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2.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1. 16세기 사족의 향촌지배
          • 1) 사족지배체제의 형성과 그 의미
          • 2) 재지세력의 변화
          • 3) 사족지배체제와 수령권
          • 4) 향촌기구의 여러 양상
            • (1) 향약의 도입과 정착
            • (2) 유향소의 기능
            • (3) 향교와 사마소
        • 2.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 1)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배경
          • 2) 향촌자치조직의 내용과 성격
            • (1) 유향소와 경재소
            • (2) 향약과 향규
            • (3) 동계와 동약
          • 3) 향촌자치조직의 변질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1. 사족의 향촌지배조직 정비
          • 1) 난후의 향촌실정
          • 2) 향촌지배조직의 복구와 정비
            • (1) 경재소의 혁파와 향촌지배조직의 정비
            • (2) 동계·동약의 중수와 상하합계
        • 2. 사족의 향촌지배와 서원의 발달
          • 1) 사족 중심의 향촌운영
          • 2) 서원의 증설과 역할의 증대
          • 3) 서원정책의 추이
        • 3. 사족의 향권과 수령권
          • 1) 조선 중기 향권의 의미
          • 2) 사족의 향권의 내용
          • 3) 수령권 강화와 사족의 향권 상실
          • 4) 조선 후기 향권의 추이
        • 4. 사족지배체제하의 신분질서
          • 1) 사족 중심 신분질서의 확립
          • 2) 양란중의 신분 혼효와 정리
          • 3) 각 신분의 존재 양상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1. 예학의 발달
          • 1) 가례의 연구와 집성
            • (1)≪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관심
            • (2)≪주자가례≫의 주석과 언해
            • (3)≪주가가례≫연구의 심화
          • 2) 고전 예서의 연구
          • 3) 예학의 경향과 전례 논쟁
            • (1) 예학의 두 경향
            • (2) 전례 논쟁의 배경
            • (3) 인종의 문소전 부묘 논의와 공의전의 복제 논쟁
            • (4) 공빈의 추숭 논란
            • (5) 원종(정원군) 추숭의 전례 논쟁
        • 2. 종법제의 보급과 가족제도의 변화
          • 1) 종법제의 원리
          • 2) 종법과 가족제
          • 3) 제사와 상속
          • 4) 족보의 보급과 동성마을의 형성
        • 3. 유교문화와 농민사회
          • 1) 유교문화 원리의 보급
          • 2) 교육기구의 운용과 의례의 수용
          • 3) 의례변화의 제양상
            • (1) 관혼례의 변화
            • (2) 상제례의 변화
          • 4) 농민사회의 예속 변화의 몇 문제
        • 4. 순국·순절자의 포정
          • 1) 사림의 정표운동
          • 2) 국가의 정표정책
      • Ⅳ. 학문과 종교
        • 1. 성리학의 발달
          • 1) 학파의 분화
          • 2) 이기철학의 발달과 전승
          • 3) 17세기 성리학의 추세
            • (1) 율곡학파
            • (2) 퇴계학파
            • (3) 퇴율절충론
            • (4) 탈주자학적 유학사상
          • 4) 존주론과 명분주의
        • 2. 양명학의 전래와 연구
          • 1) 양명학의 전래와 초기 수용형태
          • 2) 양명학의 비판과 수용의 문제
          • 3) 초기 양명학 수용자들의 현실 인식
        • 3. 서양문물의 전래와 반응
          • 1) 서양문물 도입의 주역
            • (1) 내도 양인의 문화적 의의
            • (2) 접촉과 재래의 주역 연행사행원들
          • 2) 17세기 서양문물의 도입
          • 3) 조선사회의 서양문물에 대한 반응
            • (1) 곤여만국전도와≪직방외기≫
            • (2)≪천주실의≫와≪교우론≫
            • (3) 서양기기
            • (4) 한역 천문서와 역산서
          • 4) 서양문물의 실용적 채용
          • 5) 17세기 서양문물 전래의 역사성
        • 4. 실학의 태동
          • 1) 실학의 성립과 그 개념
          • 2) 초기 실학의 계보와 성격
        • 5. 국문 보급과 국어 연구
          • 1) 시대적 특성과 경향
          • 2) 국문 보급과 언문자모
          • 3) 음운학 연구의 전개
          • 4) 어휘 정리와 고증적 해석
