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2. 불교철학의 확립1) 교학의 발달(1) 유식사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2) 민간수공업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2) 의복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2) 원효 교학
            • (3) 화엄교학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5) 성곽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삼국시대의 교학은 대소승·율학·정토신앙·두타행·화엄·법화·習誦·삼론·천태·밀교 등이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나 그 주류는 唯識이었다. 통일 이전에도 고구려를 비롯하여 삼국에 구유식이 소개되어 이에 대한 이해가 축적되었음을 圓光과 慈藏 등의≪攝大乘論≫을 중심으로 한 교학에서 살필 수 있으며, 통일 후에는 법상종 승려들의 많은 저술에서 유식학의 융성을 확인할 수 있다.1043)

 元曉는≪判比量論≫등 유식학의 저술도 상당수 남겼다. 그의 저술에는≪瑜伽論≫이나≪섭대승론≫을 비롯한 유식경론이 많이 인용되고 있어, 새로운 사상인 유식학을 크게 활용하여 그의 사상체계를 수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효의 저술 중에는 유식과 인명에 관한 것이 13종에 이른다. 그는 후에 고려 법상종에서 태현과 함께 해동조사로 추앙되었으며, 불교논리학인 因明을 인식논리학으로 전환시키고 신인명을 확립한 陳那보살의 화신으로 일컬어졌다.

 順憬은 불교논리학인 인명에 밝았던 신라승이었다. 순경이 신라에서 현장의 眞唯識量을 전해 듣고 決定相違不定量을 세워 건봉연간(666∼667)에 사신편에 보냈더니 현장은 이미 입적하고 없어 규기가 이를 보고 식견이 높다고 감탄하였다고 한다. 순경은 입당하여 현장에게 신유식을 수학한 문인으로 현장에게 유식의 논증방법인 量說을 배우고 신라에 돌아와 이를 전하였다.1044) 순경은 인명에 대한 주석서인≪因明入正理論抄≫를 비롯한 여러 저술을 남겼다. 그는 대소승을 두루 배우고 청정한 마음을 강조하는 두타행을 실천하였으며 신라에 돌아온 뒤에는 祇園寺에 주석하였다. 그는 또한≪화엄경≫의 初發心 便成佛 구절을 불신하고 비방하다가 지옥에 떨어졌다는 일화를 남겼는데, 이를 통해 당시 화엄에 비해 열세였던 유식의 형세를 가늠할 수 있다.1045)

 憬興은 문무왕의 고명으로 신문왕대에 國老로 봉해져서 三郞寺에서 활동한 백제 출신의 인물이다. 경흥은 유식을 비롯하여 여러 부문에 걸쳐 40여 종의 주석서를 남겨 원효·태현과 함께 신라 3대 저술가로 꼽힌 인물이다. 이 저술 중에서 유식에 관한 것이 17종으로 그의 교학연구의 중심을 이루는데, 유식 관계 저술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사상은 알 수 없다. 이 밖에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정토신앙 관계 저술과≪金光明經≫및≪사분율≫에 관한 저술이 특히 많다.

 義寂은≪성유식론≫등 유식 관계 4종의 저술을 비롯하여 정토·반야·법화·열반·계율 등 25종의 주석서를 저술하여 유식승의 왕성한 저술활동을 계승하고 유식의 대가로 꼽히기도 한 인물이었다. 의적은 의상과 만나 교리를 토론하는 등 화엄종과 교유를 갖기도 하였다.

 太賢은 瑜伽祖라 불린 데서 알 수 있듯이 법상종조로 추앙된 유식의 대가였다. 그는 남산의 茸長寺에 머물면서 미륵과 미타상을 함께 모시는 신앙을 전개하였다.1046)

