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Ⅱ. 문화의 발달9. 민속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1. 불교사상의 변화와 동향
          • 1) 무신정권기 불교계의 변화와 조계종의 대두
            • (1) 무신정권기 불교계의 현황
            • (2) 무신정권과 선종
            • (3) 조계종의 대두
          • 2) 지눌의 사상
            • (1) 선·교갈등의 문제
            • (2) 지눌의 생애
            • (3) 심성론
            • (4) 수행론
            • (5) 간화선
          • 3) 수선사의 성립과 전개
            • (1) 정혜결사의 취지와 창립 과정
            • (2) 최씨무신정권의 후원과 결사이념의 변화
            • (3) 원의 간섭과 수선사의 친원불교화
          • 4) 백련사의 성립과 전개
            • (1) 백련사 결사운동의 성립과 불교관
            • (2) 백련사 결사의 사회적 기반
            • (3) 백련사 결사운동의 전개와 추이
          • 5) 원의 정치간섭과 불교
            • (1) 고려와 원과의 관계
            • (2) 불교계의 동향
          • 6) 임제종의 수입과 불교계의 동향
            • (1) 임제종 수입과 그 배경
            • (2) 임제선풍의 전개
            • (3) 그 후의 불교계
          • 7) 대장도감과 고려대장경판
            • (1) 대장경이란 무엇인가
            • (2) 고려대장경의 구성
            • (3) 고려대장경의 판각
            • (4) 대장경판의 해인사 전래와 유통
            • (5) 고려대장경의 위치
        • 2. 성리학의 전래와 수용
          • 1) 신유학의 전래와 고려 사상계의 동향
            • (1) 송대 신유학의 성립과 고려 유학계의 대응
            • (2) 고려 불교계의 변화와 새로운 유학사상
            • (3) 신진관료의 대두와 새로운 사풍의 전개
          • 2) 주자성리학의 수용과 특징
            • (1) 주자성리학의 수용
            • (2) 성리학 수용과정에서의 특징
          • 3) 불교와의 관계
            • (1) 성리학 전래 이전의 불교와 유학
            • (2) 불교배척운동과 새로운 유불관계의 형성
        • 3. 풍수·도참사상 및 민속종교
          • 1) 풍수·도참사상
            • (1) 풍수·도참사상의 변모
            • (2) 풍수타락의 원인과 지기론
            • (3) 남경천도설
          • 2) 민속종교
            • (1) 무격의 성격과 역할
            • (2) 무고
            • (3) 무격에 대한 열광적 신앙
            • (4) 무격배척과 금압
      • Ⅱ. 문화의 발달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학
            • (1) 천문관측기구와 제도
            • (2) 관측활동과 그 기록들
            • (3) 역법의 정비
          • 2) 지리학과 지도
            • (1) 지도의 제작
            • (2) 풍수지리학
          • 3) 인쇄술과 제지기술
            • (1) 고려의 목판인쇄
            • (2) 청동활자 인쇄술의 발명
            • (3) 제지기술
          • 4) 무기제조와 조선
            • (1) 화약과 화포의 전래
            • (2) 화통도감과 화기의 제조
            • (3) 고려의 배
          • 5) 그 밖의 산업기술
            • (1) 도량형
            • (2) 물레바퀴
            • (3) 금속공예기술
            • (4) 목면의 재배와 무명의 등장
            • (5) 새로운 청자기술의 개발
          • 6) 의약학과 생물학
            • (1) 고려의학의 자주적 발전
            • (2) 고려의약학의 체계적 전개
            • (3) 의약의 교류
            • (4) 의료제도의 변천
            • (5) 동물의 사육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 언어
        • 3. 문학
          • 1) 설화와 민간전승
          • 2) 속악가사
          • 3) 경기체가·시조·어부가·가사
          • 4) 불교문학
        • 4. 역사학
          • 1) 각훈의≪해동고승전≫
            • (1)≪해동고승전≫의 편찬
