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Ⅴ. 문학과 예술1. 문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1. 16세기 사족의 향촌지배
          • 1) 사족지배체제의 형성과 그 의미
          • 2) 재지세력의 변화
          • 3) 사족지배체제와 수령권
          • 4) 향촌기구의 여러 양상
            • (1) 향약의 도입과 정착
            • (2) 유향소의 기능
            • (3) 향교와 사마소
        • 2.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 1)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배경
          • 2) 향촌자치조직의 내용과 성격
            • (1) 유향소와 경재소
            • (2) 향약과 향규
            • (3) 동계와 동약
          • 3) 향촌자치조직의 변질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1. 사족의 향촌지배조직 정비
          • 1) 난후의 향촌실정
          • 2) 향촌지배조직의 복구와 정비
            • (1) 경재소의 혁파와 향촌지배조직의 정비
            • (2) 동계·동약의 중수와 상하합계
        • 2. 사족의 향촌지배와 서원의 발달
          • 1) 사족 중심의 향촌운영
          • 2) 서원의 증설과 역할의 증대
          • 3) 서원정책의 추이
        • 3. 사족의 향권과 수령권
          • 1) 조선 중기 향권의 의미
          • 2) 사족의 향권의 내용
          • 3) 수령권 강화와 사족의 향권 상실
          • 4) 조선 후기 향권의 추이
        • 4. 사족지배체제하의 신분질서
          • 1) 사족 중심 신분질서의 확립
          • 2) 양란중의 신분 혼효와 정리
          • 3) 각 신분의 존재 양상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1. 예학의 발달
          • 1) 가례의 연구와 집성
            • (1)≪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관심
            • (2)≪주자가례≫의 주석과 언해
            • (3)≪주가가례≫연구의 심화
          • 2) 고전 예서의 연구
          • 3) 예학의 경향과 전례 논쟁
            • (1) 예학의 두 경향
            • (2) 전례 논쟁의 배경
            • (3) 인종의 문소전 부묘 논의와 공의전의 복제 논쟁
            • (4) 공빈의 추숭 논란
            • (5) 원종(정원군) 추숭의 전례 논쟁
        • 2. 종법제의 보급과 가족제도의 변화
          • 1) 종법제의 원리
          • 2) 종법과 가족제
          • 3) 제사와 상속
          • 4) 족보의 보급과 동성마을의 형성
        • 3. 유교문화와 농민사회
          • 1) 유교문화 원리의 보급
          • 2) 교육기구의 운용과 의례의 수용
          • 3) 의례변화의 제양상
            • (1) 관혼례의 변화
            • (2) 상제례의 변화
          • 4) 농민사회의 예속 변화의 몇 문제
        • 4. 순국·순절자의 포정
          • 1) 사림의 정표운동
          • 2) 국가의 정표정책
      • Ⅳ. 학문과 종교
        • 1. 성리학의 발달
          • 1) 학파의 분화
          • 2) 이기철학의 발달과 전승
          • 3) 17세기 성리학의 추세
            • (1) 율곡학파
            • (2) 퇴계학파
            • (3) 퇴율절충론
            • (4) 탈주자학적 유학사상
          • 4) 존주론과 명분주의
        • 2. 양명학의 전래와 연구
          • 1) 양명학의 전래와 초기 수용형태
          • 2) 양명학의 비판과 수용의 문제
          • 3) 초기 양명학 수용자들의 현실 인식
        • 3. 서양문물의 전래와 반응
          • 1) 서양문물 도입의 주역
            • (1) 내도 양인의 문화적 의의
            • (2) 접촉과 재래의 주역 연행사행원들
          • 2) 17세기 서양문물의 도입
          • 3) 조선사회의 서양문물에 대한 반응
            • (1) 곤여만국전도와≪직방외기≫
            • (2)≪천주실의≫와≪교우론≫
            • (3) 서양기기
            • (4) 한역 천문서와 역산서
          • 4) 서양문물의 실용적 채용
          • 5) 17세기 서양문물 전래의 역사성
        • 4. 실학의 태동
          • 1) 실학의 성립과 그 개념
          • 2) 초기 실학의 계보와 성격
        • 5. 국문 보급과 국어 연구
          • 1) 시대적 특성과 경향
          • 2) 국문 보급과 언문자모
          • 3) 음운학 연구의 전개
