국의 정치권력
            • (2) 소국연맹체의 형성
          • 3) 삼한의 경제와 사회
            • (1) 농경생활
            • (2) 교역활동
            • (3) 계층 분화
        • 2. 삼한의 문화
          • 1) 삼한의 생활과 풍속
          • 2) 삼한의 유적과 유물
            • (1) 철기
            • (2) 토기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고조선의 주민과 예맥

 우리 민족의 선조로 중국의 사서에 종종 등장하는 예맥문제에 관해서는 문헌 자체에 대한 고증과 해석의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이 개진되어 왔다.166) 이들 예맥으로 나타나는 존재는 우리 민족 형성의 근간이 되었으며 특히 고조선 주민구성의 중심적 존재라는 점에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 문헌에 나타나 있는 우리 민족에 대한 최초의 지칭어는 ‘濊貊’·‘濊’·‘貊’ 등으로서 西周 초기부터 중국측 문헌에 보인다. 우리 학계에서는 동북아시아 민족이동의 관점에서 고아시아족과 알타이어족의 이동을 염두에 두고, 청동기문화의 주역으로서 예맥족이 신석기문화의 담당주민이었던 고아시아족을 흡수·통합하는 과정이 우리 민족의 형성과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167) 이에 대해 북한학계는 구석기인의 인골분석 등을 통하여 한민족의 체질적 특징은 한반도와 만주의 구석기시대 사람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들의 후손이 계속 성장하여 한민족을 출현시켰다고 보고 있다.168) 또한 우리 학계에서도 주민 교체에 의한 문화변천이라는 기왕의 주장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다.169) 한민족의 형성과정에 관한 여러 견해 가운데 한반도 본토기원설에 입각한 단일민족설은 보다 구체적인 자료검토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기왕의 견해에 대한 일부 비판만으로 새로운 주장을 내세우는 것 역시 아직 미흡하다는 느낌이 든다.170)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예맥이라는 표현이 單稱인지 또는 連稱인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란이 있었지만 대체로 예와 맥의 연칭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한반도와 요령·길림성 등 현재의 중국 동북지역에 살고 있던 주민으로서 구체적으로 예족은 길림지역의 송화강 및 嫩江유역과 한반도 일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맥족은 산동과 요동 및 한반도에 분포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들 예·맥은 이후 고조선·부여·고구려 등의 역사체 형성의 근간이 되었다. 이들 예맥의 분포범위와 존재시기는 고고학상으로 비파형동검문화의 연대 및 범위와 일치하므로 이들 예·맥족이 바로 고조선을 구성한 중심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선진문헌에서부터 濊와 貊의 표기는 동일음을 취하여 여러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濊는 穢·薉·獩·蘂 등으로, 貊은 貉·狢·栢·沐 등으로 쓰기도 하였다.171) 예맥에 관한 사료로 선진문헌에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다음 의 자료이다.

커다란 저 韓의 城은 燕의 백성들이 완성시킨 것.

선조들이 받으셨던 명을 받들어 수많은 오랑캐들을 다스리신다.

왕께서는 韓의 侯에게 追와 貊을 하사하셨다.

북쪽의 나라들도 모두 다 받아 그 곳의 우두머리가 되셨다.

(≪詩經≫大雅 韓奕篇)

 이 구절에 보이는 韓은 우리와는 무관한 존재이며 관심의 대상은 追와 貊이다. 추는 ‘되’·‘퇴’의 음을 갖고 있으며 濊의 본음도 ‘회’·‘외’이기 때문에 이는 同音異字로 파악된다.172) 따라서 ‘추’는 곧 ‘예’를 지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선진시대 문헌에 나타나 있는 표현들173)을 보면 예와 맥은 따로 나뉘어져 언급되고 있다.174) 그러므로≪詩經≫한혁편에 나오는 추와 맥은 바로 예와 맥을 일컫는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같이 예맥은 일찍부터 중국에 알려져 있었는데 이 시기 예맥의 지리적 위치는≪管子≫에 나타난 사료로 보아 山戎·孤竹·令支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桓公… 북으로 孤竹과 山戎과 濊貊에 이르렀다.