            • (2) 각훈의 생애와 편찬배경
            • (3)≪해동고승전≫의 특징과 문제
            • (4) 각훈의 역사인식
          • 2)<동명왕편>의 역사인식
            • (1)<동명왕편> 저술의 배경
            • (2)<동명왕편>에 나타난 역사의식
            • (3) 고구려 계승의식의 표방
          • 3) 일연과≪삼국유사≫
            • (1) 일연의 생애와 사상적 경향
            • (2)≪삼국유사≫의 찬술기반
          • 4)≪제왕운기≫의 편찬
            • (1)≪제왕운기≫편찬의 배경과 동기
            • (2)≪제왕운기≫에 반영된 역사관
          • 5) 민지의≪본조편년강목≫
            • (1)≪본조편년강목≫의 편찬과 그 성격
            • (2) 민지의 생애와 기타 저술
            • (3) 민지의 사학사적 위치
          • 6) 이제현의≪국사≫
            • (1)≪국사≫의 편찬과 그 성격
            • (2) 이제현의 생애와 기타 사서
            • (3) 이제현의 역사서술과 그 인식
          • 7) 기타 역사서의 편찬
            • (1) 실록의 편찬
            • (2) 기타의 역사서
          • 8) 고려 후기 역사서술의 특징
            • (1) 무신집권기 사학의 위축
            • (2) 역사서술에 대한 원의 간섭
            • (3) 고려 말 사관제도의 보강
            • (4) 고려 당대사의 정리
            • (5) 역사의 문학적 표현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강화궁궐 및 성곽
            • (3)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2) 조각
          • 3) 서화
            • (1) 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금속공예
            • (3) 목칠공예
        • 6. 음악
          • 1) 왕립음악기관의 제도와 활동범위
            • (1) 대악서·관현방·아악서의 유래와 체제
            • (2) 왕립음악기관의 음악인과 활동범위
          • 2) 향악
            • (1) 향악과 향악정재
            • (2) 향악기와 향악활동
          • 3) 당악과 당악정재
            • (1) 송의 교방악사와 당악정재
            • (2)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 4)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향방
            • (1) 대성아악의 아악기와 악현
            • (2) 대성아악의 역사적 변천
          • 5) 고취악과 기악
            • (1) 고취악과 연주형태
            • (2) 기악과 잡기
        • 7. 무용과 연극
          • 1) 산대잡극
            • (1) 연등회·팔관회와 백희
            • (2) 교방가무희
          • 2) 나희
          • 3) 조희
          • 4) 재인과 광대
        • 8. 체육
          • 1) 격구
          • 2) 궁사
          • 3) 투호
          • 4) 마상재(마술)
          • 5) 축국
          • 6) 수박
          • 7) 각저
        • 9. 민속
          • 1) 세시풍속
            • (1) 봄철의 세시풍속
            • (2) 여름철의 세시풍속
            • (3) 가을철의 세시풍속
            • (4) 겨울철의 세시풍속
          • 2) 민속놀이
            • (1) 예능적 내용
            • (2) 경기적 내용
            • (3) 유희적 내용
            • (4) 오락적 내용
        • 10. 의식주생활
          • 1) 의생활
            • (1) 개관
            • (2) 복제의 정비
            • (3) 몽고복식의 영향
            • (4) 고려 후기의 복식
          • 2) 식생활
            • (1) 곡물의 증산과 병과류의 기술증진
            • (2) 숭불환경과 차·채소음식·조면의 발달
            • (3) 고기음식과 유즙, 기타 찬물류
            • (4) 고려의 대외교류와 식생활
          • 3) 주생활
            • (1) 백성의 살림
            • (2) 제택의 규모와 생활
            • (3) 살림집의 성향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9. 민속