          • 4) 어휘 정리와 고증적 해석
        • 6. 역사학
          • 1) 역사학의 사상적 배경
          • 2) 고려 이전의 역사에 대한 서술
            • (1) 사략형 사서의 유행
            • (2) 기자에 대한 사료의 수집
            • (3) 강목형 사서의 출현
            • (4) 역사지리학 연구의 심화
            • (5) 해동악부체 시가의 출현과 그 발전
          • 3) 당대사의 편찬
            • (1) 실록의 편찬과 보관
            • (2)≪비변사등록≫등 연대기 기록의 편찬
            • (3) 야사형 사서의 편찬
            • (4) 사찬 지리서의 편찬
            • (5) 일기의 작성
          • 4) 역사학과 사학사상의 특징
        • 7. 불교계의 동향
          • 1) 산중승단
          • 2) 산승의 법통
          • 3) 불교신앙의 제형태
            • (1) 정토신앙
            • (2) 밀교신앙
            • (3) 미륵신앙
            • (4) 기타 신앙 및 도교·민속과의 습합
          • 4) 의승군의 조직과 활동
        • 8. 도교와 민간신앙
          • 1) 도교
            • (1) 과의도교
            • (2) 수련도교
            • (3) 도교적 양생론과 의약 연구
            • (4) 수경신(경신수야)
          • 2) 민간신앙
            • (1) 선서와 관제신앙
            • (2) 도인들의 비밀집단
            • (3) 지리도참
      • Ⅴ. 문학과 예술
        • 1. 문학
          • 1) 시가문학
          • 2) 소설과 판소리
          • 3) 한문학
        • 2. 미술
          • 1) 회화
            • (1) 산수화의 제경향
            • (2) 인물화의 경향
            • (3) 동물화와 화조화의 경향
            • (4) 사군자화와 묵포도화의 경향
          • 2) 서예
            • (1) 고법으로의 복귀
            • (2) 석봉체의 유행
            • (3) 초서와 전예의 명가
            • (4) 필적 간행과 금석 수집
            • (5) 한글서체의 필사화
          • 3)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금속공예
          • 5) 건축
            • (1) 일반건축양식
            • (2) 도성과 궁궐
            • (3) 읍성과 관아, 객사
            • (4) 유교건축
            • (5) 사찰건축
            • (6) 주택
            • (7) 석탑·부도
        • 3. 음악
          • 1) 궁정음악의 전승과 변화
            • (1) 보태평과 정대업
            • (2) 여민락
            • (3) 보허자와 낙양춘
            • (4) 영산회상
            • (5) 정읍과 동동
            • (6) 유황곡과 정동방곡
            • (7) 생가요량과 쌍화곡
            • (8) 제향아악
          • 2) 단가의 발생과 전개
            • (1) 대엽
            • (2) 만대엽
            • (3) 북전
            • (4) 중대엽
            • (5) 삭대엽
          • 3) 기악풍류의 성립과 발달
            • (1) 다스름
            • (2) 영산회상
            • (3) 보허자
            • (4) 여민락
          • 4) 향악조
            • (1) 향악조의 궁
            • (2) 계면조의 음계변화
          • 5) 음악유산
        • 4. 민속
        • 5. 무용·체육
          • 1) 무용
            • (1) 정재무
            • (2) 일무
            • (3) 나례희와 처용무
            • (4) 광대 소학지희
            • (5) 나례우인
          • 2) 체육
            • (1) 성균관에서의 대사례
            • (2) 향교의 향사례
            • (3) 방희
            • (4) 격구
        • 6.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시대배경 및 의생활
            • (2) 의생활 변모의 3단계
            • (3)≪국조오례의≫와≪경국대전≫의 복식
            • (4) 일반 편복 구조
          • 2) 식생활
            • (1) 의례음식의 규범 정립
            • (2) 가정 상비식품의 발달
            • (3) 향토음식의 발달
          • 3) 주생활
            • (1) 주거의 계층적 특성
            • (2) 유교적 생활문화의 확산과 주거 공간의 분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시가문학