 태현은 일체의 論과 宗을 편력하였다고 기록될 만큼 불교학의 전 분야를 두루 수학하였다. 원효·경흥과 더불어 신라 3대 저술가의 한 사람인 태현은 모두 50여 부의 저술을 남겼다. 화엄의 원융한 이치를 탐구하고 법화·열반·반야 등의 대승경전과 여래장·중관서를 주석하였고 유가계의 戒學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정토 관계 저술도 9종이나 된다. 유식 관계 저술은 20종이나 되는데 이는 그의 중심사상이 유식사상이었음을 말해 준다. 이들은 초기 유식으로부터 중국 법상종의 정통이 된 호법의 유식과 불교논리학인 인명에 이르기까지 현장의 신역으로 이루어진 논서에 대한 광범위한 주석서들이다. 태현은 많은 저술에 古迹記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경론을 주석하는 데 여러 선학들이 주석한 바에 의거하여 그 요점을 취하여 계승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태현은 원측의 유식학을 계승한 道證의 제자로서 유식은 원측·도증을 따르고 화엄은 법장·원효를 계승하여 유식과 중관에 대해 각기 그 진리성을 인정하는 공정한 입장에서 학설을 비판하고 계승하여 종합하였다.1047) 태현의 유식사상의 중심은≪成唯識論學記≫에 나타나 있다. 顯宗出體門·題名分別門·解釋文義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이 저술에서 태현은 당대 학계의 논쟁점을 포괄하여 자세하게 보여주었다. 이 중 空有쟁론에 대해 태현은 공과 유는 언어상으로는 다투지만 그 근본 취지는 동일한 것으로서, 논쟁의 의도는 중생으로 하여금 깨달음을 얻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화쟁의 입장을 보였다. 태현은 유식학설에 대해서도 법상종 정통의 규기의 학설을 토대로 그와 다른 경향을 보였던 원측의 학설을 포용하여 종합 회통하였는데 여기에 태현의 사상적 특색이 있다. 그러나 그의 중심 입장은 유식 중도를 근본 종지라고 본 호법의≪성유식론≫에 근거한 신유식사상이었다.1048)

 중대 초기 이래의 유식학승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이와 같은 태현의 사상과 신앙이 중심이 되어 경덕왕대에 법상종이 형성되었다. 태현은 유식중도설의 입장에서 각 교설의 의미를 밝혀 性相의 대립을 지양하고 신라 불교학의 성과를 종합한 사상적 바탕으로 독실한 미륵신앙을 실천하여 교학연구를 계승하는 유식학승들을 이끄는 법상종의 조사가 되었다.

유식 경론 주석서

圓測 해심밀경소(○)·구사론석송초·성유식론소·성유식론별장·유가론소·이십유식론소·광백론소·백법론소·관소연연론소·육십이견장·광백론소·대인명론소·인명정리문론소 神昉 십륜경초·십륜경소·십륜경음의·대승대집지장십륜경서(○)·순정리론술문기서·성유식론요집·현유식론집기·종성차별집 元曉 해심밀경소(◇)·유가론소·유가초·유가론중실·섭대승론세친석론약기·섭대승론소·양섭론소·중변분별론소(◇)·변중변론소·잡집론소·성유식론종요·인명론소·판비량론(◇)·인명입정리론기 憬興 해심밀경소·구사론초·유가론소·유가론초·유가석론기·성유식기·성유식론폄량·유식추요기·현유식기·현양론소·현양론술찬·인명론의초·법원의림기·금광명경약의·금광명경술찬·금광명최승왕경약찬(○)·최승왕경소 智仁 불지론소·현양론소·잡집론소 靈因 해심밀경소·구사론초 行達 유가론요간·유식추요기 順璟 성유식론요간·인명입정리론초 道證 성유식론요집·성유식론강요·섭대승론세친석론소·변중변론소·인명입정리론소·대인명론초·대인명론소 勝莊 금광명최승왕경소(◇)·성유식론결·잡집론소·불성론의·대인명론술기 玄一 유가론소·유가론사기·중변론요간 悟眞 인명론비궐략·법원의림집현초·성유식론의원초 義寂 성유식론미상결·백법론총술·백법론주·대승의림장 道倫 금광명경약기·성유식론요결·유가론기(○) 太賢 유가론고적기·유가론찬요·중변론고적기·현양론고적기·잡집론고적기·섭대승론세친석론고적기·유식이십송고적기·변중변론고적기·성업론고적기·오온론고적기·백법론고적기·성유식론학기(○)·성유식론결택·광백론고적기·불지론고적기·섭대승론무성석론고적기·관소연연론고적기·인명정리문론고적기·인명입정리론고적기·인명입정리론기·인명입정리론학기·금광명경술기·금광명경요간·법원의림석명장·광석본모송·대승일미장·보살장아비달마고적합집 (≪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 東國大 出版部, 1976, 9∼93쪽을 토대로 함. ○는 현존, ◇는 부분 현존).

