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Ⅱ. 민족경제의 동태1. 무역구조의 변동과 시장권의 재편성1) 무역구조의 변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1. 제국주의의 경제 침탈
          • 1) 금융 지배
            • (1) 일본의 금융진출과 제일은행
            • (2) 폐제문란과 외화의 유통
            • (3) 화폐정리사업
          • 2) 차관 제공
            • (1) 차관, 무엇이 문제인가
            • (2) 1882∼1894년의 차관도입
            • (3) 1895∼1905년의 차관제공
            • (4) 도입 차관의 총액 추정
            • (5) 차관과 민족운동
          • 3) 철도 부설
            • (1) 열강의 각축과 철도 부설권의 향방
            • (2) 일본의 침략과 철도 부설
            • (3) 한국통감부의 철도 지배
          • 4) 해운업 침투
            • (1) 일본의 해운정책과 해운 독점(1876∼1882)
            • (2) 열강의 해운업 진출과 대외항로(1883∼1894)
            • (3) 일본해운업과 러시아해운업의 침투확대(1895∼1904)
            • (4) 외국해운업의 불개항장 침투
            • (6) 일본의 해운업 독점(1905∼1910)
          • 5) 이권 탈취
            • (1) 광산이권과 광업법
            • (2) 전기·전선 이권
            • (3) 삼림 벌채권
            • (4) 어업권
        • 2. 일제의 토지 침탈
          • 1) 토지관계 조약과 정부의 대응
            • (1) 토지관계 조약과 일제의 식민정책
            • (2) 정부의 법적·제도적 대응
          • 2) 일제의 토지 확보와 토지법 정비
            • (1) 토지 확보 방법과 성격
            • (2) 일제의 토지법 정비와 농장 건설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1. 무역구조의 변동과 시장권의 재편성
          • 1) 무역구조의 변동
            • (1) 청일전쟁 이전의 무역구조
            • (2) 무역구조의 변동을 초래한 요인으로서 청일·러일전쟁과 일본의 산업혁명
            • (3) 청일전쟁 이후 무역구조의 변동
          • 2) 시장권의 재편성
        • 2. 상회사 설립과 상권수호운동
          • 1) 상회사 설립
            • (1) 회사정책
            • (2) 상회사의 설립
            • (3) 상회사의 설립주체
          • 2) 상권수호운동
            • (1) 외국상인의 침투와 상권문제
            • (2) 광무년간의 상권회복운동
            • (3) 국권회복운동기의 식산흥업운동
        • 3. 광공업과 면방직업의 전개
          • 1) 광공업의 전개
          • 2) 면방직업의 전개
        • 4. 교통·운수·통신
          • 1) 1894∼95년 교통·운수·통신제도의 개혁
          • 2) 1896∼1904년 교통·운수·통신기관의 전개
          • 3) 1905∼10년 교통·운수·통신기관의 식민지적 재편
        • 5. 상업적 농업의 재편과 지주제의 성장
          • 1) 한말 지주적 토지소유의 강화와 상업적 농업의 재편
            • (1) 한말의 양전·지계사업과 역둔토 정리사업
            • (2) 상업적 농업의 종속적 재편과 일본자본의 토지약탈
          • 2) 지주제의 재편과 소작조건의 변동
            • (1) 토지겸병의 확대와 식민지 지주제로의 재편
            • (2) 소작권의 약화와 지대수취의 강화
          • 3) 농민층의 항조운동과 반제 반봉건 투쟁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1. 인구의 이동과 변화
          • 1) 인구의 변화와 도시의 발전
            • (1) 대한제국시기의 호구수
            • (2)≪한국호구표≫와 지방도시 인구
            • (3) 도시인구율과 인구밀도
            • (4) 도시의 발전과 도시인구
          • 2) 국외 이민
            • (1) 만주·노령지역
            • (2) 미주지역
        • 2. 신분제도의 변화
          • 1) 양반 신분제도의 변화
            • (1) 관료집단의 변화와 양반신분
            • (2) 신분직업의 변화
            • (3) 광무호적과 양반신분의 존재
            • (4) 양반신분의 존속과 해체의 조건
          • 2) 중간신분층의 부상
            • (1) 갑오개혁과 중간신분층의 지위 변화
            • (2) 중인
            • (3) 서얼
            • (4) 경아전과 향리
          • 3) 상민·천민층의 성장
            • (1) 1894년의 신분제 폐지 정책과 평민
            • (2) 신분제 폐지 이후의 평민신분
            • (3) 호적에 나타난 평민의 변화
          • 4) 가족관계의 변화
            • (1) 갑오개혁이전의 가족관계 변화
            • (2) 갑오개혁기의 가족관계의 변화
            • (3) 갑오개혁 이후의 가족관계 변화
          • 5) 여성의 사회진출
            • (1)<여권통문>에 나타난 여성 사회진출관
            • (2) 교육단체운동과 교육분야로의 진출
            • (3) 의료계와 종교계로의 진출
            • (4) 새로운 직종업으로의 진출
          • 6) 민중운동의 전개
            • (1) 농민운동
            • (2) 초기 노동운동
            • (3) 민중의 조직운동
        • 3. 형법·민법체계의 변화
          • 1) 법제의 근대화 과정
            • (1) 시대구분
          • 2) 입법의 형식
          • 3) 민법의 제정
            • (1) 민법 일반
            • (2) 토지관계
            • (3) 가족관계
          • 4) 형법의 제정
          • 5) 형법·민법과 법생활
        • 4. 지방자치제의 추이
          • 1) 지방자치를 규정하는 세 가지 힘
          • 2) 갑오개혁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3) 광무개혁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4) 통감부시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5. 의·식·주생활의 변화
          • 1) 의복
            • (1) 임금의 정복(면복)
            • (2) 관리의 복장
            • (3) 대한 제국시대의 예복
            • (4) 일반 복식
            • (5) 여복
          • 2) 음식
            • (1) 식생활 환경의 변화
            • (2) 개화기의 식생활
            • (3) 외국 음식문화의 전래
          • 3) 주거
            • (1) 갑오개혁과 주거문화의 변화
            • (2) 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 (3) 외래건축문화의 영향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Ⅱ. 민족경제의 동태