 16세기에 국문 시가문학은 형식의 세련성과 내용의 깊이에 있어 뚜렷한 발전을 보였다. 이 시기 국문 시가문학의 주 담당층은 사대부로서, 그들은 강호자연 속에서 심성을 수양하는 자신의 삶을 노래하거나, 유가적 이념을 향촌의 피지배계급에게 전파하려는 교훈적 내용을 작품에 담았다.

 16세기의 사대부들이 국문시가를 통해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나름의 근거는<陶山十二曲>을 지은 李滉(1501∼1570)의 언급을 통해 잘 파악할 수 있다.

한거하여 휴양하는 여가로 무릇 性情에 느낌이 있는 것을 매양 시로 표현하는데, 지금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다르기 때문에 읊조릴 수는 있으나 노래할 수는 없어, 만약 노래를 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俚俗의 말로 엮지 않을 수 없다. 대개 國俗의 음절이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李滉,≪退溪集≫ 권 42,<陶山十二曲跋>).

 16세기 국문시가의 존재 의의는 이처럼 歌唱의 필요성에 그 핵심이 놓여 있었다. 또한<도산십이곡>의 주제를 ‘言志’와 ‘言學’으로 설정한 바와 같이, 기존의 翰林別曲類의 ‘矜豪放蕩’이나 李鼈<六歌>의 ‘玩世不恭’과는 다른 차원의 ‘溫柔敦厚’한 수준을 얻고자 하였다.

 16세기 전, 중반은 재지 사림이 성리학의 도학정치 이념을 앞세우며 훈척세력에게 도전한 시대였다.

 이로 인해 일어난 네 차례의 거듭된 사화와 잦은 정변은 일부 재지 사림들에게 정치현실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하였다. 이 시기에 창작된 李賢輔(1467∼1555), 李滉, 權好文(1532∼1587), 李珥(1536∼1584) 등의 국문시가에는 사림들의 이러한 의식이 적절히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부패한 정치와 도덕적 이상을 상호 대립적인 항으로 인식하였다.

古人도 날 몯 보고 나도 古人 몯 뵈

古人을 못 봐도 녀던 길 알 잇니

녀던 길 알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李滉,<陶山十二曲> 言學 3수).

 

高山 九曲潭을 사이 모로더니

誅茅 卜居니 벗님 다 오신다

어즈버 武夷를 想像고 學朱子를 리라(李珥,<高山九曲歌> 1수).

 이들에게 있어 강호자연은 정치현실 이상의 가치를 지닌 求道의 공간이었다. 그들은 불변하는 理法이 현현해 있는 이 강호자연과의 친화를 통해서 철학적 깊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修己와 治人의 이상이 현실 정치에서 순조롭게 연결되지 못할 때에는 강호자연과 정치현실 사이에서 선택의 문제가 불가피하게 제기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권호문의 경우에서 보듯이 현실정치를 포기하고 강호에서의 삶을 선택하는 고뇌가 표현되기도 한다.

江湖에 노쟈 니 聖主를 리례고

聖主를 셤기쟈 니 所樂애 어긔예라

호온자 岐路애 셔셔 갈  몰라 노라 (權好文,≪松巖集≫ 續集 권 6,<閒居十八曲>4수).

 16세기 중반 선조대를 거치면서, 사림들은 훈척세력과의 치열한 정치투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중앙정계를 장악한다. 그러나 다시 사림들 내부에서 분파가 생김으로써, 16세기 신진 사림들이 훈척세력에 대항하여 추구했던 바의 至治主義는 이제 명분으로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상황은 국문시가를 대하는 자세에도 변화를 가져와, 鄭澈(1536∼1593), 申欽(1566∼1628)의 작품에 오면 도학적 세계로의 침잠이나 사변적 미의식의 추구는 상당히 축소되어 나타난다. 신흠의 다음 시조에서 보듯, 잦은 정치적 부침 속에서 일시적으로 정계를 물러나 있는 지식인에게, 이제 江湖는 정신적 안정감을 회복시켜 주는 휴양의 공간일 따름이다.

