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Ⅳ. 대외관계2. 일본과의 관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2) 민간수공업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2) 의복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2) 원효 교학
            • (3) 화엄교학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5) 성곽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779년 이후 신라가 사신파견에 의한 공적인 무역을 포기한 것은 신라상인의 활동을 통해 얼마든지 필요한 물자를 조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일본조정도 8세기 후반부터 신라상인들이 일본에 많이 왕래하자 굳이 신라·당과의 공적인 무역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다. 768년 稱德(쇼우토쿠)天皇은 좌우대신 등 고위관료와 황족에게 신라 交關物을 사도록 총액 85,000屯의 大宰綿을 지급하고 있는데,0738) 이는 신라상인들을 상대로 하는 교역체제를 일본조정이 인정하였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며,0739) 이즈음에는 대재부 부근에 신라인과 무역을 하는 상인층이나 商圈이 형성되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조정은 774년에는 신라인이 표착하였을 경우에 배를 수리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류민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서 신라상인들의 왕래를 장려하였다.0740) 신라인들이 일본에 많이 왕래하자 815년에는 對馬島에 신라어 통역까지 설치하였다.

 9세기에 신라인 상인층은 당과 일본을 중계하는 무역을 담당할 정도로 성장하였는데, 그 상인층은 在唐신라인이 주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0741) 신라인들은 산동반도의 登州, 양자강구와 長安, 洛陽을 연결하는 대운하에 연해있는 楚州·泗州와 같은 상업경제의 요지에 거류지 新羅坊을 형성하였는데, 이 신라방에서는 일종의 자치가 이루어졌다. 재당 신라인들은 상인조직을 이루어 일본의 견당사나 입당승들이 일본에 귀국할 때에 동행하여 무역을 하면서, 당·신라·일본 삼국간 무역에 의해 蓄財를 하였다.

 840년에는 삼국간 무역을 장악하면서 반자립적인 해상세력으로 성장한 장보고가 부하 李忠을 일본에 파견하여 일본과 조공 형식의 공적인 교역을 시도하기도 하였으나,0742) 일본조정은 신라왕이 파견한 사신 이외에는 공식사절로 대접할 수 없다고 하면서 이를 거절하였다. 그러나 李忠이 가지고 간 물건은 민간교역을 허락하였고 그에게 식량을 주도록 하였다.0743) 이러한 조치는 일본조정의 일관된 입장으로, 무역은 확보하지만 타국의 분쟁에는 개입하지 않으려는 방위적인 성격의 것이었다.0744) 일본조정은 9세기 중엽 이후 외국사절이 아닌 商客에게도 客館을 사용하도록 하여, 조정이 대금을 지불할 때까지 공적인 시설에서 상객이 체재하도록 하였다.0745)

 일본에서 신라와의 교역에 종사한 것은 平安京(헤이얀쿄우)의 귀족들이 중심이었지만 재지유력농민과 지방관도 있었다. 筑前守로 재임하던 840년에 장보고와 거래가 있었던 文室宮田麻呂(훈야노미야타마로)는 임기 후에도 현지에 남아 무역에 종사하였는데, 그는 신라상인의 물품을 국내에서 매각하였을 뿐 아니라, 絁를 미리 건네주고 필요한 물품을 요청하고 있다. 宮田麻呂는 기내에 광대한 영지와 平安京과 瀨戶(세토)內海의 교통 요지인 難波(나니와)에 저택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경제력의 바탕에는 그가 무역을 통해 축적한 부도 크게 작용하였다.0746)

 한편 신라상인들이 일본을 왕래하자 일본인들의 경계심도 고양되어 신라인과 충돌하기도 하였다. 812년에 신라 해적선의 대마도 출몰사건이 보고되자, 일본조정은 신라 인근지역들에 신라에 대한 경계와 방위를 강화하라는 명령을 내렸다.0747) 835년에는 대재부의 건의로 壹岐(이키)國의 전략상 요소 14개소에 대한 경비를 강화하였고, 843년에는 대마도의 경비를 강화하고 849년에는 弩兵을 배치하였다.0748)

 842년 이후 교역을 위해 일본을 왕래하는 신라인들에 대해서도 경계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즉 842년 8월 대재부 大貳 藤原朝臣衛(후지와라노아손마모루)가 신라상인들이 사실은 일본을 정탐하기 위해 일본을 왕래하는 것이라면서 신라인들의 일본 입국을 금지하도록 조정에 요청하였다.0749) 이것은 신라상인의 활발한 왕래가 일부 대재부 관리들로 하여금 신라에 대한 적대감을 가지게 한 것을 말해준다.0750) 이러한 보고에 대해 일본조정은 종래의 ‘歸化’사상을 내세워, 신라인의 왕래를 막을 수 없음을 표명하고 있다.0751)

