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8권 삼국의 문화Ⅱ. 불교와 도교2. 도교2) 도교사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1. 고구려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2. 백제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3. 신라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4.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관계
          • 1)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갈등
          • 2)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융화
          • 3) 토착신앙과 불교의 교대
      • Ⅱ. 불교와 도교
        • 1. 불교
          • 1) 고구려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
            • (3) 불교신앙
            • (4)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승려들
            • (5) 백제·신라에서 활약한 승려들
          • 2) 백제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과 불교신앙
            • (3) 백제불교의 일본 전파
          • 3) 신라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불교공인의 실상
            • (3) 진흥왕대의 불교
            • (4) 미륵신앙의 양상
            • (5) 신라 불국토설의 내용과 대두 시기
            • (6) 중고시대의 고승
            • (7) 불교의 대중화
          • 4) 가야의 불교
        • 2. 도교
          • 1) 도교의 전래와 수용기반
          • 2) 도교사상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Ⅲ. 유학과 역사학
        • 1. 역사개념의 출현
        • 2. 유학과 역사학의 관련
        • 3. 삼국의 유학
        • 4. 삼국의 역사편찬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Ⅳ. 문학과 예술
        • 1. 언어와 문학
          • 1) 언어
            • (1) 고구려어·백제어·신라어
            • (2) 삼국 언어의 상호관계
          • 2) 시가
            • (1) 한국시의 생성과 노래의 집단성
            • (2) 창작적 노래의 출현과 민족의 발견
            • (3) 삼국의 시가와 한국시의 전통
        • 2. 회화
          • 1) 고구려의 회화
          • 2) 백제의 회화
          • 3) 신라와 가야의 회화
        • 3. 서예
          • 1) 고구려의 서예
          • 2) 백제의 서예
          • 3) 신라의 서예
        • 4. 조각
          • 1) 청동기시대의 조각
          • 2) 삼국시대의 조각
            • (1) 일반 조각
            • (2) 불교조각
        • 5. 공예
          • 1) 금속공예
            • (1) 금속공예의 종류
            • (2) 금속공예의 기법과 공예품
            • (3) 금속제 그릇들
            • (4) 삼국시대의 동경
          • 2) 유리공예
          • 3) 도자공예
            • (1) 고구려의 토기와 도기
            • (2) 백제의 토기
            • (3) 신라의 토기
          • 4) 목칠공예
        • 6. 건축
          • 1) 사원건축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2) 궁실·연못
            • (1) 궁실
            • (2) 연못
          • 3) 성곽
            • (1) 고구려 성곽
            • (2) 백제 성곽
            • (3) 신라 성곽
            • (4) 가야 성곽
            • (5) 삼국 및 가야 성곽의 성격
        • 7. 고분
          • 1) 고구려 고분
            • (1) 적석총
            • (2) 봉토석실분
          • 2) 백제 고분
            • (1) 토광묘
            • (2) 토축묘
            • (3) 주구토광묘
            • (4) 적석총
            • (5) 석곽묘
            • (6) 옹관묘
            • (7) 화장묘
            • (8) 석실분
            • (9) 전축분
          • 3) 신라 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적석목곽분
            • (4) 횡혈식 석실분
          • 4) 가야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석실분
          • 5) 원방형분
        • 8. 음악
          • 1) 향악의 기원과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1) 한민족의 기원문제와 향악
            • (2)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2) 삼국시대의 음악문화
            • (1) 고구려
            • (2) 백제
            • (3) 가야와 신라
          • 3) 삼국시대의 해외음악활동
            • (1) 중국에서의 고려악
            • (2) 일본조정에서의 삼국악
        • 9.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 무예
            • (2) 놀이
      • Ⅴ. 과학기술
        • 1. 한국 과학기술의 형성
        • 2. 고구려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천문도를 만들다
            • (2) 천문관측제도와 활동
            • (3) 기상 관측
          • 2) 산업기술 및 생활과학
            • (1) 고구려척과 축조기술
            • (2) 금속기술
            • (3) 연단술
            • (4) 도구와 기계장치
          • 3) 의약학
          • 4) 지도의 제작
        • 3. 백제의 과학과 기술
          • 1) 천문학과 역산학
          • 2) 지리학과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의 혁신
            • (2) 토목기술
            • (3) 금속기술
            • (4) 요업기술
        • 4. 신라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를 세우다
            • (2) 천문기상 관측
          • 2)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
            • (2) 금속기술
            • (3) 요업기술
            • (4) 그 밖의 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의생활의 기본구조
            • (1) 관모와 머리모양
            • (2) 저고리(유)
            • (3) 바지(고)
            • (4) 치마(상)
            • (5) 두루마기(포)
            • (6) 대
            • (7) 신(이·화)
          • 2) 고구려의 의생활
            • (1) 관모
            • (2) 의복
          • 3) 백제의 의생활
            • (1) 왕복
            • (2) 관인 복식
          • 4) 신라의 의생활
          • 5) 가야의 의생활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1. 선사시대 문물의 일본 전파
        • 2. 학문과 사상
        • 3. 역학·의약·기술
        • 4. 예술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백제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백제는 중국과의 교류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하나는 고구려를 통한 간접적인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수로를 이용한 직접적인 경우이다. 그러므로 백제는 불교가 그러했던 것처럼 도교수용에 있어서도 고구려와 시기적으로 비슷했을 터인데, 공식적인 전래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중국사서에도 “백제에는 승려와 절과 탑은 많지만 도사는 없다.”206)라 하고 있어서 교단도교적 형태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렇지만 백제의 기록과 문물을 살펴보면 도교사상이 유행한 흔적을 폭넓게 찾아볼 수 있다.