산촌에 눈이 오니 돌길이 뭇쳐셰라

柴扉를 여지 마라 날 즈 리 뉘 이시리

밤듕만 一片 明月이 긔 벗인가 노라(金天澤,≪靑丘永言≫(珍本)).

 한편, 16세기 국문시가의 한 흐름인 훈민의 계몽적 경향은, 당시 사림들이 자신의 이념을 향약을 통해 향촌사회에 구현하고자 한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周世鵬(1495∼1554)의<五倫歌>, 宋純(1493∼1584)의<오륜가>, 정철의<訓民歌>등은 유가적 가치규범을 생활화하고자 한 사대부의 의도가 문학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아버님 날 나시고 어마님 랄 기시니

父母옷 아니시면 내 몸이 업실낫다

이 德을 갑려 하니 하 이 업스샷다(周世鵬,≪武陵雜稿≫ 別集,<五倫歌> 2수).

 주세붕의<오륜가>는 序章을 비롯해 父子, 兄弟, 夫婦, 主奴, 長幼의 총 6장으로 되어 있는데, 오륜에 대한 직접적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철의<훈민가>16편은 향촌이라는 구체적 공간에서의 사족과 농민의 윤리에 비중이 놓여 있다.

 이 시기 시조와 더불어 주목해야 할 국문시가는 歌辭이다. 가사는 4음보 연속체의 律文이라는 느슨한 형식적 제약이 있을 뿐, 주제·소재·구성 등에 특별한 제약이 없는 개방적 장르이다. 이 시기에 가사는 시조와 마찬가지로 사대부에 의해 창작되었는데, 송순의<俛仰亭歌>, 白光弘(1522∼1556)의<關西別曲>, 정철의<星山別曲>·<關東別曲>·<思美人曲>·<續美人曲>등이 주목할 만하다.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텬샹 옥경을 엇디야 니별고

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고

어와 네여이고 내 셜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히냐마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나도 님을 미더 군디 젼혀 업서

이야 교야 어러이 구돗디

반기시 비치 녜와 다신고(鄭澈,≪松江歌辭≫(星州本),<續美人曲>).

 정철의 가사는 우리 국문 시가문학의 가장 높은 지점에 놓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우리말을 아름답게 구사한 표현기법은 자못 뛰어나다. 金萬重은≪西浦漫筆≫에서 정철의 이 국문 가사를 동방의<離騷>에 비견하면서, 天機가 자연히 발동한 것이면서도 夷俗의 천박함이 없는(天機之自發, 而無夷俗之鄙俚) 높은 수준의 작품이라고 하였다.<관동별곡>과<사미인곡>은 그래도 한자를 많이 빌어 쓴 반면, 이<속미인곡>은 우리말을 곱게 구사하였기에 가장 뛰어나다고 평하였다.

 양란을 거치고 난 후 17세기에 들어서는 국문 시가문학에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난다.

 16세기에 큰 성취를 이루었던 강호시조는 17세기 尹善道(1587∼1671)의<漁父四時詞>에서 그 언어적·심미적 세련성이 완성된다고 하겠다.<어부사시사>는 계절별로 각 10수씩, 총 40수로 이루어진 연시조로서, 시간적 흐름에 따라 전개되어 전편이 하나의 완결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압개예 안 것고 뒫뫼희  비췬다

 떠라  떠라

밤믈은 거의 디고 낟믈이 미러 온다

至匊悤 至匊悤 於思臥

江村 온갓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尹善道,≪孤山遺稿≫ 권 6,<漁父四時詞> 春詞 1수).

 윤선도의<어부사시사>에는 강호에서 누리는 기쁨과 충족감이 어부의 고양된 흥취와 더불어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다.

 한편 이 시기는 당쟁이 활발했던 시기임으로 해서 姜復中(1563∼1639)의<癸亥反正歌>와 같이 西人을 찬양하는 내용과, 李德一(1561∼1622)의<憂國歌>와 같이 당쟁을 비난하는 내용의 시조들도 지어졌다. 이런 작품들은 자신의 주장을 직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문학적 성취도는 떨어진다고 하겠다.

