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2) 금융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2) 서간도지역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이 공포된 뒤 강대현에 이어 이춘숙·홍도·이봉수 등이 상해에 도착해 4월 21일에 개원된 제2회 임시의정원에 합류했다. 임시정부가 성립되자 이들은 한성정부를 구축할 필요를 느꼈다. 회의 마지막 날인 4월 23일에 임시의정원은 “內地에 있는 국민대회에 대하여 임시의정원이 성립되었음을 발포하자고 하는 이춘숙의 동의를 조완구의 제청으로 가결”했다.231)

 4월 23일은 서울에서 국민대회가 개최된 날이었고, 한남수를 제외하고 이를 주도한 인물들은 아직 도착하지 않고 있었다.232) 이규갑·홍면희·장붕 등 국민대회 지도부가 상해에 도착한 것은 4월말 경이었다. 이들은 상해에 도착하자마자 서울에서 한성정부가 조직되었음을 전했다. 그러나 임시의정원은 상해 임시정부 지지를 확인하고 이들의 발표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233)

 임시의정원은 제4회 회기 중(1919. 4. 30∼5. 12)인 5월 3일 한성정부 문제에 대하여 회의를 열고 “4월 23일 경성에서 정한<임시정부조직 선포문>및 각원의 선정을 인정하지 않고,<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대한민국임시헌장선포문>·<대한민국임시헌장>·<선서문>·<정강>등 임시정부 성립에 관한 인쇄물을 국내에 송부하기 위해 연락원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234)

 그러나 주요 각료들이 취임을 유보함으로써 상해 임시정부는 정체상태에 빠졌다. 특히 국무총리 이승만(한성정부의 집정관총재)과 군무총장 이동휘(신한민국정부의 집정관)의 취임거부는 임시정부의 출범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한성정부의 집정관총재인 이승만은 이미 미국 워싱턴에 ‘大韓共和國 臨時事務所’라는 한성정부의 간판을 걸고 활동하고 있었다.235) 이승만은 상해임시정부와 한성정부 양쪽에서 정부수반에 선임되었으면서도 후자가 국민대회라는 절차를 밟아 성립되었다는 ‘명분’과, 상해 임시정부가 정부수반의 선출권과 탄핵권을 임시의정원에 부여하고 행정권을 국무총리가 중심이 되는 국무원에 일임함으로써 자신의 독주를 제도적으로 차단했음에 비해 한성정부는<約法>을 통해 독립된 국가로서 정식 국회가 개원될 때까지 정부수반의 절대권력을 보장해 준 ‘실익’ 때문에236) 한성정부의 집정관총재직을 수임했다.

 이동휘도 사정은 비슷했다. 1919년 4월 13일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이 내외에 공포되고 노령과 간도일대에 이같은 사실이 알려진 뒤에도 그는 신한민국정부의 ‘집정관’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일제관헌의 보고에 따르면 그는 4월말 경 노령으로부터 훈춘현 塔道溝에 들어와 대한국민의회 훈춘지부를 설치하는 한편 4월 24일부터 3일간에 걸쳐 회의를 열고 국내 침투를 결의했다.237)

 상해 임시정부가 표류하고 있을 때 1919년 5월 외무차장 현순의 안내로 내무총장 안창호가 상해에 도착함으로써 그를 중심으로 임시정부 운영의 정상화가 시도되었다. 시급한 문제는 선임된 각료들을 속히 상해에 집결시키는 일이었다. 안창호는 이승만과 이동휘를 취임시키는 일이 사태 해결의 첩경이라고 판단했다. 취임을 요구받은 이승만은 안창호에게 “국무총리를 대통령으로 바꿀 것”, “애국금을 폐지하고 오직 공채만을 발행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다.238) 후자에 대해 안창호는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으나, 전자의 요구에 대해서는 “당신은 당신이 원하는 어떤 직함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우리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회신했다. 상해 임시정부가 이승만을 집정관총재로 하는 한성정부를 수용할 뜻을 밝힌 것이다.