1) 세시풍속

 고려시대의 풍속이 형식상으로는 고구려의 유풍이라고 스스로 말하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신라의 지식계급이 깊숙이 자리잡아서 그들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아울러 후기에는 몽고풍속의 영향을 받아 절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은 즉위한 해 6월에 조서를 내려 이전의 풍속을 바꾸어 모두 새롭게 할 것을 밝혔다.0919)

 그러나 한편으로 궁예에 의해 만들어졌던 새 체제가 오히려 백성들을 혼란케 하였으므로 모두 신라의 제도를 따르고 그 중에서 알기 쉬운 것만을 새로운 제도에 따르도록 하여0920) 신라의 풍속과 제도가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아울러 태조의<訓要十條>에 의하면,0921) 네 번째로 언급한 내용 중 우리 동방의 문물·예악은 당의 풍속을 본받아 준수하여 왔으나 반드시 구차하게 같이하려 하지 말라며 주체성을 강조하였고, 거란의 풍속은 본받지 말도록 경계하고 있다. 6조에서 지극히 원하는 바는 燃燈과 八關에 있다 하고, 연등은 불교를 섬기는 것이고 팔관은 하늘의 신령 및 5嶽·명산·대천과 용신을 섬기는 것이라 하였다. 이것은 고려왕조의 신앙적 구조를 말해주는 것으로 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을 알 수 있다.

 平壤의 木覓과 東明神祠에 제사지내고0922) 팔관회를 통해 고구려의 국가적 제례인 東盟을 이어받아 10월 보름날 소찬을 차려 놓고 팔관재를 거행하던0923) 고려왕조는 巫俗을 숭상하였고, 산신·해신·성황신 및 집안을 지켜주는 가신도 섬겼다. 그러므로 외래인의 눈에는, 고려인들이 귀신을 두려워하여 믿고 음양에 얽매여 병이 들어도 약을 먹지 않고 부자간에도 보지 않으며 방자와 압승만을 한다고 보였을 것이다.0924) 당시 俗謠인<動動>에는 5월에 먹는 ‘수릿날 아藥’과 9월에 ‘藥이라 먹는 黃花’0925)가 노래불려져 민간약에도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풍속은 신라의 전래풍이 많았는데, 신분상 士農工商 중에 선비(儒)를 귀히 여겨 글을 모르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다고 한다. 상업의 경우는 물물교환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장사치는 멀리 나들이 하지 않고 대낮에 고을로 가서 각각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서로 바꾸는 것으로서 만족하는 듯하다고 한 언급에서 알 수 있다.0926)

 남자와 여자의 혼인에는 경솔히 합치고 헤어지기를 쉽게 하는 것으로0927) 보였는가 하면, 연소자를 데려다가 성년이 되어 혼인시키는 豫壻의 풍속도 있었고0928) 일부다처, 축첩의 습속, 근친혼, 동성혼의 폐해도 있었다.

 그러나 문물예의의 나라로 일컬어졌고 음식을 먹을 때 俎豆를 사용하고, 서로 주고 받는데 절하고 무릎을 꿇어 공경하고 삼가는 것이 족히 숭상할 만한 것이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민풍은 돈후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성들은 항아리를 머리에 이는데 한 손으로 항아리 귀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옷을 추키며 등에 아이를 업는 모습도 요즘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이라 하겠다.0929)

 세시풍속은 신라의 추석(한가위)·수리·유두 등이 계속 전승되고, 중국에서 들어온 한식·백중·칠석·중양·동지 등이 정착되는 시기로 봄의 연등과 겨울의 팔관회가 고유한 세시풍속으로 자리잡았다. 고려시대의 俗節에는 元正·上元·寒食·上巳(삼짇날)·端午·重九(重陽)·冬至·八關·秋夕 등 아홉 가지가 있었으며, 愼日은 歲首·子午日·2월 초하루였다.0930)

 궁중에서는 원정·동지·인일·입춘·新雪 등에 하례하는 의식을 거행하였다.0931) 인일에는 신하들에게 人勝祿牌를 내리며, 입춘 때는 春幡子를 주는데 이는 綵絹을 잘라서 만든 작은 기이다. 첫눈이 오면 하례를 하는데, 小雪이 지난 다음 大雪 전에 눈이 오면 하례하고 소설 전에 눈이 오면 괴이한 눈이라 하여 하례하지 않았다.

 고려시대의 세시풍속 중 궁중풍속은 비교적 여러 기록에 의해 자세히 밝혀져 있으나 민간풍속은 부분적으로 눈에 뜨일 뿐이다. 거란과 몽고의 습속이 습합된 것도 고려시대의 특이성인데, 한때 사치풍조가 만연되기도 하였던 것 같다.

