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Ⅱ. 대외관계의 전개4. 홍건적과 왜구2) 왜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1. 신분제의 동요
          • 1) 신분제 동요의 배경
          • 2) 양인·천인의 신분이동
            • (1) 양인·천인의 신분상승
            • (2) 양인의 신분하락
            • (3) 이성계 일파의 집권과 양인·천인의 신분고정
          • 3) 향리 및 양반귀족의 신분동요
            • (1) 향리의 신분동요
            • (2) 양반귀족의 신분동요
        • 2. 농민·천민의 봉기
          • 1) 농민·천민봉기의 배경
            • (1) 중앙 통치체제의 문란
            • (2) 지방관의 탐학
            • (3) 대토지겸병의 확대
            • (4) 신분제의 동요
          • 2) 무신정권 성립기의 농민·천민봉기
            • (1) 서북지역의 농민봉기
            • (2) 공주 명학소민의 봉기
            • (3) 관성·부성·전주 등에서의 농민봉기
            • (4) 제주민의 항쟁
            • (5) 운문·초전민의 봉기
          • 3) 무신정권 확립기의 농민·천민봉기
            • (1) 만적의 난
            • (2) 진주민의 항쟁
            • (3) 경주민의 항쟁
          • 4) 외세침입기의 농민·천민봉기
            • (1) 거란침입기의 농민·천민봉기
            • (2) 몽고 1∼3차 침입기의 농민·천민봉기
            • (3) 몽고 6·7차 침입기의 농민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1. 몽고 침입에 대한 항쟁
          • 1) 몽고족의 흥기와 여·몽관계의 성립
            • (1) 13세기 몽고족의 흥기
            • (2) 몽고군의 고려 입경
            • (3) 강동성 전투와 여·몽관계의 성립
          • 2) 몽고의 고려 침입
            • (1) 몽고의 침략
            • (2) 최씨정권의 강화천도
            • (3) 몽고의 2·3차 침입
            • (4) 여·몽전쟁의 장기화
          • 3) 몽고의 침략에 대한 항전
            • (1) 살례탑군에 대한 항전
            • (2) 당고군에 대한 항전
            • (3) 야굴군에 대한 항전
            • (4) 차라대군에 대한 항전
            • (5) 고려의 입보책과 지방민의 항전
          • 4) 삼별초의 대몽항전
            • (1) 몽고와의 강화
            • (2) 삼별초의 봉기
            • (3) 삼별초의 진도 항전
            • (4) 삼별초군의 제주도항전
        • 2. 여·원관계의 전개
          • 1) 원의 간섭과 자주성의 시련
            • (1) 몽고제국 지배체제로의 편입과정
            • (2) 몽고제국 지배체제하의 고려왕조
            • (3) 여·원 양국간의 인적·물적 교류
          • 2) 북방문제
            • (1) 심양로의 심왕
            • (2) 동녕부
            • (3) 쌍성총관부
        • 3. 고려 말의 정국과 원·명 관계
          • 1) 원의 쇠퇴와 공민왕의 반원정책
          • 2) 공민왕의 개혁정치 실패와 명의 흥기
          • 3) 친원파와 친명파의 대립과 요동정벌
        • 4. 홍건적과 왜구
          • 1) 홍건적
            • (1) 원의 쇠퇴와 홍건적의 대두
            • (2) 홍건적의 침입
          • 2) 왜구
            • (1) 왜구의 성격과 규모
            • (2) 왜구의 침구목적
            • (3) 왜구의 침입
            • (4) 왜구에 대한 대책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왜구

(1) 왜구의 성격과 규모

 왜구의 침입은 고려 말 내우 외환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던 고려의 큰 환난 중의 하나였다. 따라서 고려는 북방의 외적과의 투쟁을 계속하면서 한편으로는 국력을 기울여 남방의 왜구와 싸우지 않으면 안되는 이중의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그 결과 민심은 더욱 어지러워졌으며 이러한 일들은 고려왕조의 종말을 가속화시켰다.

 왜구는≪高麗史≫에, 倭寇·倭賊·倭奴·海賊·海盜 또는 단순하게 賊·寇·賊船·作寇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들 각 명칭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왜구란 왜가 바다를 통하여 寇賊행위를 한다는 의미로 쓰여지고 있으며, 적어도 충렬왕 4년(1278) 이전부터 왜구라는 말이 숙어로써 사용되고 있었다.592)

 왜구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당시 일본이 南北朝의 爭亂期였던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곧 정권이 양분되어 중앙통치권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하는 57년이란 긴 기간 동안 사회적 불안은 증대되었다. 또 혼란기를 맞이하여 武士들은 쟁란에 편승하여 소유 영지를 확대시키고자 획책하였다. 이러한 사회정세 속에서 농지를 잃은 농민과, 전쟁에 동원되었으나 보상을 받지 못해 경제적으로 무력해진 하급무사, 그리고 여기에 토지가 적었을 뿐 아니라 그것도 비옥하지 못해 기근을 면키 어려웠던 對馬·壹岐·松逋 3島지방의 열악한 입지조건과 아울러 謙倉 中期 이후 변경지방까지 침투해 왔던 상품 화폐경제의 압박 등의 여러 조건들이 일본의 서쪽 연안 일대의 중소영주층과 영세농어민을 자극하여 해적이 되게끔 하였고593) 바로 이들이 고려의 연안에 침입하였던 것이다.

