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Ⅰ. 학문의 발전4. 지리지의 편찬과 지도의 제작3) 세계지도의 제작(2)≪해동제국기≫의 일본 및 유구국지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1. 성리학의 보급
          • 1) 성리학의 역할
            • (1) 사회개혁 사상
            • (2) 왕권과 양반사대부와의 균형
          • 2) 5례·4례의 정비
            • (1) 5례의 정비
            • (2) 4례의 장려
          • 3) 문묘제도의 정비
            • (1) 학교와 존현의 중시
            • (2) 4배향제의 확립
            • (3) 권근 문묘종사 논의
            • (4) 도학적 문묘의례의 확대
          • 4) 대표적인 성리학자들
            • (1) 정도전(1337∼1398)
            • (2) 권근(1352∼1409)
            • (3) 김시습(1435∼1493)
            • (4) 남효온(1453∼1492)
            • (5) 김굉필(1454∼1504)
            • (6) 정여창(1450∼1504)
        • 2. 훈민정음의 창제
          • 1)≪훈민정음≫(해례본)
          • 2) 훈민정음의 창제
            • (1) 창제의 시기
            • (2) 창제자
            • (3) 창제의 동기
            • (4) 제자의 원리
            • (5) 제자의 이론적 기초
            • (6) 합자법과 용자법
          • 3) 훈민정음의 반포
          • 4) 기원설들의 검토
          • 5)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 (1) 민족문화의 창조
            • (2) 훈민정음과 우리 민족의 문자생활
            • (3) 세계 문자사에서 본 훈민정음
          • 6) 훈민정음과 관련된 사업들
            • (1) 언문청과 정음청
            • (2) 서적의 간행
            • (3) 간경도감의 불경언해
        • 3. 역사학
          • 1) 민족사의 체계화와 전대사의 정리
            • (1) 전대사의 체계화
            • (2) 고려시대사의 정리
            • (3) 전대사의 체계적 정리
          • 2) 춘추관과 당대사의 편찬
            • (1)≪용비어천가≫와 조선건국사 정리
            • (2) 춘추관과 사관
            • (3) 실록의 편찬과 보관
          • 3) 역사학과 역사사상의 성격
        • 4. 지리지의 편찬과 지도의 제작
          • 1) 지리지의 편찬
            • (1)≪경상도지리지≫의 편찬
            • (2)≪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
            • (3)≪경상도속찬지리지≫이 편찬
            • (4)≪동국여지승람≫의 편찬
          • 2) 국내지도의 제작
            • (1) 조선 초기에 제작된 지도
            • (2) 동람도의 제작
            • (3) 조선방역도
          • 3) 세계지도의 제작
            • (1) 조선 전기의 세계지도
            • (2)≪해동제국기≫의 일본 및 유구국지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1. 국가제사
          • 1) 종묘와 사직
          • 2) 자연신
            • (1) 원구제
            • (2) 자연신
          • 3) 문묘
          • 4) 역대시조
        • 2. 불교
          • 1) 억불정책과 교단의 존폐
            • (1) 억불정책의 전개
            • (2) 양종과 승과의 폐지
          • 2) 도첩제와 부역승
            • (1) 도첩제의 강화와 폐지
            • (2) 승려의 부역과 그 신분 하락
          • 3) 왕실의 불교숭신과 불교행사
            • (1) 숭불의 왕과 그 불사
            • (2) 척불정책 하에서의 왕실불사
          • 4) 민간의 불교신앙
            • (1) 관음신앙
            • (2) 미타신앙
            • (3) 불탄일 연등과 수륙재
          • 5) 사찰재산과 승려의 경제활동
            • (1) 사찰재산
            • (2) 승려들의 경제활동
          • 6) 당시의 고승들
            • (1) 자초와 기화
            • (2) 세종대의 명승들
            • (3) 세조대의 고승들
        • 3. 도교
          • 1) 소격서 중심의 과의적 도교
          • 2) 수련적 도교의 발전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유구국지도(<지도 5>)

 이 지도도 위에서 언급한 행기도에는 없는 지도이며 일본승 道安이 들여 온 지도로 추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안은 일본국도와 유구국도를 우리 나라에 전했고, 그것을 다시 모사하여 정부기관과 궁중에 보관하게 한 기록이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보면 일본국도와 琉球國之圖는 우리 나라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일본본국지도와 구주지도에서는 전통적인 행기도를 따르고 있으며 지형의 표시가 전혀 없다. 유구국지도에서는 산맥과 灣入이 위에서 언급한 두 지도보다 훨씬 상세하며, 포구와 城도 자세하게 기록되었다. 유구(현재의 오끼나와)섬뿐 아니라 주위에 산재하는 약 20개의 섬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두 유구에서의 거리를 里數로 기입하였다. 또 섬에 유인도임을 표시하기도 했다.≪해동제국기≫의 유구국도는 전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제외하고는 거의 원형대로 조선 후기의 지도첩에 전해지고 있다.

