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Ⅱ. 발해의 변천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1) 발해유민의 의미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1) 고구려유민의 동향
            • (2) 말갈 부족들의 상태
          • 2) 676년 이후 동북아 국제정세
          • 3) 대조영집단의 동주와 건국
        • 2. 발해의 발전
          • 1) 대외적 팽창
          • 2) 국가체제의 정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1) 요·금대의 발해인과 여진인
          • 2) ‘토인’과 말갈
          • 3) 발해 왕실의 출자
          • 4) 발해인의 귀속의식
          • 5) 발해국의 성격에 대한 인접국인의 인식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1) 내분의 발생
          • 2) 해동성국의 구현
          • 3) 발해국의 위상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1) 멸망의 배경
          • 2) 요동의 상실과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1) 발해유민과 발해유예
            • (2) 발해국 지배층의 성씨 분포와 그 유민
          • 2) 전기 부흥운동-후발해와 정안국-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1) 대연림의 흥요국
            • (2) 고영창의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1) 발해 건국기의 남북교섭
          • 2) 발해 왕권확립기의 남북대립
          • 3) 신라 귀족항쟁기의 남북교섭
          • 4) 발해의 영토확장과 신라·당 밀착기의 남북대립
          • 5) 발해 멸망기의 남북교섭
        • 2. 당과의 관계
          • 1) 발해 건국 초기의 양국교섭
          • 2) 양국의 전쟁과 교섭
          • 3) 전쟁의 경과와 신라·발해의 대립
        • 3. 일본과의 관계
          • 1) 발해 건국 초기의 양국교섭
          • 2) 발해와 일본의 신라협공계획과 양국교섭
          • 3) 신라협공계획 무산 후의 양국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조직의 정비과정과 성격
          • 2) 조직의 내용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제도
          • 2) 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1) 신분제도
            • (2) 토인과 수령
            • (3) 사회생활
          • 2) 경제구조
            • (1) 경제생활
            • (2) 대외무역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 불교와 기타 신앙
        • 2. 유학과 한문학
          • 1) 유학
          • 2)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1) 성곽과 건물지
            • (2) 사원과 탑
            • (3) 고분
          • 2) 미술
            • (1) 회화
            • (2) 공예
          • 3) 음악과 무용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 국내의 발해사 인식과 연구
          • 2) 국외의 발해사 인식과 연구
          • 3) 주요 연구 주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1) 발해유민의 의미

(1) 발해유민과 발해유예

 遺民의 사전적 의미는 “없어진 나라의 남아 있는 주민”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발해유민이란 발해국이 멸망한 후 남아 있었던 그 주민이다. 그런데 이들 발해유민은 그들의 처신과 행방에 따라서 다섯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거란 침략자를 피해 거란의 통치력이 약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거나 인접국에 投化164)하였던 무리들이다. 이들은 大光顯 등과 같이 대부분 고려로 이동하였는데 대다수가 ‘발해’사람이었으나, 발해가 멸망한 뒤 어느 시점부터는 ‘발해’가 아닌 ‘契丹’이나 ‘女眞’사람으로≪高麗史≫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둘째, 발해가 멸망한 후에 거란에 협조하였던 지배층 유민들이다. 이들은 거란의 힘에 굴복하여 거란의 협조자가 되었으며, 고려·거란과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고, 두 나라 사이의 전쟁에서는 거란군의 장군으로서 피지배 발해유민들을 통솔하기도 하였다. 셋째, 거란에 지배를 당할 수밖에 없었던 피지배층 유민들이다. 발해시대에 이들은 발해 왕실에 납세의 의무를 지고 있던 피지배층들이었다. 그들은 생활의 근거지를 박차고 과감히 고향을 떠나지도 못하던 무리들로서 이들은 분명 두번째 유민들과는 구별된다. 이들은 기록에서 주로 ‘거란’이나 ‘熟女眞’ 등으로 등장한다. 넷째, 거란과의 관계에서는 반독립적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들의 생존과 관련된 실리를 추구하며 대처했던 유민들이다. 주로 고려와 관계가 깊었던 ‘生女眞’ 부락들이 여기에 속한다. 여진은 흑수말갈과 발해유민의 통칭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165) 다섯째, 발해국의 옛 강토 안에서 발해 부흥을 위하여 거란과 맞서거나 대항해 싸웠던 유민들이 있었다. 이들은 後渤海와 定安國을 건설하기도 하였고, 발해 멸망 후 100년이 지나서도 興遼國과 大渤海國을 세우기도 하였다.

 발해유민에는 발해시대의 지배층이나 피지배층 모두가 그 범주에 포함되지만, 발해국 멸망 후 발해유민의 의미라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위에서 분류된 두번째 이후의 유민들 중에는 이민족인 거란의 지배 밑에 들어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발해사람임을 포기하고 ‘거란’사람이 된 자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비록 거란이나 여진사람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발해의 문화를 계승하고 있었다. 따라서 발해유민의 실상 파악문제는 그렇게 쉽지가 않다. 발해가 멸망한 직후 발해인으로서 국가 의식이 비교적 강했다고 할 수 있는 사람들과, 발해에 대한 의식이 사라졌거나 약화되었던 후대의 발해계 ‘거란’사람 등은 일단 구별해야 할 것이다. 즉 전자는 좁은 의미의 발해유민이고 후자는 渤海遺裔 또는 발해계 거란인이나 발해계 여진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발해유민이나 발해유예는 모두 넓은 의미의 발해유민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164)≪高麗史≫등에는 발해인들이 ‘來投’ 즉 와서 투화하였다고 전한다. 이 용어는 현대적 의미로 ‘投降’ 내지 ‘歸化’이며, 정치적 ‘亡命’의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65)金渭顯,<完顔部의 女眞統合策>(≪靑坡盧道陽博士古稀紀念論文集≫, 1979, 4쪽 ;≪遼金史硏究≫, 裕豊出版社, 1985).

韓圭哲,<高麗 來投·來住 女眞人-渤海遺民과 관련하여->(≪釜山史學≫25·26, 1994).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