 왜구의 근거지는 특히 幕府의 통제력이 약한 변방이었지만, 확실한 지역이 어디인가에 대해서는 이견들이 있다.594) 대체적으로 3도를 왜구의 근거지로 보는 견해가 많으나, 3도의 소재지에 관한 기록이 없어서 분명히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대마·일기·송포를 지칭한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근래에는 송포 대신 구체적으로 平戶島를 넣어 대마·일기·평호라는 주장도 있다.595) 그러나 근거지로서 꼭 3도가 정확히 어디인지는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왜냐하면 3도가 왜구들의 중심지일 뿐, 우리 나라와 가까운 北九州의 섬들과 연안 지역은 모두가 그들의 근거지이기 때문이다. 조선 세종 때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朴端生은 “대마도에서 兵庫까지 이르는 도중에서 적의 수와 왕래의 通路를 조사한 바 대마·일기·內外大島·志賀·平戶 등은 赤間關 以西에 있어서의 적의 본거지요, 四州 以北 竈戶·社島 等處는 赤間關 以東의 적의 본거지이다”596)라고 보고하였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왜구의 근거지는 한두 곳이 아니라 우리 나라와 가까운 북구주의 섬들과 연안지역 대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왜구의 규모에 대하여≪고려사≫의 기록에 나타난 선박의 수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표 1>과 같다.

  시 기 선 박 규 모 위 치
1

2

3

4

5

6

7

8

9
충정왕 2년(1350) 6월

공민왕 7년(1358)

공민왕 12년(1363) 4월

공민왕 13년(1364) 3월

공민왕 23년(1374) 4월

우왕 2년(1376) 7월

우왕 3년(1377) 6월

우왕 3년(1377) 10월

우왕 10년(1384) 5월
20척

400여 척

213척

200여 척

350척

20척

200여 척

40여 척

27여 척
合浦에 침입

五入浦 침구

喬桐에 정박

葛島(順天地方)에 정박

合浦에 침입

전라도 元帥營 침구

제주도 침공

東萊縣에 침구

陽州에 들어와 3일간 정박

<표 1>왜구의 선박수

 위의<표 1>에서 볼 때 많은 때는 400여 척이라 하고 적은 때는 20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배의 척수에 관해서만 표시되어 있고, 탑승원에 관해서는 고찰하기 어렵다. 왜구가 사용한 선박의 크기는 보통 70톤 정도였다.597) 그리고 탑승원에 대한 당시의 기록은 찾기 어려우나 한 가지 추측할 수 있는 것은 조선 중종 7년(1512) 조선과 대마도 사이에 맺어진 壬申約條이다. 이것에 의하면 각 배의 선원수를 大船 40명·中船 30명·小船 20명으로 정하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선박의 탑승원을 가장 적은 20명으로 보더라도 매회 상당한 수의 왜구가 침입한 것을 추산할 수 있을 뿐더러 쌀 4만여 석을 약탈하여 갈 수 있을 정도이면598) 그 선단의 규모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침입한 왜구의 인원수에 대하여 살펴보면 공민왕 13년(1387) 5월에 왜적 3,000을 진해현에서 대파한 기록이 보이며 우왕 5년(1379) 5월에는 騎 700·步 2,000의 침구가 있었고, 도적이 많으면 千百으로 떼를 짓고, 적으면 什伍로 隊를 지어 다닌다고 하였다.599) 이러한 규모로 미루어 볼 때 왜구는 단순한 해적의 오합지졸이 아니고 배후에는 유력한 土豪가 있어 직접 조종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대표적인 조종자는 대마도주 宗氏와 壹岐島主 志佐氏·西部日本의 巨酋 周防의 大內氏·九州豊後 大友氏 등을 들 수 있다.

 왜구들은 침입하면 약탈, 살인, 방화를 일삼아 연해의 조창에 불을 지르거나 도적질을 하고, 또는 漕船을 불지르고, 두어 살짜리 어린애들의 머리를 깎고 배를 갈라 쌀·술 따위와 함께 하늘에 제물로 바쳤으며600) 침입할 때마다 부녀를 포로로 해서 밤에는 주색을 그치지 않았다.601)

592)≪高麗史≫권 28, 世家 28, 충렬왕 4년 7월 무술. 왕이 元에 合逋鎭戌軍을 머무르게 하여 倭寇에 대비하기를 청하였다.
593) 佐佐木銀彌,<海外貿易と國內經濟>(≪講座日本史≫3, 東京大出版部, 1970), 164쪽.
594) 신석호,<여말 선초의 왜구와 그 대책>(≪국사상의 제문제≫3, 국사편찬위원회, 1959), 111쪽에서는 對馬·壹岐·松逋에 博多나 赤間關(下關)을 추가하여 말하였다. 그런데≪高麗史≫권 113, 列傳 26, 鄭地條에서는 對馬·壹岐를 왜구의 근거지라 하였으며,≪高麗史節要≫권 30, 신우 4년 7월조에 의하면, 鄭夢周가 日本으로부터 돌아올 때에 日本九州節度使 源了俊이 三島 倭寇의 침략을 금했다고 한다. 또한≪定宗實錄≫권 1, 정종 원년 5월조에서도 三島를 倭寇의 근거지로 보고 있다.
595) 金柄夏,≪李朝前期對日貿易硏究≫(韓國硏究院, 1969), 9쪽.
596)≪世宗實錄≫권 46, 세종 11년 12월 을해.
597) 竹越與三郎,≪倭寇記≫(白揚社, 1938), 29쪽.
598)≪高麗史≫권 39, 世家 39, 공민왕 9년 윤5월 신해.
599)≪高麗史≫권 112, 列傳 25, 偰遜 附 長壽.
600)≪太祖實錄≫권 1, 總書.
601) 竹越與三郎, 앞의 책, 209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