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2. 상품의 유통4) 상업자본의 축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4) 상업자본의 축적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조선 후기 서울에서 확립된 유통체계는 원래 鄕商·船商-旅客主人-市廛商人-中都兒-행상-소비자로 연결되는 유통구조로서 시전을 정점으로 한 것이었다. 즉 향상이나 선상이 상품을 가지고 서울에 들어오면 먼저 경강 등지의 여객주인에게 상품을 넘기고, 여객주인은 다시 시전상인에게 상품을 인도해야 했으며, 시전상인은 이를 서울의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중간도매상인 중도아에게 넘겼고, 중도아층은 다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거나 아니면 행상층에게 판매하여 행상층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물건을 파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유통체계는 물론 국가가 시전상인에게 부여한 禁亂廛權을 기초로 형성된 것으로서 市廛體系라고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시전체계의 중심시장은 말할 것도 없이 종로시전이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일반 사상들에 의한 난전활동이 활발해지는 한편, 시전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던 중도아층이나 여객주인층의 시전 배제노력도 활발해졌다. 그 결과 종로시전 외에 난전인들의 중심시장인 이현과 칠패시장이 중요한 시장으로 자리잡았으며, 서울 외곽의 광주 송파장이나 양주 누원점에서는 경강상인을 비롯한 서울의 부호가 도고활동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사상도고들의 활발한 활동의 결과 시전을 정점으로 하는 유통체계는 붕괴되고 새로운 유통체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서울에서의 유통체계의 변화모습은 함경도에서 서울까지 유통되었던 북어의 유통경로를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1006) 누원점의 상인들은 누원점에 乾房을 차려놓고, 안으로는 서울의 중도아와 체결하여 서울의 어물전을 거치지 않고 북어를 전국 각지로 유통시켰다. 양주의 宮洞店이나 抱川의 松隅場에서도 동북어물을 都執하여 서울의 이현이나 칠패 중도아에게 판매하고 있었다. 칠패 중도아만이 아니라 송파의 富商들도 누원보다 훨씬 먼 지역인 포천의 장거리 점막까지 나아가 지방상인들이 함경도에서 싣고 오는 북어를 송파장으로 빼돌려 이익을 독점하기도 하였다.

 이들 중도아나 부상 등 사상들은 송파장시와 양주의 누원점막, 포천의 송우장 등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어물전 시민을 배제하여 독자적인 유통체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종전에는 서울의 외어물전에서 북어를 비롯한 함경도지역의 어물을 구입하여 판매하였던 남서부지역 상인들은 이제 서울에 진입하지 않고 송파장에서 동북어물을 구입하여 판매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북어유통의 번성으로 함경도지역에서는 북어나 北布만을 운송하는 貰馬業이 출현하였으며, 심지어는 서울시민들도 동북산의 어물과 마포를 구입하기 위하여 포천의 송우장을 찾아야 할 정도였다. 특히 서울의 오지그릇 負商인 安景甫는 포천 新店에서 오지그릇을 떼어다가 서울에 들어와서 판매하는 것을 전업적으로 하고 있었는데, 이로써 보면 포천의 송우장은 북어나 북포 등 동북산 물품만이 아니라 일반 상품의 유통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유통체계는 서울 주변에 새로운 유통거점이 창출됨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이제 송우장·누원점-송파장·사평장-서울의 칠패·이현-소비자로 이어지는 유통로와, 송우장·누원점-송파장·사평장-인근 장시로 이어지는 유통로가 개발되어 서울의 어물전을 배제하고도 전국적으로 어물이 유통되는 체계가 확립되었던 것이다.

 한편 기존 시전을 정점으로 한 유통체계의 하부에 편입되어 있었던 여객주인이나 중도아들도 시전상인을 배제하여 상업이윤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시전상인들은 軍兵이나 勢家 奴子들에 의한 난전보다도 여객주인층의 난전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왜냐하면 자신의 하부에서 상품을 시전상인에게 넘기는 역할을 했던 주인층이 시전에게 넘기지 않고 중간도매상인 중도아들에게 직접 연결되는 것이 시전상인에게 가장 치명적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전상인들은 여객주인층이 난전과 도고상업을 가장 활발하게 행하는 세력으로 지목하고 중앙정부에 이들의 난전행위를 금지할 것을 여러 차례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전상인의 요구는 수용되지 않고 오히려 금난전권을 폐지하는 通共政策이 실시되었다. 정조 15년(1791)「辛亥通共」을 계기로 시전체계는 붕괴되고, 사상을 정점으로 하는 유통체계가 확립되었던 것이다.

 새로운 유통체계를 장악한 세력은 권세가와 연결된 私商大賈나 여객주인으로서 대부분 송파나 마포 등 경강지역의 富商大賈들이었다.1007) 새로운 유통체계는 생산지에서부터 소비지까지 모든 유통체계를 부상대고가 장악하여 판매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유통체계는 시전상업과는 다른「私商體系」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1008) 이들에 의해 구축된 유통체계는 어물의 경우, 換錢冊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유통량도 한달에 4,000∼5,000냥, 1년에는 수만 냥에 달할 정도였다. 이것은 부상대고에 의해 장악된 새로운 유통체계가 우연적·일시적이 아니라 항상적·구조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18세기 후반 새로운 상품유통체계의 형성은 사상층의 참여와 더불어 서울 도성 안의 전통적인 상업중심지 이외에 서울주변 새로운 유통거점의 창출이라는 조건 속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즉 시전상인을 중심으로 한 상품유통망에 대항하는 새로운 유통망의 구축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품유통체계가 형성된 것이다.

 그 동안 조선 후기 상업변동을 얘기할 때 시전상인과 사상층의 교체라는 상인세력의 성격변화를 가장 중요한 점으로 거론해왔다. 시전상인과 사상층을 官商과 私商, 독점상인과 자유상인, 어용상인과 민간상인, 구특권상인과 신특권상인으로 구분함으로써 상업변동의 의의를 설명해왔던 것이다. 그러나 시전상인이나 사상층은 모두 상행위를 통하여 이윤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예컨대 조선 후기 蔘商·木材商·米商·鹽商 등의 구체적인 활동에서 관상과 사상 간의 차별은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1009) 그러므로 이 시기 상업변동을 얘기할 때 상인의 성격변화라는 측면 외에 유통체계를 비롯한 상업구조의 측면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이 시기 상업변동은 상업세력이 특권상인인 시전상인에서 자유상인인 사상으로 변한 것에 그치지 않고, 유통체계·교통로·시장권 등에 이르기까지 상업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변화를 반영하는 질적인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1010)

1006) 이하 서울에서의 북어유통체계의 변화에 대해서는 高東煥, 앞의 글(1992a) 참조.
1007)≪各廛記事≫天卷, 戊申(1788) 5월 일.
1008) 安秉珆,<商品貨幣經濟의 構造와 發展>(≪韓國近代經濟와 日本帝國主義≫, 백산서당, 1975).

姜萬吉,≪朝鮮後期 商業資本의 發達≫(高麗大 出版部, 1973).
1009) 吳 星,≪朝鮮後期 商人硏究≫(一潮閣, 1989).
1010) 高東煥, 앞의 책, 298∼305쪽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