<지도 5>琉球國地圖

 일본국 一岐島之圖(<지도 6>)와 일본국 對馬島之圖(<지도 7>)는 유구국지도와 같이 일본의 행기도와 관련이 없는 지도이고, 순전히 우리 나라에서 자료를 모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태종 2년에 제작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일본국도의 원본으로 추정되는 것은 朴敦之가 일본에서 들여온 지도인데, 그곳에도 일기도와 대마도가 빠져 있어서 일기도와 대마도를 보충하여 완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465) 그러나 일기도와 대마도의 지도는 박돈지가 들여온 일본도에 포함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박돈지의 지도를 원본으로 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일본국지도에 보이는 일기도와 대마도는 차이가 너무 크고, 박돈지의 지도는 우리 나라에 들여온 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재모사하였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즉 세종 2년(1420)과 세종 17년에도 예조에서 모사하였다.466) 지도에 대한 중요성은 어느 시대에나 강조되어 왔으나 왜구의 침략으로 곤란을 받고 있던 조선 초기에 일본지도의 중요성은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그 중에도 일기도와 대마도는 우리 나라에 가까운 관계로 왜구의 근거지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두 섬의 지도에 대한 우리 나라의 관심이 특별하였다는 것을 추정하기는 어렵지 않다.

<지도 6>一岐島之圖

<지도 7>對馬島地圖

 이러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던 만큼≪해동제국기≫의 6장의 지도 가운데 가장 상세한 지도가 일기도와 대마도지도이다. 일기도와 대마도지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해안선과 지형이 자세하고 특히 灣入을 강조한 점이다. 왜구의 소탕을 고려한다면 가장 중요한 것이 그들의 근거지인 포구임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포구의 명칭을 모두 일본어 音을 우리 나라의 이두[吏讀]방식467)으로 기록한 점이 매우 특이하며, 이러한 표기가 우리 나라 사람들에 의한 직접 조사를 통해서 만들어진 지도임을 암시해 준다. 지도에 표기된 이두지명을 일본지명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海東諸國紀 對馬島現地名 海東諸國紀 對馬島現地名
訓羅串浦

豆豆浦

完尼老浦

加羅愁浦
船越(Funkosi)

豆酘(Tsutsu)

鰐浦(Waniura)

唐洲(Karasu)
仇時老浦

多計老浦

間沙毛都浦

 
櫛(Kusi)

竹敷(Takesiki)

風本(Kazemoto)

 

<표 1>지도표기 지명과 현지명의 비교

李炳銑,≪韓國古代國名地名硏究≫, 附錄 對馬島地名考를 참고하였음.

 「후나고시」(船越)라는 지명은 일본의 섬에 흔히 쓰이는 지명이다. 즉 좁은 地峽으로 灣과 灣이 나누어져 있을 때, 긴 해로를 돌아가지 않고 작은 배의 경우는 배를 들어올려 건너편에 있는 만으로 배를 넘긴다는 뜻이다. 즉 일어의「후나고시」는 한자의 뜻과 같이 ‘배를 넘기는 곳’이라는 뜻이다. 대마도의「후나고시」는 1672년에 동서를 연결하는 수로가 굴착되기 이전에는 좁은 지협을 육지로 넘어서 동서를 연결하던 곳이다. 일본의 遣唐使는「후나고시」까지 작은 배로 와서 지협을 넘어서 큰 배로 갈아타고 중국으로 항해했다고 한다.468)

 끝으로≪해동제국기≫에 삽입된 대마도의 모양이다. 첫째 대마도는 상하 2개의 섬인데 왜 하나로 되었는가 하는 의문인데, 1672년에 수로의 굴착으로 2개의 섬이 되었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는 남북으로 긴 섬을 등을 구부린 새우 또는 말발굽 모양으로 남북보다도 오히려 동서를 길게 만든 데 대한 의문이다. 실제로 대마도는 남북의 길이가 약 82㎞이고 동서가 18㎞로 남북의 길이는 동서의 약 4.5배나 된다. 반대로≪해동제국기≫의 대마도는 동서의 폭이 남북의 길이 보다 약 1.3배나 더 길다. 이러한 지도 모양의 변형은≪해동제국기≫의 책의 판현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즉 지도의 방위를 무시하고 남북으로 긴 섬을 구부려 말발굽 모양으로 그린 것이다.≪해동제국기≫의 대마도지도를 구부러진 중앙산맥을 따라서 섬 남북의 길이를 재고 지도의 폭을 재서 비교하면 남북으로 길게 뻗은 섬임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책의 판형 때문에 왜곡된 대마도의 형태는 조선시대 말까지 우리 나라 고지도에 계속 그대로 전사되었다.

<李 燦>

465)≪世宗實錄≫권 80, 세종 20년 2월 계유.
466) 위와 같음.
467) 포구의 지명이 원래 대마도 지명인지 또는 대마도 지명을 우리 나라 사람들이 알아보기 위하여 이두방식으로 고친 것인지는≪해동제국기≫본문과 지도에 나타나는 지명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즉≪해동제국기≫의 道路里數條에는 “自我慶尙道東萊縣富山浦至對馬島之都伊沙只四十八里 自都伊沙只至船越浦十九里 自船越至一岐島風本浦四十八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의 선월은 대마도 지도에서는 訓羅串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一岐島의 풍본포에는 “風本浦倭訓間沙毛都浦”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선월의 日本訓 Funakosi을 訓羅串으로 표기한 것이므로, 우리 한자음과 훈으로 일본 지명을 표기한 것이 확실하다.
468) 金義煥,≪朝鮮通信使의 발자취≫(正音文化社, 1985), 51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