 첫째 方術의 유행이다. 중국측의 기록에 의하면 백제는 다양한 학술이 발전한 가운데 음양오행은 물론 의약·卜筮·占相의 술을 이해하고 있었다.207) 백제의 문물은 불교의 日本公傳(538, 일설은 55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본에 전해져 일본문화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데,≪日本書紀≫에는 推古天皇 10년(602)조에 “겨울 10월에 백제의 승 觀勒이 本朝에 渡來하여 曆書·천문·지리의 서, 그외 遁甲·方術의 서를 바쳤다. 그래서 서생 3∼4명을 선택하여 관륵 밑에서 학습하게 하였다. 陽胡史의 원조 玉陳은 역법을 배우고, 大友村主인 高聰은 천문·둔갑을 배우고, 山背臣인 日立은 방술을 배워 학업을 다 달성하였다”208)고 전한다. 둔갑은 변신술이요, 방술은 의약·천문·복서·점상 등의 도통신선을 위한 잡술이므로 민간도교의 흐름을 말하며,209) 위의 중국기록에 나타나는 방술유행 내용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후래의 기록에서 둔갑서 등이 수련도교의 仙籍으로 우리 나라에 전래 상승되며 중시되었던 점을 고려하면210) 이러한 서적이 당시 구체적인 학술사상으로 자리매김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찍부터 유서의 5경박사는 물론 의학이나 易學·曆學·卜筮 등에도 각각 박사호칭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이를 말해준다.

 그런데 이보다 앞서 285∼286년대(일설 405년)에는 박사 王仁이 일본에 건너가서≪논어≫·≪천자문≫·≪효경≫·≪주역≫·≪산해경≫을 전하고, 菟道椎郞子에게 전적들을 가르쳤다.211) 이런 정황으로 왕인 등이 단지 유학자라기보다는 도교적 교양을 겸한 인물이요, 그러한 백제와의 문물교류에 의하여≪延喜式≫의 ‘黃天上帝·三極大君·일월성신’ 등을 대상으로 하는 도교적 색채가 강한 의식 내지 祝詞가 형성되었다고 본다.212) 이후에도 백제를 통해 呪禁師 등이 일본에 건너가 관료 등으로 활약하는 기록이 산견되는데,213) 그렇다면 백제에는 일찍부터 유행한 방술이 후래에까지 전승되면서 도교적 흐름을 형성했으리라 생각된다. 방술이 구체적인 수련도교의 이해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그것의 유행은 교단도교적인 조직이 없는 백제에도 수련도교의 練丹逸士들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14)

 둘째는 도교사상 내지≪도덕경≫의 유포이다. 近肖古王(346∼375)대에 고구려군이 침입하자 近仇首太子가 대항해 싸워 대파하고 고구려군을 쫓아 진격하자, 장군 莫古解는 “일찍이 듣건대 도가의 말씀에 ‘만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바를 알면 위태롭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지금 얻은 바가 많은데 하필 많은 것을 구하려 하십니까.”215)라고 간하여, 태자를 설득하고 회군케 하였다. 이는 후일 고구려의 장군 乙支文德이 수나라의 于仲文에게 전하는 말과 같은≪도덕경≫의 구절로, 이후 고구려나 백제의 무장들 사이에 이러한 가르침이 성행하여 백성의 덕성을 훈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문화의 한 전형으로 일컫는 무령왕릉에서는 도교사상과 관련된 지석, 곧 買地券이 발견되었다. 무령왕(501∼523) 부처의 사후에 葬地를 매입하여 장사를 지냈다는 내용인데, 이 매지권은 중국에서 도교사생관에 입각하여 마련하던 사후세계에 대응한 문서이다. 왕릉 발굴 당시(1971) 지석 위에는 동전꾸러미가 놓여 있어 산신에게 장지대금을 치렀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216) 그렇다면 백제에서는 도교사상이 매우 널리 유행했다는 말이 된다.