 17세기 후반에 이르면 시조의 담당층은 사대부에서 平民歌客으로 그 중심이 이동된다. 창법도 변화하여 이전까지 불리던 전아한 고전적 창법인 歌曲唱 대신 평이하며 대중적인 호소력을 가진 時調唱이 나타났다. 중인층 가객인 金天澤의≪靑丘永言≫, 金壽長(1690∼1770)의≪海東歌謠≫등의 歌集이 편찬된 것은 이 시기에 이르러 시조가 소수의 사대부들의 애호물에서 벗어나 중인, 평민에게까지 폭넓게 수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劍을 혀 들고 다시 안자 혜아리니

胸中에 머근 이 邯鄲步ㅣ 되야괴야

두어라 이 한 命이여니 닐러 므슴 리오(金天澤,≪靑丘永言≫(珍本)).

 이 시조에서 보듯이 김천택은 서리·아전층에 속해 선천적으로 자기실현의 가능성을 차단당한 채 살아야했던 자신의 신분적 갈등을 우울하게 그려 보이고 있다.

 이 시기에는 평시조가 여전히 많이 지어졌으나 일명 蔓橫淸類라 하는 辭說時調가 또한 나타나 18세기 이후 뚜렷이 발전을 거두게 된다.

 17세기의 가사는 주제가 다양해지면서 산문화·장편화의 경향을 띠게 되었다.

 우선 양란을 거치면서 전쟁의 체험을 그린 작품이 나타났다. 崔睍(1563∼1640)의<龍蛇吟>은 전란의 경과와 책임을 당대의 벼슬아치에게 돌려 통렬하게 비판하였고, 朴仁老(1561∼1642)는<太平詞>에서 싸움의 경과와 승리의 과정을 웅장한 문체로 노래한 반면,<船上歎>에서는 임란을 회상하면서 왜적이 쳐들어 올 수 있게 배를 만든 軒轅氏를 원망하고 일본에 사람이 살게 된 것부터가 잘못이라고 하여, 혹심했던 전란 체험을 표현하였다. 박인로의<陋巷詞>와 鄭勳(1563∼1640)의<嘆窮歌>에는 전후 생존의 기반이 무너진 향촌의 양반들이 겪어야 했던 어려운 생활이 표현되어 있다. 이들 작품에는 강호에서 품위를 지키며 살고자 하는 소망과 그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현실의 빈곤문제가 중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旱旣太甚야 時節이 다 느즌 졔

西疇 놉흔 논애 잠  녈비예

道上無源水을 반만 혀 두고

쇼 젹 듀마 고 엄섬이  말삼

親切호라 너건 집의 달 업슨 黃昏의 허위허위 다라가셔

구디 다 門밧긔 어득히 혼자 서셔

큰기 아함이를 良久토록 온 後에

어화 긔 뉘신고 廉恥업산 옵노라

初更도 거읜 긔 엇지 와 겨신고

年年에 이러기 苟且 줄 알건만

쇼 업 窮家애 혜염 만하 왓삽노라(朴仁老,≪蘆溪集≫ 권 3,<陋巷詞>).

 위의 글에는 달도 없는 저녁에 밭갈 소를 빌러 가는 영락한 鄕班의 처지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한참을 문 밖에서 망설이다가 어렵게 부탁해 보지만 소를 빌리지 못한 후, 박인로는 없으면 굶을 망정 남의 집, 남의 것을 부러워하지는 않겠다고 다짐하면서 궁핍한 자신의 처지를 감수한다. 한편 민심을 결집하여 황폐해진 나라를 복구할 것을 주장한 작품으로서<雇工歌>, 李元翼(1547∼1634)의<雇工答主人歌>가 있다.

 이 시기의 유배가사로는 宋疇錫(1650∼1692)의<北關曲>이 있는데, 송주석은 할아버지 宋時烈이 숙종 원년(1675)에 함경도 덕원으로 귀양갈 때 동행하면서 겪은 고난을 작품에 담았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