1. 무역구조의 변동과 시장권의 재편성

1) 무역구조의 변동

(1) 청일전쟁 이전의 무역구조

 청일전쟁 이전 무역품의 구성은 다음<표 1>과 같다. 수입품의 중심은 개항 직후부터 줄곧 면제품이었다. 면제품은 그 비중이 차츰 낮아지기는 하였지만, 청일전쟁 직전에도 총수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 반면 미곡과 콩은 1890년 이래부터 수출주종품으로서 확고히 자리를 굳혔다. 그 이전에도 미곡과 콩은 중요한 수출품이었지만, 그 수출액은 매우 가변적이었고, 牛皮가 최대의 수출액을 기록한 해가 많았다. 1890년을 기점으로 미곡·콩 등의 곡물을 수출하여 金巾 등의 면제품을 수입하는 무역구조가 정착되었던 것이다. 1880년대 후반부터 해마다 무역수지의 적자를 보았는데, 그 상당한 부분은 금의 수출로 메워졌다. 조선이 농산물과 광산물이라는 1차산품을 수출하고 공산품을 수입하는 구조가 정착된 기본적인 원인은 공업생산의 기술격차가 현저하여 조선이 공산품에서는 比較劣位에 있었던 점에서 구할 수 있다.

연도 수 출 수 입 무역총액 무역수지
총 액 미곡 총액 면제품
1887

1888

1889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804,996

867,058

1,233,841

3,550,478

3,366,344

2,443,739

1,698,116

2,311,215

2,481,808

4,728,700

8,973,869

5,709,489

4,997,845

9,439,867

8,461,939

8,317,070

9,477,603

6,933,504

6,904,301

8,132,844

16,479,834

13,463,947

15,399,678

18,868,177
11.2

2.5

6.3

57.4

54.1

40.9

21.6

42.4

29.8

53.1

61.9

48.3

28.4

38.4

49.6

42.4

44.6

18.8

12.9

19.7

45.9

48.2

35.9

34.1
41.7

54.4

52.3

28.3

27.1

32.7

37.0

21.9

37.2

27.0

19.1

19.7

39.5

25.1

22.2

20.9

16.1

34.6

37.8

43.2

23.6

25.0

22.8

27.7
2,815,441

3,046,443

3,377,815

4,727,839

5,256,468

4,598,485

3,880,155

5,831,563

8,088,213

6,531,324

10,067,514

11,825,249

10,307,830

11,013,590

14,822,003

13,657,063

13,874,814

27,034,345

31,959,582

29,534,857

41,611,530

41,021,436

36,646,256

39,737,039
67.3

64.4

50.6

56.6

54.7

47.5

44.7

42.8

58.3

53.3

52.4

43.9

52.2

52.3

41.7

40.7

43.3

31.3

37.6

27.8

30.2

27.6

25.4

29.0
3,620,437

3,913,501

4,611,656

8,728,317

8,622,812

7,042,224

5,578,271

8,142,778

10,570,021

11,260,024

19,041,383

17,534,738

15,305,675

20,453,457

23,283,942

21,974,133

23,352,417

33,967,849

38,863,883

37,667,701

58,091,364

54,485,383

52,045,937

58,605,223
- 2,010,445

- 2,179,385

- 2,143,974

- 1,177,361

- 1,890,124

- 2,154,746

- 2,182,039

- 3,520,348

- 5,606,405

- 1,802,624

- 1,093,645

- 6,115,760

- 5,309,985

- 1,573,723

- 6,360,064

- 5,339,993

- 4,397,211

-20,100,841

-25,055,281