朕이 선왕을 우러러 본받아 검소한 덕을 행하고자 음식을 절감하고 嗜慾을 마음대로 하지 않았다. 근일 듣건대 서울과 지방의 풍속이 사치를 좋아하여 그침이 없고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음식이 여러 가지로 너무 많아서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 하니 매우 마음 아픈 일이로다(≪高麗史≫권 11, 世家 11, 숙종 원년 정월 갑인).

 숙종의 교서를 통해, 고려시대 풍속에서 먹고 마시는 소비풍조와 사치풍속이 지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喪葬의 풍속이나 전반적인 면에서 경박한 풍속은 고치고자 한 노력도 보인다.

 요즈음 세상의 道가 점점 나빠지고 풍속이 경박하여 부모에게 불효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없으며 혹은 어린 자식을 버리고 妻妾을 버리며 혹은 喪中에 방탕하게 놀며 부모의 유골을 임시로 절에 草殯해 놓고 여러 해가 지나도록 매장하지 않는 자가 있다. 마땅히 해당 관리로 하여금 검찰하여 벌을 주되, 만일 가난하여 장례를 치르지 못한 자에게는 관에서 장례비를 지급하라(≪高麗史≫권 16, 世家 16, 인종 11년 6월 을사).

 고려시대는 국가적인 시책의 하나로 月令에 따라 모든 행사를 거행하도록 교지를 내렸는데 의종 22년(1168) 3월의 일이다.0932)

 이같이 월령을 따르라는 명령은 음양의 이치에 순응하면서 장차 낡은 것을 고치고 새로운 것을 정하려는 의도와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 의종의 교지 가운데는 佛法을 존중함과 아울러 仙風을 숭상하고 이어받도록 하여 신라 이래 크게 행한 선풍을 팔관회와 연계시키고 있다. 또 월령행사는 이른바 歲時行事로서 세시풍속과 다르지 않다. 비록 궁중의 법도이기는 하여도 많은 民間俗에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향읍의 세시풍속은 궁중풍속과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이나 결국 궁중속과 민간속은 상호교섭의 관계를 유지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봄 연등, 한겨울 팔관은 궁중속이면서도 기층사회에서도 행해졌으며 오늘날은 오히려 민간속으로 침잠되어 잔존하고 있으며, 설·입춘·단오·유두·칠석·중양·동지·수세 등의 월령행사는 궁중과 민간의 풍속으로 병존하였다.

 고려의 풍속은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삼국과 통일신라의 계통을 따랐으며 여기에 창의적인 면을 추가하였다. 또한 중국과 동북아시아, 이슬람 등의 외래문화적 영향을 받아 절충되는 면모를 나타냈음을 파악할 수 있는 바다. 따라서 고려시대 풍속은 궁중과 민간, 전통과 외래적 요소를 고루 견지했는데 구체적으로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0919)≪高麗史≫권 1, 世家 1, 태조 원년 6월 정사.
0920)≪高麗史≫권 1, 世家 1, 태조 원년 6월 무진.
0921)≪高麗史≫권 2, 世家 2, 태조 26년 4월.
0922)≪高麗史≫권 13, 世家 13, 예종 4년 하4월 을유.
0923) 徐 兢,≪高麗圖經≫ 권 17, 祠宇.
0924) 徐 兢, 위와 같음.
0925)≪樂學軌範≫ 권 5, 牙拍.
0926) 徐 兢,≪高麗圖經≫ 권 19, 民庶.
0927) 徐 兢, 위와 같음.
0928)≪高麗史≫권 27, 世家 27, 원종 12년 2월 경신.
0929) 徐 兢,≪高麗圖經≫ 권 22, 雜俗 및 권 20, 婦人 戴.
0930)≪高麗史≫권 84, 志 38, 刑法 1, 名禮, 禁刑 國忌.
0931)≪高麗史≫권 67, 志 21, 禮 9.
0932)≪高麗史≫권 18, 世家 18, 의종 22년 3월 무자.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