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2. 상품의 유통3) 상업도시의 형성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17세기 후반 이후 상품화폐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서울은 물론 지방에서도 상업도시가 성장하였다. 지방에서 상업도시로 성장하는 곳은 대체로 서울의 배후도시로서 성장한 개성과 수원, 서울의 공간확대에 따라 상품유통거점으로 변화된 송파장과 누원점, 평양·대구·전주 등 각 도 감영소재지로서 전통적 행정중심지, 대포구로서 전국적 시장권의 중요거점이었던 덕원 원산포, 창원 마산포, 은진 강경포, 또한≪만기요람≫에 15대 장시로 기록된 대장시들, 그리고 국제무역의 중심지였던 동래와 의주 등지였다.

 개성은 서울과 평양을 잇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상품유통경로의 중간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상품유통의 거점으로 성장하였다. 경강상인이 船運을 통한 상품유통을 장악하였다면, 육로를 통한 상품유통은 개성상인에 의해 주도되었다. 개성상인들은 전국의 주요지역에 지점형태의 松房을 설치하고, 상품의 원료 생산지에 差人을 파견하여 생산과정을 독점하는 등 전국을 무대로 상업활동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동래와 의주를 연결하는 국제무역에도 참여하고 있었다.0997)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개성상인들은 막대한 상업이윤을 축적하였다. 개성에는 상업 외에도 유기수공업, 草笠제조공업, 인삼의 상업적 재배와 가공업이 발달하였다. 또한 상업거래의 편의를 위한 신용행표가 광범위하게 유통되었으며, 四介文書라는 독특한 簿記와 差人·書士·首使喚·使喚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상업사용인의 체계도 갖추어져 있었다. 이와 같이 상업도시로 성장함에 따라 개성에는 19세기말까지 4개의 큰 시전과 16개의 중소 시전이 존재하였다.

 한편 정조대에 계획도시로 건설된 수원도 18세기말 이후 상업유통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0998) 계획 당초부터 가장 역점을 둔 것은 수원의 상공업 발전문제였다.0999) 이에 따라 서울의 富豪家나 안성의 紙匠에게 금융지원을 하여 水原 이주를 종용하기도 했으며, 富實한 물주를 모집하여 이들에게 모자와 인삼에 대한 무역권을 부여하기도 하였다.1000) 특히 정조연간 노량진과 수원 사이에 新作路가 개설됨으로써 수원의 상업도시화는 더욱 촉진되었다. 수원의 상업도시로서의 성장은 전국적 시장권의 중심지인 서울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서울의 공간확대와 상업번성에 따라 서울 외곽의 송파·누원 등지가 상업중심지로 성장하였다. 특히 한성부 경계 밖에 위치한 이 두 지역은 시전상인의 금난전권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상들의 유통거점이 되었던 지역이었다

 송파는 18세기 이래 전국적 유통로의 발달 결과, 영남지방으로부터 충청 내륙지방을 경유하는 上京路와 영남 내륙지방인 태백산·봉화와 관동지방에서 여주·이천을 경유하는 상경로가 만나는 한강변의 유통거점이었다.1001) 송파가 서울에서 영남과 영동으로 가는 교통요지였다면, 누원점은 서울에서 동북지역인 함경도 경흥 서수라로 가는 초입에 위치한 유통로상의 중심지였다. 18세기 이후 동북지역에서 생산되는 北魚·麻布와 삼남지역에서 생산된 綿布 등 의류의 교환이 활발해지면서 누원을 통과하는 상품량도 늘게 되었다.1002) 특히 내·외어물전 밑에 종속되어 어물유통에 참여하고 있었던 이현·칠패시장의 中都兒들은 18세기 중엽부터 개별적으로 동북어상들이 서울에 진입하는 길목인 누원점막에 가서 어물을 都執하여 이를 어물전에 넘기지 않고 행상층에게 직접 판매함으로써 많은 이익을 남기고 있었다.1003)

 의주와 동래도 일찍부터 중국과 일본을 매개하는 중개무역의 중심지로서 성장하였다. 또한 17세기 이후 평양이 상업도시로 발전하였는데, 그 까닭은 평안감영 소재지로서 평안도의 지역적 시장권의 중심이라는 점만이 아니라 對淸무역의 통로로서 중국과 동래지방을 연결하는 무역로의 핵심이었다는 점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므로≪택리지≫에서도 평양을 서울과 개성 다음으로 상업이 가장 번성한 지역으로 꼽고 있었다. 柳商으로 불리기도 한 평양상인들은 다른 지방에까지 진출하여 상업에 종사하였고, 선상활동을 활발히 하는 자들도 있었다. 전라도의 행정중심지인 전주도 주변의 沙灘이라는 수로교통로와 주변 장시들을 포괄하면서 전라도의 가장 중요한 상품유통거점으로 성장하였으며, 경상감영 소재지였던 대구도 상업도시로 변해갔다. 특히 전국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던 약재시장이 대구에서 열릴 정도로 대구는 전국적 시장권의 중심도시로서 성장하였다.