        • 6. 역사학
          • 1) 역사학의 사상적 배경
          • 2) 고려 이전의 역사에 대한 서술
            • (1) 사략형 사서의 유행
            • (2) 기자에 대한 사료의 수집
            • (3) 강목형 사서의 출현
            • (4) 역사지리학 연구의 심화
            • (5) 해동악부체 시가의 출현과 그 발전
          • 3) 당대사의 편찬
            • (1) 실록의 편찬과 보관
            • (2)≪비변사등록≫등 연대기 기록의 편찬
            • (3) 야사형 사서의 편찬
            • (4) 사찬 지리서의 편찬
            • (5) 일기의 작성
          • 4) 역사학과 사학사상의 특징
        • 7. 불교계의 동향
          • 1) 산중승단
          • 2) 산승의 법통
          • 3) 불교신앙의 제형태
            • (1) 정토신앙
            • (2) 밀교신앙
            • (3) 미륵신앙
            • (4) 기타 신앙 및 도교·민속과의 습합
          • 4) 의승군의 조직과 활동
        • 8. 도교와 민간신앙
          • 1) 도교
            • (1) 과의도교
            • (2) 수련도교
            • (3) 도교적 양생론과 의약 연구
            • (4) 수경신(경신수야)
          • 2) 민간신앙
            • (1) 선서와 관제신앙
            • (2) 도인들의 비밀집단
            • (3) 지리도참
      • Ⅴ. 문학과 예술
        • 1. 문학
          • 1) 시가문학
          • 2) 소설과 판소리
          • 3) 한문학
        • 2. 미술
          • 1) 회화
            • (1) 산수화의 제경향
            • (2) 인물화의 경향
            • (3) 동물화와 화조화의 경향
            • (4) 사군자화와 묵포도화의 경향
          • 2) 서예
            • (1) 고법으로의 복귀
            • (2) 석봉체의 유행
            • (3) 초서와 전예의 명가
            • (4) 필적 간행과 금석 수집
            • (5) 한글서체의 필사화
          • 3)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금속공예
          • 5) 건축
            • (1) 일반건축양식
            • (2) 도성과 궁궐
            • (3) 읍성과 관아, 객사
            • (4) 유교건축
            • (5) 사찰건축
            • (6) 주택
            • (7) 석탑·부도
        • 3. 음악
          • 1) 궁정음악의 전승과 변화
            • (1) 보태평과 정대업
            • (2) 여민락
            • (3) 보허자와 낙양춘
            • (4) 영산회상
            • (5) 정읍과 동동
            • (6) 유황곡과 정동방곡
            • (7) 생가요량과 쌍화곡
            • (8) 제향아악
          • 2) 단가의 발생과 전개
            • (1) 대엽
            • (2) 만대엽
            • (3) 북전
            • (4) 중대엽
            • (5) 삭대엽
          • 3) 기악풍류의 성립과 발달
            • (1) 다스름
            • (2) 영산회상
            • (3) 보허자
            • (4) 여민락
          • 4) 향악조
            • (1) 향악조의 궁
            • (2) 계면조의 음계변화
          • 5) 음악유산
        • 4. 민속
        • 5. 무용·체육
          • 1) 무용
            • (1) 정재무
            • (2) 일무
            • (3) 나례희와 처용무
            • (4) 광대 소학지희
            • (5) 나례우인
          • 2) 체육
            • (1) 성균관에서의 대사례
            • (2) 향교의 향사례
            • (3) 방희
            • (4) 격구
        • 6.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시대배경 및 의생활
            • (2) 의생활 변모의 3단계
            • (3)≪국조오례의≫와≪경국대전≫의 복식
            • (4) 일반 편복 구조
          • 2) 식생활
            • (1) 의례음식의 규범 정립
            • (2) 가정 상비식품의 발달
            • (3) 향토음식의 발달
          • 3) 주생활
            • (1) 주거의 계층적 특성
            • (2) 유교적 생활문화의 확산과 주거 공간의 분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1)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배경