 셋째는 신선사상의 성행이다. 백제에 있어서 신선사상의 자취는 우선 와당과 향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각종 文塼 가운데 山景文塼에는 品자형의 세 봉우리가 중첩하여 있고 신선상 같은 인물이 그려져 있어 삼신산과 도관 및 도사를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으므로 신선사상 내지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17) 山水鳳凰문전은 물론 봉황문전·蟠龍문전 등도 같은 흐름이다.

 특히 부여 능산리에서 발굴(1993)된 金銅龍鳳蓬萊山香爐는 삼신산 등을 중첩하여 표현한 博山香爐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박산향로는 당시의 산악숭배, 무속, 不老長生의 방생술과 양생술, 無爲思想, 陰陽思想 등을 쫓는 신선사상이 조형적 배경”218)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方格規矩神獸文鏡의 명문에 주목하게 된다. 거기에는 “위에 仙人이 있으니 늙음을 모르네, 목마르면 玉泉의 물을 마시고 시장하면 대추를 먹으니 수명이 金石과 같도다”219)라 하여, 신선사상의 폭넓은 유행을 말해주고 있다. 무왕 35년(634) 왕이 궁성 남쪽에 못을 파고 방장산을 본떠 섬을 만들고 있는 것220)도 같은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신선사상이 방술이나≪도덕경≫의 유행에서도 확인되는 것처럼, 다만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도교적 삶의 양태를 표현하는 특징이 드러난다. 예컨대 봉래산향로의 그림이 신선사상을 표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양생술을 전개하고 있으며, 동경의 명문에서도 선인에 대한 열망과 함께 물·대추 등의 약물을 복용하므로써 장생한다는 구체적인 방법에까지 접근하고 있다. 백제의 도교가 불교승가처럼 강력한 교단도교의 체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연단수련 등 구체적인 도교의 요소는 뚜렷이 보이며, 가치관이나 사상체계에서부터 생활문화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전개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6)≪周書≫권 49, 列傳 41, 百濟. 같은 흐름의 기록이≪隋史≫·≪北史≫등에도 나타난다.
207)≪周書≫권 49, 列傳 41, 百濟.≪北史≫나≪隋書≫등 다른 사서도 같은 사항을 전하고 있다.
208)≪日本書紀≫권 22, 推古天皇 10년.
209)都珖淳,<韓國의 道敎>(福井康順외 監修,≪道敎 3-道敎의 傳播≫, 平河出版社, 1983), 78쪽.
210)韓無外,≪海東傳道錄≫(1610)에는 중국 全眞敎의 鍾離權이 신라말의 崔承祐(?∼889∼892∼?) 등에게≪天遁鍊魔法≫등을 전했으며, 그것이 金時習(1436∼1493)-洪裕孫으로 이어지는 조선 鍊丹學派에 전승되고 있음을 전하다.
211)權寧遠,<百濟의 崇文精神으로 본 扶餘世系와 儒佛仙三敎思想>(車勇杰 외,≪百濟의 宗敎와 思想≫, 忠淸南道, 1994), 53쪽 참조.
212)黑板勝美,<우리 나라 상대에 있어서 도교사상 및 도교에 대하여>(≪史林≫8-1) 초록을 참조.
213)中村璋八,<日本의 道敎>(福井康順외 監修, 앞의 책), 9쪽 이하 참조.
214)宋恒龍은 “도가사상은 있어도 도교신앙은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보았으나(宋恒龍,<道敎信仰의 展開樣相과 生活世界>,≪韓國思想大系≫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374쪽), 申東浩는 “修鍊道士가 없었다면 그 어려운 방술을 어떻게 터득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반문하여 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도사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申東浩,<百濟의 道家思想>, 車勇杰 외, 앞의 책, 272쪽).
215)≪三國史記≫권 24, 百濟本紀 2, 근초고왕.
216)李錫浩,<道敎思想史>(鄭柄朝·李錫浩,≪韓國宗敎思想史≫1, 延世大出版部, 1992), 236쪽 참조.
217)李丙燾, 앞의 책, 588쪽 참조.
218)국립부여박물관 편,≪백제금동향로와 사리감≫(1996), 11쪽.
219)鄭璟喜, 앞의 책, 207쪽 참조.
220)≪三國史記≫권 27, 百濟本紀 5, 무왕.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