 한편 18세기 이후 포구상업의 발달을 반영하여 대포구들인 은진의 강경포와 창원의 마산포, 덕원의 원산포 등지도 상업도시로 성장하였다. 금강 하류에 위치한 은진 강경포는 호남평야지대를 배후지로 끼고 있으면서 전라도와 충청도지역에서 산출되는 상품을 서울의 경강으로 반출하는 유통기지였으며, 원산포는 함경도 지역의 모든 상품의 집하처로서, 이 지역 소포구 선박이 원산포를 근거로 활동하였다. 또한 창원의 마산포는 강경포처럼 큰 강을 끼고 있지는 않으면서도 매우 번성한 포구로 발전하였는데 그 이유는 동해안과 서해안을 연결하는 전국적 해운로가 완성되면서 이들 원거리 해상유통의 중개항구로 발전했기 때문이다.1004) 이러한 마산포의 상업적 번성은 순조 33년(1833) 선상주인만 130호에 달한다는 기록에서도 확인된다.1005)

 위에서 살펴본 상업도시는 대부분≪만기요람≫에서 15대 장시로 꼽고 있는 경기도 광주의 사평장·송파장, 안성의 읍내장, 교하의 공릉장, 은진의 강경장, 직산의 덕평장, 전주 읍내장, 남원 읍내장, 창원 마산포장, 평창의 대화장, 토산 비천장, 황주 읍내장, 봉산 은파장, 박천 진두장, 덕원 원산장 등과 일치하고 있다. 요컨대 상업도시는 대부분 교통상의 요지에 있으면서 주변 장시시장권과 포구시장권을 통합하면서 성장하였던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먼저 상업도시로 성장한 곳은 정치·경제·행정중심지였던 서울이었다. 서울은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을 배경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공간이 확대되면서 17세기말 이후 급속하게 상업도시로 전환되었다. 지방에서는 주로 대포구와 대장시, 그리고 전통적인 행정중심도시, 국경도시 등지에서 상업도시로의 전환이 나타났다. 이는 우리 나라의 신흥도시들이 수공업을 비롯한 기타 생산의 중심지들에서보다도 상업이 가장 발전한 지역, 그리고 교통운수가 보다 발전한 지역에서 형성·발전한 것임을 의미한다.

0997) 개성상인의 자본축적과 상업활동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가 참고된다.

姜萬吉,<朝鮮後期 商業資本의 成長-京市廛, 松商 등의 都賈商業을 중심으로->(≪韓國史硏究≫6, 1968).

姜萬吉,<開城商人硏究-朝鮮後期 商業資本의 成長->(≪韓國史硏究≫8, 1972).

吳 星,<朝鮮後期 蔘商에 대한 考察>(≪韓國學報≫17, 1979).
0998) 崔弘奎,<朝鮮後期 華城築造와 鄕村社會의 諸樣相-正祖代의 水原地方문제와 『觀水漫錄』을 중심으로->(≪國史館論叢≫30, 國史編纂委員會, 1991).
0999)≪正祖實錄≫권 29, 정조 14년 2월 임술.
1000)≪正祖實錄≫권 46, 정조 21년 2월 계사 華城富戶帽蔘節目.
1001) 申景濬,≪道路攷≫京城東低平海路第三, 京城東南低東萊路第四.
1002)≪各廛記事≫地卷, 辛未(1751) 2월 일.
1003) 高東煥,<18세기 서울에서의 魚物流通構造>(≪韓國史論≫28, 서울大, 1992), 196∼198쪽.
1004) 高東煥,<조선후기 船商活動과 浦口間 商品流通의 樣相-漂流關係記錄을 중심으로>(≪韓國文化≫14, 서울大, 1992).
1005) 홍희유, 앞의 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