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Ⅰ. 근대 언론활동3. 언론의 구국투쟁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2) 국외신문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1) 신문 발간의 배경
          • 2)≪한성순보≫의 창간
            • (1) 박문국 설치
            • (2) 신문 발간의 목적
            • (3) 필화와 중국과의 관계
          • 3)≪한성주보≫의 발간
            • (1) 순보와 주보의 차이
            • (2) 국내소식과 의견기사 증가
            • (3) 기사의 출처
          • 4) 박문국의 운영
            • (1) 발행부수
            • (2) 주보의 폐간
          • 5) 개화와 국민교화의 기능
        • 2. 근대 언론의 발달
          • 1) 민간지 등장의 시대적 배경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1) 서재필의 망명과 귀국
            • (2) 체재의 변화
            • (3) 광고
            • (4)≪독립신문≫의 역할
            • (5) 서재필의 추방
            • (6) 윤치호와 아펜젤러의 경영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1) 일본인 발행의 신문들
            • (2) 기독교계통의 종교신문
            • (3) 잡지의 시초
          • 4) 일간지 ≪일신문≫
            • (1) 배재학당의 ≪협셩회회보≫
            • (2) 일간신문으로 발전
            • (3) 기사의 외교문제화
            • (4)≪상무총보≫발간
          • 5) 새로운 신문들
            • (1)≪경성신문≫·≪대한황셩신문≫
            • (2) 필화사건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2) 국외신문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1) 일제의 국권침탈에 대한 저항
            • (2) 국채보상운동의 주도
            • (3) 국민계몽과 애국심의 고취
          • 3) 일제의 언론규제
            • (1) 사전검열
            • (2)<신문지법>의 제정
            • (3)<신문지법>의 개정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1) 유교개혁사상의 발생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3) 심학(양명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3) 유교개혁사상의 한계와 의의
        • 2. 불교
          • 1) 근대와 한국불교
          • 2) 문호개방과 한국불교
          • 3) 개화운동과 불교
          • 4) 일본불교의 침투와 입성 해금
          • 5) 입성 해금 이후의 교계 동향
          • 6) 임제종운동-반조동종운동
        • 3. 천주교
          • 1) 한국근대사와 천주교회
          • 2) 병인박해와 한국천주교회
          • 3) 그리스도 전교자유의 구현
          • 4) 교안과 신교자유의 문제
          • 5) 제도교회로의 발전과 새로운 고민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1) 교육활동
            • (2) 근대적 출판·언론 문화활동
            • (3) 근대적 사회복지사업의 전개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1) 중국과 일본을 통한 접촉
            • (2) 한미수호조약의 채결과 미국의 대한선교
          • 2) 교회의 발전
            • (1) 교회의 설립과 교단조직
            • (2) 선교지역 분할과 교파 연합활동
            • (3) 네비우스선교방법과 대부흥운동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1) 민족의식의 태동
            • (2) 교회의 비정치화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1) 의료활동
            • (2) 교육활동
            • (3) 사회개혁운동
        • 5. 천도교
          • 1) 천도교의 성립
          • 2) 천도교의 중심사상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1) 제1단계 천도교의 민족운동
            • (2) 제2단계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1) 대종교의 창립과 의의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1) 나철교조시기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2) 제2세 교주 김교헌시기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3) 대종교의 항일민족독립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1) 수학
          • 2) 물리학
          • 3) 화학
          • 4) 박물학
          • 5) 천문학과 기상학
          • 6) 세계관의 변화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1) 근대적 교통·통신·전신 및 전기의 도입 배경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2) 근대 의료기술
            • (1) 서의한역서의 소개와 유입
            • (2) 일본을 통한 의료기술의 도입
            • (3) 서구 선교사들을 통한 의료기술의 도입
            • (4) 주체적인 서양의술의 수용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2) 20세기 건축
          • 4) 근대 산업기술
            • (1) 개항 이전 서양식 무기기술의 개발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러시아지역

미주에 이어 러시아령에서도 교포신문의 발간이 있었는데, 그 효시는≪죠(됴)신문≫이었다. 1908년 2월 26일자로 창간된 이 신문은 崔鳳俊이 사장을 맡고 있었다. 최봉준은 함북 경흥출신의 러시아 귀화인으로 러시아령 교포 가운데 대표적인 자산가였다. 연해주 지사의 허가를 얻어 발간한 이 신문은 ‘海蔘威(블라디보스톡)에 거주하는 조선인 신문’이라는 의미에서≪죠신문(海朝新聞)≫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놀라운 것은≪죠신문≫이 비록 3개월밖에 간행되지 못하지만, 활판으로 인쇄한 일간신문이었다는 점이다.