 조선시대의 사회성격은 흔히 ‘양반관료제’라거나, ‘사족지배체제’라고 한다. 만약 그같은 성격 정의에 동의한다면, 특히 조선 중기 사회는 그 중에서도 사족 중심의 자율적인 향촌지배가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부각되는 시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양반, 혹은 사족들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하여 왔을까. 또 그들은 어떠한 지배구조와 운영원리 속에서 향촌사회 지배세력으로 존속할 수 있었을까. 바로 이러한 문제들을 올바로 살피려면, 그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러한 재지지배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의 문제와, 향촌사회의 사족들이 가지고 있는 자율적인 조직문화를 규명하여야 할 것이다.

 조선 초기에 재지사족들이 향촌사회에서의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극복해야할 두 가지의 커다란 과제가 있었다. 그 하나는 고려말 이래 향촌사회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던 토호적인 향리세력과 상대하여 우위권을 확보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조선건국 이래 중앙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했던 지방통제정책에 맞서서 어떻게 자신들의 자율적 지위를 확보하는냐가 바로 그것이었다. 첫째의 과제는 성리학의 정착, 보급과정이나 중앙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받으면서 진행되었지만, 둘째의 과제 측면에서 본다면 이는 오히려 수령이나 국가(중앙)권력에 의하여 사족들이 동원되는 형태였기 때문에 또다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더구나 개국 이후 잦은 정변과 중앙권력의 재편이 어느 정도 완수되면서는 새롭게 특권을 지닌 공신과 훈척들의 간섭과 견제를 배제하는 일까지 새롭게 부가된다. 그것은 훈척들이 지방에 토지기반을 가지게 되면서 재지사족과 농민지배와 관련한 갈등이 야기되었기 때문이었다.0032)

 조선 중기 향촌자치조직은 어떤 의미에서 조선시대 사족의 향촌지배라는 기본적 성격을 특징지우는 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향촌사회는 조선 초 정립된 군현체제 아래에서 중앙정부에 의해 추진되는 수령 중심의 행정조직체계와, 이에 일정하게 대립·갈등하면서 재지세력들이 추구했던 자율적 향촌지배, 그리고 이러한 지배층들과는 다르게 자연촌적인 체계 속에서 생활공동체의 일부로 존재하던 기층민들이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면서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 초 지방제도의 개편은 태종 13년(1413) 이후 단행되기 시작하여,0033) 세조 2년(1456)에는<郡縣竝合事目>의 반포로 郡縣의 통·폐합, 郡縣治所의 新定 등0034) 군현정비가 마무리되었다. 그 결과 세종 말까지는 군현의 수가 300여 개로 통폐합되었으며, 중앙정부는 궁극적으로 이들 지방군현을 직접 지배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외관의 품계격상(태종대), 수령구임법과 부민고소금지법 실시(세종대) 등등은 바로 이같은 향촌에서의 수령권 강화를 위한 조치였다.

 그리하여 선초의 수령에게는 행정·사법·군사권 등 입법권을 제외한 담당 고을에서의 절대권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집권적이며 수령 중심적인 향촌통치책은 기존 향촌세력의 심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의 향촌세력의 두 계열은 고려시대 이래의 토호적 성격을 계승한 吏族세력과, 새롭게 성장한 士族세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0035) 그런데 이들 두 세력의 사회적 이해관계나 성장배경은 달랐지만, 조선 초기의 중앙집권 강화나 수령을 통한 관권 위주의 지방통제정책에 대하여는 모두가 비판적이었다. 다만 선초의 강화된 수령권에 대한 이족세력(향리)의 반발이 주로 수령능욕·구타·무고·모살 등의 불법적 방법으로 이루어졌다면, 재지사족들은 보다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향촌사회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런데 이같이 중앙정부가 기도했던 수령체제 혹은 수령권의 강화로 대변되는 지방통제 정책은 기득권을 확보하고 있던 재지세력(토호·이족)들과 고려말 이래 재지기반 위에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던 사족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아닐 수 없었다. 이같은 지방통제정책에 대응하여 향촌사회세력들은 다양한 자기 방어와 적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사족들은 바로 그 과정에서 나름대로 사림(사족)을 주축으로 하는 향촌자치 조직들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향촌의 자율을 추구하게 된다.

 유향소를 중심으로 한 향촌지배세력의 수령권에 대한 반발이나, 수령 혹은 경재소를 통한 중앙정부의 재지세력 통제 욕구는 바로 이 시기 향촌사회가 갖는 복잡한 구조를 대변한다. 여기에 향촌사회 내부에서의 사족과 이족간의 갈등, 그리고 지주적 특권을 가진 사족과 기층농민 사이의 문제가 혼재되면서 조선 전기의 향촌사회는 중앙권력과 재지사족 양자간의 타협이 전제되는 ‘16세기의 사족지배체제’를 완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되어가는 과정상에서 훈구파와 사림파라는 서로 대립적인 정치세력의 상충이 있었고, 그들이 함께 추진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성리학이라는 이념적 사회운영원리가 작용되기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향약시행을 둘러싼 논의나 향촌지배권을 선점·확보하기 위한 대립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정치·사상적인 변화상과 함께 향촌사회 내부에서는 지주층으로 성장하는 사족들이 자신들의 향촌지배권을 중앙권력(수령권)으로부터 지키려는 자발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었다. 때로 그것은 향약이나 향규·향안과 같이 一鄕을 망라하는 조직형태로 구체화되기도 하였고, 그보다는 좀더 하부체계로서 親隣·同志的 성격을 가지는 사족들의 결사체인 洞契 조직으로 성립되기도 했다. 이들 조직은 부언할 필요도 없이 성리학적 사족지배질서를 향촌사회에 이식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동계조직과 향약·향안·향규조직은 서로 기반과 배경이 되면서 이들 사족들의 이해를 대변·반영하는 향촌지배구조를 성립시켰으며, 적어도 16세기 중반경에 이르면 이들 조직의 결속력을 기반으로 사족들은 일향의 지배를 실현할 수 있었다고 보여진다.