 한성정부의 수용방침은 이동휘를 상해로 불러오는 데에도 유리했다. 그는 상해 임시정부의 군무총장이지만 한성정부에서는 집정관총재 다음 가는 ‘국무총리총재’였기 때문이었다. 상해 임시정부와 대한국민의회의 통합협상도 한성정부의 활동에 유리한 명분을 제공했다. 상해 임시정부가 선포된 뒤 대한국민의회는 원세훈을 파견하여 대한국민의회와 임시의정원을 병합하고 정부의 위치를 노령으로 하자고 제의했었다.239)

 대한국민의회는 1919년 4월 29일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에서 회의를 열어 상해 임시정부를 ‘假承認’하기로 하고 일본군이 시베리아에서 철수한 뒤 임시정부를 노령으로 이전한 다음 행동을 일치할 것을 결의했다.240) 대한국민의회는 상설의회 의장 원세훈을 상해에 파견하여 임시정부에 이 같은 결정을 전달했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소재지를 노령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대한국민의회 쪽 제안은 상해 임시정부에서 반대에 부딪혔다. 임시의정원은 국민의회의 제안을 심의하기 위한 1919년 5월 13일 제4회 회의에서 장병준·손두환·한위건·장도정·임봉래·홍도 등 6인의 연서로<의회 통일에 관한 건>을 제출했다.

 한위건은 하나의 국가에 두 개의 국회가 있을 수 없으므로 시급히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손두환은 대한국민의회를 속히 임시의정원에 통일시키자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임시의정원은 대한국민의회에 대해 “임시정부로 하여금 3일 이내로 派員 조사한 후 그 사건을 의정원에 제출케 할 것”을 결의했다.241)

 그러나 이러한 결의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통합문제는 쉽게 결말이 나지 않았다. 여기에는 임시의정원 쪽이 대한국민의회가 소비에트제를 채용, 의회기능뿐만 아니라 행정·사법의 기능까지도 통일적으로 공유한 조직242)임에도 불구하고 의회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한 데도 원인이 있었다. 요컨대 임시의정원은 국민의회와의 통합을 ‘양 의회의 합병론’으로 여겼던 것이다.243) 이 경우 임시의정원과 국민의회가 의회 대 의회로 통합해도 상해 임시정부는 그대로 존속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었다. 이 점은 1919년 6월 7일 상해 임시정부가 임시의정원에 제출하여 7월 14일에 통과된 제의안을 보아도 분명하다.244)

 대한국민의회는 이 결의안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었고 협상은 다시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한성정부 봉대론’이 급속하게 대두했다. 한성정부 쪽의 이규갑은 홍면희와 함께 5월 25일 안창호의 상해 도착으로 국민의회와의 통합운동이 본격화되자 협상과정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245)

 그 결과 한성정부는 상해 임시정부와 국민의회 사이의 협상이 교착된 상황에서 양자를 아우르고 이를 통합하는 구심으로 떠올랐다. 우여곡절 끝에 이들은 다음과 같은 정부 개조안에 합의했다.

① 상해와 노령에서 설립한 정부들을 일체 작소하고, 오직 국내에서 13도 대표가 창설한 한성정부를 계승할 것이니 국내의 13도 대표가 민족 전체의 대표인 것을 인정함이다.

② 정부의 위치는 아직 상해에 둘 것이니 각지에 연락이 비교적 편리한 까닭이다.

③ 상해에서 설립한 정부의 제도와 인선을 작소한 후에 한성정부의 집정관총재 제도와 그 인선을 채용하되, 상해에서 수립 이래 실시한 행정은 그대로 유효를 인정할 것이다.

④ 정부의 명칭은 대한민국임시정부라 할 것이니, 독립선언 이후에 각지를 원만히 대표하여 설립된 정부의 역사적 사실을 살리기 위함이다.