≪죠신문≫의 창간을 주도한 것은 鄭淳萬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輔安會 활동에도 참여하고 尙洞靑年會의 부회장도 역임하였는데, 1906년 블라디보스톡으로 망명하여 최봉준과 협력하여 신문 간행을 추진하였다. 그 발간취지서를 보면 신문을 통하여 교포를 계몽하여 실력양성을 도모하고, 국민정신을 배양하며 국권회복을 주장하겠다는 목적을 밝히고 있었다. 이는 결국 노령교포의 구제와 국권회복을 위하여 신문을 발간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신문제작을 위하여 국내에 있던 전 황성신문사장 장지연을 주필로, 李剛·金河球 등을 편집·기자로 초빙하였다. 이 신문은 국문 4면으로, 일요일과 부활절 다음날만을 제외하고 매일 발행되었는데, 러시아가 러시아정교를 국교로 하고 있던 사실과 관련이 있었다. 발행부수는 400∼500부에 지나지 않았다.

≪죠신문≫의 내용은 국권회복과 노령교포의 계몽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국권회복을 위하여 망국인이 되지 않도록 고국을 생각하여야 한다는 1908년 3월 17일자의<고국을 도라다 보시오>와 같은 논설이 그 단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권회복에 관심을 집중시킨 나머지 노령교포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에는 소홀하여, 당시 교포들의 생존문제에 대한 기사는 별반 싣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교포들의 교육에 대해서는 자주 논의하였다. 이처럼 국권회복에 대한 논의는 일제의 반발을 사게 되고, 일제는 국내와 무역을 하던 최봉준에게 압력을 가하여 결국 1908년 5월 28일자 제75호를 마지막으로 폐간하지 않을 수 없었다.060)

러시아령의 교포사회에서는≪죠신문≫의 폐간 직후부터 새로운 신문의 창간이 준비되었다. 이 때까지 러시아지역에서는 교민단체가 활발하지 않아, 신문은 교포사회 지도자를 중심으로 발행되고 있었다. 해조신문사의 인쇄시설을 구입하여 1908년 11월 18일자로 창간된 것이≪大東共報≫였다. 노령동포들의 문명개화와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한 이 신문은 발행인으로 러시아인을 내세우고, 사장에 車錫甫가 취임하고 兪鎭律·이강·정순만 등이 참여하였으며, 崔在亨·李尙雲·鄭在寬·韓馨權 등도 뒤에 관여하였다. 주 2회, 1,500부 가량 발행된≪대동공보≫는 국내의 의병활동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도 동포들의 계몽운동을 지원하여 민족의식과 애국심을 고취시키며, 일제의 국권침탈과 만행을 규탄하였다. 아울러 러시아거주 한국인의 생활개선과 권익보호에 앞장서 교포신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대동공보≫는 安重根의 이등박문포살사건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었다. 안중근은 이 신문사의 탐방원으로 煙秋지방의 지국을 운영하기도 하였는데, 이등박문의 포살을 대동공보사의 관여자들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909년 한 해에만 국내에서 압수된≪대동공보≫가 57건 2,235부였던 것만으로도, 이 신문이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며 국권회복에 진력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1910년 7월 한일합병 직전, 러시아는 일본과 협약을 맺어 러시아내에서 한국인의 활동을 규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대동공보사에서는 폐간 압력에 대처하기 위하여 1910년 8월 18일자로≪大東新報≫라고 제호를 바꾸기도 하였으나, 결국 지령 250호인 9월 1일자로 폐간하지 않을 수 없었다.061) 유진율 등은 이후 1911년≪大洋報≫와 1912년≪勸業新聞≫을 발행하여, 계속 국권회복과 국민계몽을 내세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신문은 勸業會의 기관지로 발행되었다.

060)박 환,<재러한인 민족운동의 태동과≪됴신문≫의 간행>(≪러시아한인민족운동사≫, 탐구당, 1995) 참조.
061)愼鏞廈,<≪大東共報≫ 解題>(≪大東共報≫, 國家報勳處, 1993).

박 환,<≪대동공보≫의 간행과 재러한인 민족운동의 고조>(≪위의 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