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2. 수탈체제의 강화4) 재정·금융(2) 금융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2) 금융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2) 서간도지역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금융조합

 1918년<금융조합령>시행으로 도시금융조합 및 각도 금융조합연합회를 신설하고 금융업무를 확대한 금융조합175)은 1920년대 들어 조직이 크게 확대되었다. 조합수는 1917년 260개에서 1929년 621개(촌락금융조합 559개, 도시금융조합 62개)로 늘어났고 조합원수도 1917년 12만 명에서 1929년 59만 명(촌락금융조합 56만 명, 도시금융조합 3만 명)으로 늘어나 금융조합의 농가조직율이 4.5%에서 20%로 크게 증가하였다.

 설립시 금융조합은 중하층 농민을 중심으로 한다는 원칙을 세웠으나, 조합원은 주로 재지지주를 비롯한 자소작 상층으로 구성되었다. 총독부는 일제의 농업정책 수행에 협력할 인물들을 중심으로 조합원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조합의 운영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은 일정한 토지를 소유하고, 부업을 하며, 총독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거나 금융조합의 자금을 수월하게 대출받을 수 있는 ‘자산계급’이었다. 재산정도에 따른 조합원 구성을 보면, 수익이 400원 이하인 하급에 속하는 조합원이 절반 가량 되었다. 그렇지만 계층별 가입비율을 보면 1929년 상급은 50%에 달하는 데 비하여 하급은 10%에 불과하였다. 1929년 당시 400원의 수익을 올리려면 자소작농일 경우 자작하는 전답 3정보 이상, 소작하는 전답 9단보 이상을 경영해야 하는데, 당시로서는 대농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따라서 중급 이상의 조합원, 즉 조합원의 절반 정도가 상당한 정도의 토지를 소유, 경영하는 지주였음을 알 수 있다.

 조직의 확대와 더불어 사업규모도 크게 확대되었다. 예금은 1917년 57만원에서 1929년 7,689만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대출도 같은 기간에 376만원에서 1억 493만원으로 급증하였다. 출자금과 수익금에 제한되었던 금융조합의 자금원을 확대하는 한편 농촌 내 유휴자금을 흡수하여 식민지 농정수행의 자금원으로 삼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된 금융조합의 예금업무는 20년대 들어 금융조합의 최대 자금원이 되었다.

  1925 1929
상급 중급 하급 상급 중급 하급
세대수(A) 118,598 268,254 175,8??? 107,008 650,818 2,569,201
조합원수(B) 37,331 58,988 86,852 49,739 204,045 268,260
비율(B/A) 31.5% 21.9% 8.6% 46.5% 31.4% 10.4%

<표 13>금융조합 구역에서의 자산정도별 조합원 비율

*1925년은<金融組合區域內世帶の資産並組合員加入狀況>(≪金融と經濟≫, 1926), 55∼63쪽;1929년은 牟田口利彦,≪金融組合運動≫(1929), 284쪽.
 비고:조사기준은 戶別割賦課標率額, 상급은 1,000원 이상, 중급은 400원∼999원, 하급은 400원 이하.

 금융조합의 자금원으로는 출자금·예금·정부보조금·차입금 등을 들 수 있는데, 예금의 비중이 1917년 13%에서 20년대 말에는 50%까지 늘어났다. 그렇지만 예금을 비롯한 내부자금으로는 대출수요를 감당할 수가 없어서 식산은행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대출금을 충당하였다. 각도 금융조합연합회는 식산은행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여 금융조합의 대출금을 공급하였는데, 예금의 증가에 따라 1923년 이후 자금원천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예금보다 떨어지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30∼40% 정도에 달하는 상당한 비중을 유지하였다. 차입금을 매개로 ‘일본금융시장-식산은행-도금융조합연합회-금융조합’이라는 금융체계가 만들어져 농촌 말단까지 일본 금융자본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그림 3>금융조합의 자금 원천(1907∼1930)
윤석범·홍성찬·우대형·김동욱 공저,≪한국근대금융사연구≫(세경사, 1996), 192쪽.