-21,402,013

-25,131,696

-27,557,489

-21,246,578

-20,868,862

<표 1>수출입액과 중요 수출입품의 비중 (단위:圓, %)

*李憲昶,≪開港期 市場構造와 그 變化에 관한 硏究≫(서울大 경제학박사학위논문, 1990), 94쪽.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조선의 주된 무역상대국은 일본과 청국이었다.<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80년대 중반 이후에 조선과 거래하는 무역국 중에 청국과 일본을 제외한 나라의 비중은 수출과 수입을 막론하고 1% 미만이었다. 구미 자본주의국은 조선시장에 별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다. 청일전쟁 이전 수출무역에서는 일본의 압도적인 우위가 변하지 않았지만, 수입무역에서는 청국의 지위가 현저히 신장되었다. 수출주종품인 미곡과 콩은 거의 일본에 수출되어서, 일본으로의 수출액은 해마다 전체의 9할을 넘었다. 청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86년 18%로부터 1893년 49%로 급격히 상승하였다.<표 2>에 의하면, 金의 수출에서도 청국의 비중이 급속히 신장되어 1890년부터는 일본을 능가하게 되었다. 청국에는 인삼·해삼·종이류 소액을 제외하면 특별히 수출할 만한 상품이 없어서, 수입품의 대금은 주로 금으로 결제되었기 때문이다.

연도 輸入額 日 本 淸 國 輸出額 日 本 淸 國 金輸出 日 本 淸 國
1886

1887

1888

1889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2,474

2,815

3,046

3,378

4,728

5,256

4,598

3,880

5,832

8,088

6,531

10,068

11,818

10,227

10,940

14,696

13,541

18,219

26,805

31,960

29,654

41,436

41,021
82

74

72

68

65

61

55

50

63

72

66

64

57

65

75

62

64

63

71

74

77

66

59
18

26

28

32

35

39

45

49

35

26

33

35

42

34

24

38

36

29

19

17

14

11

12
504

805

867

1,234

3,550

3,366

2,444

1,698

2,311

2,482

4,729

8,974

5,709

4,998

9,440

8,462

8,317

9,477

6,934

6,904

8,133

16,498

13,464
97

97

91

91

98

96

93

91

89

95

93

90

79

84

77

87

79

80

82

78

85

77

77
3

2

8

9

2

4

6

8

7

4

6

8

20

14

21

9

18

16

18

22

9

19

16
1,130

1,388

1,374

982

750

689

853

919

934

1,353

1,390

2,034

2,376

2,933

3,633

4,993

5,064






 
81

85

75

62

37

40

43

46

68

78

58

47

50

70

84

97

99






 
19

15

25

38

63

60

57

54

32

22

42

53

50

30

16

3

1






 

<표 2>貿易額의 淸·日別 構成 (단위:천 圓, %)

*1. 1885∼1893년은≪中國海關年報≫, 附錄<朝鮮海關年報>.
 2. 1894∼1896년은 信夫淳平,≪韓半島≫(東京:東京堂書店, 1901), 647∼648쪽.
 3. 1897년 이래는≪第一次統監府統計年報≫, 243∼244쪽과≪第三次統監府統計年報≫, 401쪽.
 4. 1894년 이래의 金輸出은 朝鮮貿易協會,≪朝鮮貿易史≫(1943), 46∼47쪽.
 5. 1906년 8월까지의 무역통계법은 最近經由國에 의하여 수입국을 구별하였지만, 동년 9월 이래부터는 製造國에 의하여 구별함.