(≪管子≫小匡篇)

 이는 예맥이 燕의 동북인 산융의 동쪽에 있었다는 내용으로 예맥의 중심지가 어디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呂氏春秋≫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맥이 ‘北海之東’으로 언급되어 있어 그 위치가 요령지역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같이 예맥에 관한 초기 기록은 예맥이 종족명칭으로서 고조선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비파형동검문화가 분포한 지역의 주민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예맥 관련 명칭이 구체적으로 중국사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漢代 이후의 문헌이다.

① 북쪽으로는 烏丸·夫餘와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穢貉·朝鮮·眞番에서 利를 취했다(≪史記≫권 129, 列傳 69, 貨殖).

② 여러 左方의 王將들은 동쪽에 위치해 있는데 上谷을 거쳐 곧바로 가면 동으로 穢貊·朝鮮과 맞닿는다(≪史記≫권 110, 列傳 50, 匈奴).

③ 彭吳가 예맥조선을 물리치고 滄海郡을 설치하자 燕과 齊의 사이가 모두 들고 일어났다(≪漢書≫권 24 下, 志 4 下, 食貨).

 이들 사료에서는 예맥이 夫餘·朝鮮과 함께 언급되어 있는데 특히 ‘濊貊朝鮮’이라는 연칭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즉 이전까지의 조선이라는 명칭은 지역적 성격이 강한 표현이었는데, 새로이 등장하는 예맥조선이라는 표현은 종족명칭이 부가되었다는 점에서 ‘예맥족이 사는 조선’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75) 즉 예맥은 기본적으로 고조선을 구성하는 중심 종족으로서 중국의 동북방면에 위치한 조선지역에 존재하였다는 사실이 한대에는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 시기 예맥의 구체적 위치는≪史記≫匈奴列傳에서 흉노가 東胡를 멸망시킨 다음 동쪽에서 예맥조선과 접했다고 한 사실을 통하여 흉노와 인접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後漢書≫나≪三國志≫등에 나타나는 예맥은 부여와 고구려의 先住種族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예맥족이 지역적으로 각각 성장하는 과정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가장 초기에 요하유역의 세력이 고조선으로 구체적인 정치체를 형성하였고 이후 지역적 분화를 통하여 부여와 고구려 등의 후속 정치체로 이어졌다고 해석되고 있다.

166)金庠基,<韓·濊·貊移動考>(≪史海≫1, 1948;≪東方史論叢≫, 서울大 出版部, 1974, 366쪽).

―――,<東夷와 淮夷·西戎에 대하여>(≪東方學志≫1·2, 1954·1955;≪東方史論叢≫서울大 出版部, 1974).

金廷鶴,<韓國民族形成史>(≪韓國文化史大系≫I,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64).

尹武炳,<濊貊考>(≪白山學報≫1, 1966).

三上次男,<東北アジアの古代文化と穢人の民族的性格>(≪古代東北アジア史硏究≫, 吉川弘文館, 1966).

文崇一,<濊貊民族文化及其史料>(≪中央硏究院 民族學硏究所集刊≫5, 1958).

金貞培,<韓國民族과 濊貊>(앞의 책, 1973).
167)金貞培, 앞의 책(1973), 5∼45쪽.

―――,<韓民族의 起源과 國家形成의 諸問題>(≪國史館論叢≫1, 1989), 2∼14쪽.

金元龍, 앞의 책(1986), 66∼67쪽.
168)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조선사람의 기원과 인종적 특징>(≪조선전사≫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307∼360쪽.

장우진,≪조선사람의 기원≫(사회과학출판사, 1989).
169)李鮮馥,<신석기·청동기시대 주민교체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韓國古代史論叢≫1, 韓國古代社會硏究所, 1991), 41∼66쪽.
170)金貞培, 앞의 글(1989), 14쪽.
171)金貞培, 앞의 책(1973), 24쪽.
172)金庠基, 앞의 책.
173)≪逸周書≫王會解 “稷愼大塵 穢人前兒 良夷在子.

≪尙書≫권 6 “華夏蠻貊 罔不率俾 恭天成命.

≪詩經≫魯頌篇 “淮類蠻貊”.
174)金貞培, 앞의 책(1973), 25쪽.
175)도유호,<예맥조선에 대하여>(≪문화유산≫6, 1962).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