 예금업무의 확대와 예금의 급증으로 자금원의 중심이 차입금에서 예금으로 바뀜에 따라 금융조합의 은행화가 진행되었다. 금융조합에서는 1914년부터 조합원 예금과 함께 비조합원 예금을 취급하고 있었는데, 20년대 예금 증가의 원인은 조합원들의 저축 증가도 있지만 비조합원의 예금 증가가 더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1929년 금융조합의 예금 중에서 조합원의 예금이 1/5, 단체와 조합원 가족의 예금이 2/5, 비조합원의 예금이 2/5를 차지하였다. 특히 도시금융조합에서는 비조합원의 예금이 더 많았다. 이렇게 금융조합이 비조합원의 예금을 끌어들여 자금력을 확충한 결과 조합원의 금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금융조합이 예금업무에 중점을 둔 일반 금융기관으로 변모하였다. 1918년의<금융조합령>으로 조합원의 범위가 농업자에서 구역내 거주자로 확대되어 도시지역 중소상공업자를 대상으로 한 도시조합이 설립되었고, 도시조합의 비조합원 예금의 확보가 주요한 업무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금융조합 업무도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겸하던 방식에서 신용사업 위주로 변화하였다. 1918년부터 농사지도 업무는 중단되고 경제사업이 산업자료 대부와 구판사업으로 축소되었으며, 1929년의 법령개정으로 창고업무를 제외한 경제사업은 모두 폐지되었다.

 금융조합의 자금은 대부금과 예치금으로 운영되었다. 예치금이 자금운용의 20% 정도를 차지하였지만 농촌의 경제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대부금이 자금운용의 중심이었다. 조합원이 금융조합에서 자금대부를 받으려면 조합원 가입시 받은 신용점수가 규정하는 대부금의 한도 내에서, 그리고 법으로 지정된 사용범위 내에서 대부신청을 해야 했으며, 조합에서는 신용도조사를 거쳐 담보나 보증인을 확인하고 대부하였다. 본래 촌락금융조합의 경우 보증인을 세우는 신용대부가 기초가 되었지만 점차 신용대부보다는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담보대부가 많아졌다. 대부용도를 보면 주로 토지 구입, 소 구입, 고리채 상환 등의 명목으로 대출되었다.

 토지구입이 전체 대부자금의 40%를 상회한다는 것은 금융조합이 자작농·자소작농에게 농지매입자금을 빌려줌으로써 이들의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려고 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고리채 상환자금의 증가와 관련하여 농가경제의 불안정이 가중되고 있으며, 부동산 담보대부가 중심이 되면서 토지구입자금은 비교적 재력이 있는 지주에게 대출되어 지주의 토지 확대와 고리대에 활용되었다. 더욱이 금융조합에서 식량자금이나 관혼상제 같은 생활자금은 비생산적 금융이라는 이유로 대부를 하지 않음으로써 조합원이라고 할지라도 춘궁기가 되었거나 급한 돈이 필요할 때 고리대를 활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구 분 1921 1923 1928
농업자금 토지구입 9,943 (38.0%) 17,898 (42.4%) 29,765 (44.4%)
토지개량 3,097 (11.8%) 3,530 ( 8.3%) 3,430 ( 5.1%)
경우구입 5,367 (20.5%) 7,504 (17.8%) 10,913 (16.3%)
기타 2,815 (10.7%) 2,979 ( 6.9%) 3,592 ( 5.3%)
소계 21,224 (81.0%) 31,915 (75.8%) 47,703 (71.1%)
비농업

자금
상공업자금 2,171 ( 8.3%) 4,054 ( 9.5%) 6,217 ( 9.3%)
수산업자금 - 161 ( 0.3%) -
잡자금 2,742 (10.7%) 6,017 (14.5%) 13,189 (19.7%)
구채상환 - 5,332 (12.7%) 11,891 (17.7%)
기타 - 678 ( 1.8%) 1,298 ( 1.9%)
합 계 26,138 (100%) 42,148 (100%) 67,110 (100%)

<표 14>금융조합의 용도별 대출 (단위:천원)

이경란,≪일제하 금융조합과 농촌사회 변동≫(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0), 95쪽.

175)이하 금융조합에 대한 서술은 다음의 연구를 참조.

윤석범·홍성찬·우대형·김동욱 공저, 위의 책.

이경란,≪일제하 금융조합과 농촌사회 변동≫(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