⑤ 현재 정부 각원은 일제히 퇴직하고 한성정부가 선택한 각원들이 정부를 인계할 것이다.246)

 1919년 8월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집정관총재 이승만, 국무총리총재 이동휘를 비롯한 한성정부 각원 명의로<약법 6조>까지 첨부, “海港(상해)에서 국민대리총회를 大開하고 국민의 요구와 사업상을 위해 京城에서 조직된 정부를 채용하기로 의결”하는 내용의<國務院諭告文>을 발표함으로써247) 통합을 공식 선언했다.

 이에 따라 대한국민의회는 1919년 8월 30일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에서 상설의회 총회를 열고 상해 임시정부 쪽 파견원도 참석한 가운데 해산을 선언했다. 임시의정원도 1919년 8월 18일 제6회 회의를 열어<임시정부 개조 및 임시헌법 개정에 관한 제안>을 통과시켰다.248)

231)<大韓民國臨時議政院記事錄第2回集>(≪朝鮮民族運動史≫1, 未定稿), 154∼159쪽.
232)한남수는 이규갑의 使者로 4월 8일 서울을 출발하여 4월 16일에 상해에 도착하여 현순을 만났으나 이때는 이미 상해임시정부가 선포된 뒤였다(<한남수예심종결서>,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5, 140쪽).
233)Soon Hyun, 앞의 책, 83쪽.
234)<上海에 있어서의 韓國獨立運動>(국회도서관,≪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篇, 1976), 25∼31쪽.
235)≪新韓民報≫, 1919년 7월 19일.
236)孫世一,<大韓民國臨時政府의 政治指導體系-臨時憲法 改定過程을 中心으로->(≪三·一運動50周年紀念論集≫, 동아일보사, 1969), 916∼917쪽.
237)姜德相 編,≪現代史資料≫26:三·一運動編二, 154∼155쪽.
238)Soon Hyun, op.cit., pp.84∼85.
239)반병률,<大韓國民議會와 上海臨時政府의 統合政府 수립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2, 1988), 98쪽.
240)위와 같음.
241)<大韓民國臨時議政院記事錄第4回集>(≪朝鮮民族運動史≫1, 未定稿), 49∼50쪽.
242)<大韓民國臨時議政院記事錄第5回集>(≪朝鮮民族運動史≫1, 未定稿), 53∼54쪽.
243)손세일, 앞의 글, 914쪽.
244)<大韓民國臨時議政院記事錄第2回集>(≪朝鮮民族運動史≫1, 未定稿), 53∼54쪽.
245)송남헌,≪시베리아의 투사, 원세훈≫(천산산맥, 1990), 34쪽.

이규갑, 앞의 글, 186쪽.

당시 상해의 ‘노령대표’(국민의회)들도 한성정부를 지지했다(이정규,≪又觀文存≫, 삼화인쇄 출판부, 1974, 102쪽).
246)김원용,≪재미한인오십년사≫(김호, 1956), 458쪽.
247)<大韓民國臨時政府國務院諭告>(국회도서관,≪韓國民族運動史料≫三一運動篇 其二), 743∼744쪽. 고정휴는 몇 가지 내용상의 미비점을 들어 ‘국무원유고문’의 실체를 의심하고 있다(高珽烋,<대한민국임시정부의 통합정부 수립운동에 대한 재검토>,≪한국근현대사연구≫13, 2000, 43∼44쪽).
248)그러나 임시의정원에서 통과된 개조안은 ‘승인·개조분쟁’으로 국민의회의 거부에 직면했다. 상해 임시정부가 이해한 통일안은 임시정부만을 해체하고 한성정부의 각원대로 개조함을 뜻하는 것이지, 임시의정원의 해산까지 포함한 것은 아니었다. 반면에 국민의회 쪽이 이해한 통일안은 임시의정원과 국민의회의 동시해산→한성정부 승인→신국회의 구성이었다. 그러므로 국민의회의 입장에서 임시의정원이 해산은커녕 임시헌법 개정과 임시정부의 개조를 단행한 것은 ‘불법’이었다. 1920년 2월 15일 국민의회는 상해임정의 ‘약속위반’을 비난하며 재건을 선언했다(반병률, 앞의 글(1988)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