 16∼17세기의 사족지배체제는 바로 이러한 복잡한 과제의 극복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족들에 의하여 추진된 일련의 이 시기 향촌활동들이 모두 이러한 재지사족의 지위유지와 그 성장수단으로 모색되고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0036) 따라서 그 내용은 대체로 자율적인 재지지배권 확보와 결속력 의지를 반영하게 마련이었고, 그 모습은 유향소나 경재소의 조직과 운용, 향약과 사창제의 시행, 동계의 조직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16세기 이래 재지사족들은 부세운영과 향임층에 대한 인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율권을 행사하기도 하고, 향규·향약·동계를 만들어 향리와 일반민들을 그들의 지배하에 수렴할 수 있었다.

 이같은 사족들의 향촌지배구조를 우리는 鄕案秩序라고 부르는데 향안이 바로 이들 주도적인 향촌사족들의 대표적인 조직이자 그 名案이었기 때문이다. 향안에 입록된 사족들은 ‘鄕會’로 대표되는 그들 중심의 합의체적 향촌권력기구를 통해 留鄕所(鄕所)의 좌수·별감 등 鄕任을 선출·통제하였고 ‘鄕規’를 만들어 吏胥와 하층민들을 통제하고 위로는 관권과 일정하게 타협하면서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사족이 매개가 되는 지방통치의 방식은 봉건정부의 당시 입장에서 보면 상보적인 타협의 소산이기도 하였다. 즉 국가권력으로서도 지방지배에 있어 고려 이래의 토착적 기반을 가지고 있던 향리집단들을 제어하는 동반자로서 사족을 선택하여야 했던 현실, 그리고 향촌사회의 공동체적 질서와 물적 토대가 확고했던 재지사족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같은 향촌사회의 지배구조가 가능했던 기본 배경에는 이 시기 지배이념과 사족들의 위상강화가 연결되어 있었고, 그와 함께 사족들의 결사체적인 조직들이 발달할 만한 사회·경제·문화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었다. 성리학 이념의 정착과정, 15세기 이후 농법의 발달과 그에 수반한 경지의 확대과정은 사족들의 경제력 상승에 크게 기여하였다.0037) 더구나 아직은 사족들의 경제적 성장이 기층민과 마찰을 야기할 상황에 이르지는 않았으므로 자율성과 성리학 교화이념을 앞세운 사족들의 향촌지배는 자연스럽게 진행되었으며, 이해를 같이하는 사족들의 공동이해를 반영하는 洞契와 같은 결사체적인 조직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기층민 지배도 가능하였던 것이다.0038)

 이러한 향촌의 자치와 자율추구 경향은 중앙권력의 통제와 지배층(사림·사족)의 공조적인 타협으로 일시 변형되기도 하고, 일정하게는 조선 전기 향촌사회가 구조적으로 지니고 있던 한계 속에서 본래 목적했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 면도 있었으나 꾸준히 그 자율추구의 성향을 지속시켰다.

0032)李海濬,<朝鮮前期의 鄕村自治制>(≪國史館論叢≫9, 1989).
0033)≪太宗實錄≫권 26, 태종 13년 10월 신유.
0034)≪世祖實錄≫권 5, 세조 2년 11월 기축.
0035)李成茂,<朝鮮初期의 鄕吏>(≪韓國史硏究≫5, 1970).

李樹健,<高麗後期「土姓」硏究>(≪東洋文化≫20·21, 嶺南大, 1981).
0036)李泰鎭,<士林派의 留鄕所 復立運動>(≪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6).
0037)李泰鎭,<15∼6세기 新儒學 定着의 社會經濟的 背景>(≪奎章閣≫5, 1981).

―――,<16세기의 川防(洑) 灌漑의 發達>(≪韓㳓劤博士停年記念史學論叢≫, 1981).
0038)이해준,<조선후기 동계·동약과 촌락공동체조직의 성격>(≪조선후기향약연구≫, 민음사, 199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