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Ⅱ. 발해의 변천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1) 고구려유민의 동향
            • (2) 말갈 부족들의 상태
          • 2) 676년 이후 동북아 국제정세
          • 3) 대조영집단의 동주와 건국
        • 2. 발해의 발전
          • 1) 대외적 팽창
          • 2) 국가체제의 정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1) 요·금대의 발해인과 여진인
          • 2) ‘토인’과 말갈
          • 3) 발해 왕실의 출자
          • 4) 발해인의 귀속의식
          • 5) 발해국의 성격에 대한 인접국인의 인식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1) 내분의 발생
          • 2) 해동성국의 구현
          • 3) 발해국의 위상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1) 멸망의 배경
          • 2) 요동의 상실과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1) 발해유민과 발해유예
            • (2) 발해국 지배층의 성씨 분포와 그 유민
          • 2) 전기 부흥운동-후발해와 정안국-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1) 대연림의 흥요국
            • (2) 고영창의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1) 발해 건국기의 남북교섭
          • 2) 발해 왕권확립기의 남북대립
          • 3) 신라 귀족항쟁기의 남북교섭
          • 4) 발해의 영토확장과 신라·당 밀착기의 남북대립
          • 5) 발해 멸망기의 남북교섭
        • 2. 당과의 관계
          • 1) 발해 건국 초기의 양국교섭
          • 2) 양국의 전쟁과 교섭
          • 3) 전쟁의 경과와 신라·발해의 대립
        • 3. 일본과의 관계
          • 1) 발해 건국 초기의 양국교섭
          • 2) 발해와 일본의 신라협공계획과 양국교섭
          • 3) 신라협공계획 무산 후의 양국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조직의 정비과정과 성격
          • 2) 조직의 내용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제도
          • 2) 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1) 신분제도
            • (2) 토인과 수령
            • (3) 사회생활
          • 2) 경제구조
            • (1) 경제생활
            • (2) 대외무역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 불교와 기타 신앙
        • 2. 유학과 한문학
          • 1) 유학
          • 2)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1) 성곽과 건물지
            • (2) 사원과 탑
            • (3) 고분
          • 2) 미술
            • (1) 회화
            • (2) 공예
          • 3) 음악과 무용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 국내의 발해사 인식과 연구
          • 2) 국외의 발해사 인식과 연구
          • 3) 주요 연구 주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고영창의 대발해국

 흥요국 붕괴 후 많은 발해유민들이 요양지방을 떠나 다른 지방으로 강제 이주되었지만, 이 지역의 발해유민들은 그래도 상당수가 남아 있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1116년(거란 天祚帝 天慶 6) 정월에 발해유민 高永昌이 다시「大渤海國」을 세워 발해국의 부흥을 꾀하였다.

 발해가 멸망한 지 190년이 지나서 거사를 한 고영창도 처음에는 여느 발해의 지배층 유민들과 같이 거란에 협조하던 발해 후손이었다. 그러나 그도 거란이 여진 完顔 阿骨打의 공격을 받고 붕괴되어갈 무렵, 아골타 무리를 물리치기 위하여 당시 거란 황제였던 天祚帝가 그에게 渤海武勇馬軍 2천을 모집하여 遼陽府 부근의 白草谷을 지키게 하였던 기회를 이용하여 발해 부흥국을 세웠다. 고영창은 당시 東京留守 蕭保先에 대해 반감을 가진 발해유민들을 선동하여 1116년 정월에 그의 거사에 호응한 발해병 8천 명으로 동경 요양부를 점령하고 스스로가 대발해국 황제에 즉위하여 隆基라는 연호도 사용하였다.194)

 대발해국은 그들이 발해 부흥 왕조를 세운 지 10여 일 만에 요동의 50여 주를 석권하는 위세를 떨쳤으며, 貴德州(鐵嶺市 東南)의 거란 장수 耶律余賭조차 廣州에서 이 거사에 순종하는 형세였다. 고영창은 한때 거란과 瀋州(瀋陽)에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는 사이 신흥 금나라와 협상도 갖는 등 유리한 입장에 있었다. 그러나 고영창은 황제를 고집하는 등 경직된 협상을 벌이다 이것이 결렬되자 오히려 금나라 군대에 의해 참살되면서,195) 대발해국을 통한 부흥운동 또한 실패하고 말았다.

 대발해국은 고영창이 내세운 국호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발해 계승의식이 명확히 나타난 이른바 명실상부한 발해 부흥국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030년 대연림이 부흥시키려던 흥요국은 그 국호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발해 계승의식이 많이 쇠퇴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대발해국은 발해가 망한 지 200년이 가까웠음에도 불구하고, 떳떳하게 발해국이라 호칭하였던 것은 거란 내부의 발해유민들의 역사의식을 분명히 보여준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연림이 세웠던 발해 부흥국 흥요국과 고려 사이에 수 차례 교섭이 있었던 것처럼, 고려와 대발해국간에도 교섭이 있었다. 고려 사신들이 고영창의 대발해국에서 겪었던 사건들은 다음 기록에 잘 나타나 있다.