 <표 2>에 나타난 1906년 8월까지의 수입무역 통계는 製造國이 아니라 最近經由國으로 분류된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일전쟁 이전에 수입된 金巾을 중심으로 하는 면제품은 대부분 구미 자본주의국가의 제품이었고, 청국상인과 일본상인이 그 中繼貿易에 종사하면서 상업이윤을 획득하였다. 청일전쟁 이전에는 산업혁명을 수행한 구미국가의 압도적인 공업생산력의 우위가 공산품을 수입하고 1차산품을 수출하는 조선의 무역구성을 결정지었고, 일본이나 청국은 조선에 대하여 공업생산의 확고한 비교우위를 가지지 못하였다. 그런 점에서 조선은 청국과 일본을 매개로 하여 구미 자본주의국에 대하여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農工分業關聯을 맺었던 것이다. 개항장무역에 늦게 참여한 청국이 수입무역에서 현저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청국상인이 일본상인에 비해 자본력이 우월하고 상업수완과 신용도에서 앞섰고, 중계무역항으로서 상하이(上海)가 나가사키(長崎)보다 우월하였기 때문이다. 조선에서의 청국의 정치적 위세가 청국상인의 활동을 후원함으로써 청국무역을 뒷받침하였던 점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연 도 輸入額 日本産 外國産 연 도 輸入額 日本産 外國産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148

1,093

1,743

438

457

829

552

707
12

10

11

41

48

50

85

65

79
88

90

89

59

52

50

15

35

21
1889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093

1,251

1,466

1,411

1,301

2,365

3,831

3,367

5,197
74

82

86

87

84

83

89

91

90
26

18

14

13

16

17

11

9

10

<표 3>對日 수입품의 製造地別 구성 (단위:천圓, %)

*北川修,<日淸戰爭までの日鮮貿易>(≪歷史科學≫1-1, 1932),<제3표>와<제9표>로부터 작성.

 그런데 일본은 청일전쟁 이전에 이미 중계무역을 탈피하려는 조짐을 보였음이 주목된다.<표 3>에 의하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품 중에 일본제품의 비중은 1882년 이전까지 1할 남짓하다가 1883년 이래에는 5할 전후로 상승하였고, 1890년부터는 수입액이 급증하는 가운데 해마다 8할을 넘어섰다. 일본이 조선에 대한 자국산 제품 수출의 비중을 증대한 것은,<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시 수입 주종품인 金巾의 중계무역을 청상에게 탈취당한 점에 기인한 면이 있었다. 금건의 중계수입 중에 일본상인의 몫은 1886년부터 1할 미만으로, 1888년부터 2% 이하로 떨어졌다. 청일전쟁 직전에는 청국상인이 금건 수입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금건의 중계무역의 열세는 일본으로 하여금 일본산 면직물의 수출을 요청하였던 것이다. 그보다 근원적인 요인은 일본의 산업화의 개시에 따른 자국 공산품의 수출능력의 확대이다. 일본에서는 이 시기에 도시를 중심으로 雜工業이 성장하였고, 80년대 후반부터는 면방적업 등을 중심으로 하여 기업이 발흥하였다.

연 도 수입액 日本商 淸商 연 도 수입액 日本商 淸商
1885

1886

1887

1888

1889
555

522

678

699

492
16

7

7

2

2
89

93

93

98

98
1890

1891

1892

1893

 
834

1,166

850

658

 
2

1

0.5

0.5

 
98

99

99.5

99.5

 

<표 4>金巾 中繼輸入의 淸·日商間 구성 (단위 : 천圓, %)

*1. 北川修,<日淸戰爭までの日鮮貿易>(≪歷史科學≫1-1, 1932),<제11표>로부터 작성.
 2. 1885년의 구성비가 100을 넘는 것은 일본상과 청상의 수입액을 합한 것이 총수입액보다 많기 때문임.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