 9세기에 신라상인들이 활약하면서 일본에 표착하는 신라인들도 많아지는데, 일본조정은 표착한 신라인들의 의사를 존중하여, 귀국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양식을 주어 귀국시켰다. 834년 대재부 해안에 도착한 신라인들을 일본인들이 공격하여 상처입히자, 仁明(닌묘우)조정은 대재부 관리를 책망하고 신라인들을 치료하고 양식을 주어 돌려 보냈다.0752) 표착한 신라인 중에서 귀국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양식을 주어 신라에 돌려 보내는 일본정부의 정책은 9세기 후반에도 계속되었다. 즉 856년에는 표착한 신라인 30명을 식량을 주어 돌려 보내고,0753) 863년과 864년에는 博多津에 표착한 승려 3명과 丹後國에 표착한 신라상인 57명, 石見國 美乃郡에 표착한 신라인 24명에게 양식을 주어 돌려 보냈다.0754) 869년에도 對馬島에 표류한 신라인 7명에게 식량을 주어 돌려 보냈다.

 이것은 일본인이 당을 왕래하거나 신라에 표착한 경우에 신라의 협조를 배려한 정책이었다. 신라선의 우수성과 신라의 남쪽을 통과해야 하는 항로 때문에, 당에서 귀국하는 일본사신이나 승려들은 신라선을 임대하여 항해에 익숙한 신라인을 고용하여 귀국하는 일이 많았다.0755) 845년 일본인이 신라에 표착하였을 때, 신라정부도 표류한 일본인을 돌려 보내고 있다.0756)

0738)≪續日本紀≫권 29, 神護慶雲 2년 10월 갑자.
0739)東野治之,<鳥毛立女屛風下貼文書の硏究>(≪正倉院文書と木簡の硏究≫, 塙書房, 1977), 305쪽.
0740)≪類聚三代格≫권 18, 夷俘幷外蕃人事, 太政官符(應大宰府放還流來新羅人事).
0741)石井正敏,<10世紀の國際變動と日宋貿易>(≪アジアからみた古代日本≫, 角川書店, 1992), 347∼348쪽.

李炳魯, 앞의 글(1996b), 256∼260쪽.
0742)浦生京子,<新羅末期の張保皐の擡頭と反亂>(≪朝鮮史硏究會論文集≫16, 1979), 60쪽.
0743)≪續日本後紀≫권 9, 承和 7년 12월 계묘삭 기사·권 10, 承和 8년 2월 임인삭 무진.
0744)石上英一,<古代國家と對外關係>(≪講座日本歷史≫2, 東京大學出版會, 1984), 260∼261쪽.
0745)田島公,<大宰府鴻臚館の終焉>(≪日本史硏究≫389, 日本史硏究會, 1995), 24쪽.
0746)戶田芳實,≪日本領主制成立史の硏究≫(岩波書店, 1967), 136쪽.
0747)≪日本後紀≫권 22, 弘仁 3년 정월 경신삭 갑자.
0748)≪續日本後紀≫권 4, 承和 2년 3월 병오삭 기미·권 13 承和 10년 8월 정사삭 무인·권 19, 嘉祥 2년 2월 경술.
0749)≪續日本後紀≫권 12, 承和 9년 8월 임술삭 병자.
0750)佐伯有淸,<九世紀の日本と新羅>(≪古代の政治と社會≫, 吉川弘文館, 1970), 299쪽.
0751)≪類聚三代格≫권 18, 夷俘幷外蕃人事, 承和 9년 8월 15일 태정관부(應放還入境新羅人事).

≪續日本後紀≫권 12, 承和 9년 8월 임술삭 병자.
0752)≪續日本後紀≫권 3, 承和 원년 2월 임오삭 계미.
0753)≪日本文德天皇實錄≫권 8, 齊衡 3년 3월 임자.
0754)≪日本三代實錄≫권 7, 貞觀 5년 4월 21일 계축·11월 17일 병오 ; 권 8, 貞觀 6년 2월 17일 갑술.
0755)≪續日本後紀≫권 8, 承和 6년 8월 경술삭 기사·권 13, 承和 10년 12월 계해·권 18, 承和 15년 3월 경신삭 을유.
0756)≪續日本後紀≫권 15, 承和 12년 12월 갑술삭 무인.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