① 秘書校書郞 鄭良稷을 보내어 安北都護府의 아전이라 칭하고, 공문을 가지고 요나라 동경에 가서 節日使 尹彦純·進奉使 徐昉·賀正使 李德允 등이 오래 머무는 사실을 염탐하여 알아오게 하였다. 2월에 일본국에서 柑子를 바쳤다. 遼나라 동경 사람 高諝가 來附하였다(≪高麗史節要≫권 8, 예종 11년 정월·2월).

② 鄭良稷이 요나라 동경으로부터 돌아왔다. 그 때에 동경의 渤海人이 난을 일으켜 留守 蕭保先을 죽이고 供奉官 高永昌을 세워 황제라 僭稱하고 나라 이름을 大元이라 하고 연호를 세워 隆基라 하였다. 그런데 良稷이 거기에 이르러 官銜을 詐稱하고 표문을 올려 臣이라 칭하고 국가가 東京留守에게 주는 토산물을 고영창에게 贈與하고 후한 대접을 받고 돌아왔으나, 이것을 숨기고 알리지 않았다가 일이 발각되어, 有司가 그를 옥에 가두어 벌 줄 것을 청하니 그대로 하였다(≪高麗史≫권 14, 世家 14, 예종 11년 3월 임인).

③ 尹彦純·徐昉·李德允 등이 요나라 동경에서 돌아왔다. 윤언순 등이 동경에 구류되어 있는 동안 고영창이 勅命하여 表文을 올려 그 건국을 稱賀하라 하니, 모든 것을 그의 말대로 하였는데 돌아와서는 숨기고 자수하지 않으니, 유사가 청하여 그 죄를 다스렸다(≪高麗史節要≫권 8, 예종 11년 3월).

 발해국 부흥운동 중에는 고영창의 대발해국보다 1년 전인 1115년에 일어났던 古欲의 부흥운동이 있었다.196) 고욕은 자칭「大王」이라고만 했다고 전하고, 이들이 어떠한 국호나 연호를 썼는지는 모른다. 단지 고욕의 부흥 정권은 거란의 심장부인 시라무렌강 상류의 饒州에서 발해유민의 제철 기술자 1천 호를 포함한 호구 4천의 長樂縣과, 태종 때에 발해의 여러 고을 잡호로 세운 安民縣의 발해유민을 배경으로 세워졌다는 정도가 알려져 있을 뿐이다. 고욕 역시 그가 대왕을 칭한 지 5개월 만에 거란의 계략에 말려들어 사로잡힘으로써 부흥운동은 무산되고 말았다.

 발해국의 부흥운동은 모두가 실패로 돌아갔다. 발해의 옛 지역이 거란의 지배 아래 들어가면서 그들 자신이 발해국을 광복하겠다는 의식도 상당히 약화되어, 흥요국과 같이 단지 현실적 이해관계에서 발해의 부흥을 외쳐댈 뿐이었다. 그러나 이보다 85년이 지난 고영창의 부흥운동은 그 국호에서도 볼 수 있듯이 흥요국보다 매우 적극적이었다.

 요컨대 발해국 부흥운동이 발해 멸망 후 100년이 넘도록 계속되고 있었다는 사실은 정복된 발해지역이 갖는 발해사적 의미를 확인해 주는 것이고, 발해 멸망 후 190년이 지난 시기까지「발해」사람들이 거란으로부터 고려에 내투하도록 하지 않았는가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발해와 신라가 갖고 있던 남북국의 역사·문화적 계승의식이 발해 멸망 후 200년 가까운 시기까지 이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반증해 준다. 그들이 단순히 고려가 인접한 곳이었기 때문에 발해 멸망 후 줄곧 고려를 그들의 망명처로 삼지는 않았음이 명백하다.

<韓圭哲>

194)≪高麗史≫권 14, 世家 14, 예종 11년 3월 임인.

≪高麗史節要≫권 8, 예종 11년 3월.

≪遼史≫권 28, 本紀 28, 天祚帝 天慶 6년.

葉隆禮,≪契丹國志≫권 10, 天祚帝 天慶 6년.

「大渤海國」의 國號에 대해≪고려사≫와≪고려사절요≫는 모두 大元이라 전하고 있고, 그 연호를≪거란국지≫는 應順이라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대발해국에 관한 자료는 일반적으로≪요사≫의 기록을 취하고 있고, 그 내용도 다른 기록들에 비해서≪요사≫가 풍부하여 필자도 이에 따른다.
195)≪金史≫권 71, 列傳 9, 斡魯.
196)≪遼史≫권 28, 本紀 28, 天祚帝 天慶 2월·4월·5월.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