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Ⅲ. 통일 신라와 발해

4. 신라 말기의 사회 변동

〔학습 개요〕

8세기를 전후하여 절정을 이루었던 통일 신라는, 8세기 후엽에 이르러 귀족들의 반란이 잇달아 일어나면서 혼란에 빠졌다. 특히, 골품제에 의해 진출이 억제되어 불만에 차 있던 6두품들의 불평이 노골화하였고, 지방에서는 호족 세력들이 성장하게 되었다.

즉, 골품 제도가 흔들려 이에 따라 신분 질서가 흔들리고 왕위 계승을 둘러싼 싸움이 계속되는 한편, 지방에서는 호족을 위시하여 해상 세력과 도둑 무리가 독립된 세력으로 커 갔다. 이들은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면서 중앙 정부에 반기를 들어, 신라는 분열과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종교 사상면에서는, 선종이 보급되고, 불교, 유교, 도교 등이 결합되어, 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호족 세력이 선종과 결탁하면서 새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움직임으로 나가게 되었다.

학습 문제

1. 골품 제도가 무너진 원인은 무엇일까?

2. 신라 말기에 있어서 지방에는 어떤 세력들이 일어났는가?

3. 신라 말기의 6두품들의 활동은 어떠하였을까?

4. 신라 말기의 종교상의 변화는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왕위 계승 다툼

통일 후에도 신라에는 골품제에 의한 신분 제도가 엄격히 지켜졌다. 이러한 골품제는 골품이 낮은 사람들의 불만의 대상이 되었고,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골품제에 대한 폐단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6두품에 의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통일 후 번영을 계속하던 신라는, 8세기 후엽에 이르러 진골 귀족들 사이에 왕위 쟁탈전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헌덕왕 때에는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켰고, 흥덕왕이 죽은 후에는 왕위 다툼이 더욱 심해져 같은 핏줄끼리도 싸웠다. 그리하여, 신라 말기의 150여 년 동안은 20여 명의 왕이 교체되는 혼란을 빚었다.

지방 세력

왕위 다툼으로 중앙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지방에서는 성주 혹은 장군이라 자칭하는 호족이 나타나 세력을 확대하여 갔다. 이들 중에는 중앙 정부의 지배에서 벗어나 선종과 결탁하여 새 사회를 건설하려는 야심을 가진 자도 있었다.

이 무렵, 당에 건너가 활약하던 장보고는, 당의 해적들의 약탈 행위를 막고자 귀국한 후에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그는 해적들을 소탕하면서 서남 해안 일대에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여 해상 무역을 독점하는 등 일대 해상 왕국을 이룩하였다. 이와 같은 지방 세력의 성장은 중앙 정부의 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신라 말기의 사회

이와 같이 중앙과 지방의 국가 질서가 흐트러지자, 지방 세력가들은 농민을 독자적으로 지배하게 되었다.

더구나 정부의 세금 독촉이 날로 심해져 살기가 어려워지자, 농민들 중에는 자기 고장을 떠나 떠돌아다니는 유민의 신세가 되는 자가 많아졌다. 진성 여왕 때에 와서는 각지에서 이러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중앙 정부가 나라 전체를 지배할 능력을 잃게 되자, 이제 통일 신라는 농민들을 장악한 호족 세력에 의하여 분열의 시기를 맞게 되었다. 가난한 농민들은 무리를 지어서 떠돌아다니기도 하였다.

선종의 번성

신라 말기의 사회적 혼란은 불교의 권위를 떨어뜨려 종래의 왕실을 중심으로 번성하던 교종은 쇠퇴하게 되었다. 이에, 교종의 권위와 교리에 비판적이었던 선종이 번성하게 되어, 호족과 6두품을 중심으로 여러 종파가 생겨났다.

5교 9산의 위치   

한편, 이들 선종의 새로운 종파는 당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숙위 학생들과 관계를 맺고 유교, 도교, 풍수 사상을 결합하여 새로운 사회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습 정리

1. 신라 말기에는 골품 제도의 무너짐, 잦은 왕위 쟁탈전, 지방 세력의 반란, 호족 세력의 지방 웅거 등으로 신라의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2. 지방 세력의 대표로는 호족이 있었고, 그 밖에 해상 세력이나 농민의 도둑 무리도 있었다.

3. 신라 말기의 불교는 선종이 성행되어 호족의 종교가 되었으며, 왕건의 고려 건국에 사상적 바탕이 되었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