 법상종의 또 하나의 계통으로 眞表(718∼?;734∼?)계가 꼽힌다. 完山州 출신의 진표는 입당하여 善導에 배워온 崇濟(順濟)에게 金山寺로 출가한 뒤 亡身懺 수행으로 지장보살과 미륵보살로부터 계법을 받았다는 인물이다.1049) 진표는 점찰법을 강조하였는데 점찰법은 점찰로서 자신의 果報를 점치고 그 결과에 따라 참회수행을 하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진표는 지옥 중생까지 구제하겠다는 悲願의 보살인 지장신앙과 미륵상생을 추구하는 참회수행을 아울러 실천하며 이끌었다. 이와 같이 점찰법과 지장신앙을 바탕으로 진표가 선도한 법상종의 흐름은 永深·融宗 등에 의해 여러 지역에 확산되었고, 신라 하대의 心地와 고려에 연결된 釋忠 등 진표의 문도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계승되었다. 이렇게 속리산·명주·개골산 등지의 고신라 변방지역에 실천신앙 중심의 교화를 전개한 법상종은 기층민에게까지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던 것이다.

 법상종은 유식사상연구를 중심으로 계율연구를 비롯한 광범위한 교학연구를 수행하여 신라 교학연구를 주도하면서 화엄종과 대비되는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법상종에는 두 가지 계통이 있었다. 하나는 태현의 법상종으로 경덕왕대에 서울을 중심으로 유식학연구의 학파적인 교단이 미륵과 미타신앙을 체계화하여 전개되었다. 그리고 또하나는 진표의 법상종으로 이보다 약간 늦게 지방을 근거지로 계율과 참회를 내세운 실천적인 교단이 일반민을 대상으로 미륵과 지장신앙을 조직화하며 전개되었다.1050)

1043)吳亨根,<新羅唯識思想의 特性과 그 歷史的 展開>(≪韓國哲學硏究≫上, 東明社, 1977), 254∼265쪽.

金南允,<新羅 中代 法相宗의 成立과 信仰>(≪韓國史論≫11, 서울大, 1984), 105∼107쪽.
1044)金相鉉,<新羅 法相宗의 成立과 順憬>(≪伽山學報≫2, 伽山佛敎文化硏究院, 1993), 80∼82쪽.
1045)金南允, 앞의 책, 26∼29쪽.
1046)≪三國遺事≫권 4, 義解 5, 賢瑜伽海華嚴.
1047)蔡印幻,<大賢의 戒學>(≪新羅佛敎戒律思想硏究≫, 東京;國書刊行會, 1977), 391쪽.

―――,<新羅大賢法師硏究>(≪佛敎學報≫20·21·22, 東國大, 1983∼1985).

李 萬,≪新羅 太賢의 唯識思想 硏究-成唯識論學記를 中心으로-≫(동쪽나라, 1989).
1048)金南允, 앞의 책, 48∼80쪽.
1049)≪三國遺事≫권 4, 義解 5, 眞表傳簡 關東楓岳鉢淵藪石記.

≪宋高僧傳≫권 14, 唐百濟國金山寺眞表傳(≪大正新修大藏經≫권 50, 793∼794쪽).

蔡印幻,<新羅眞表律師硏究>(≪佛敎學報≫23·24·25, 1986∼1988).
1050)金南允, 앞의 글, 130∼135쪽.

文明大는 道證과 甘山寺 金志誠의 활동에서 보듯이 720년경에 법상종이 성립되었다고 하며 원측·태현계와 원광·진표계의 양계로 나누어 보았다(文明大,<新羅 法相宗의 成立과 그 美術>,≪歷史學報≫62·63, 1974, 156∼160쪽). 金相鉉은 순경에 의해 법상종이 성립되었다고 보았다(金相鉉,<新羅 法相宗의 成立과 順璟>,≪伽山學報≫2, 1992, 94∼10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