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Ⅰ. 민중세력의 성장2. 민중의 사회적 결속3) 19세기 민중의 사회적 결속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1. 신분제의 이완과 민중사회의 성장
          • 1) 사족지배구조의 정착과 신분구조의 변화
          • 2) 17세기 위기 이후 대민 지배정책의 전환
            • (1) 국가의 대민 지배방식의 전환과 ‘여민휴식’정책의 철회
            • (2) 공동납체제로의 전환과 18∼19세기 호적 운영의 변화
          • 3) 사족지배질서의 동요와 민중의 성장
        • 2. 민중의 사회적 결속
          • 1) 공동체 질서와 민중
          • 2) 18세기 향촌공동체의 변화와 민중조직의 활성화
            • (1) 면리제의 강화와 민
            • (2) 동계의 변화와 분동
            • (3) 민중조직의 활성화
          • 3) 19세기 민중의 사회적 결속
            • (1) 향회의 활용
            • (2) 민중조직과 농민항쟁
        • 3. 민중운동의 사상적 기반
          • 1) 성리학에 대한 사상적 도전
            • (1) 성리학의 교조화
            • (2) 민중사상의 확산
          • 2) 민중운동의 사상적 특성
            • (1) 민중운동 속의 사상경향
            • (2) 민중사상 전파의 주체
            • (3) 정부의 대응책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1. 사회경제적 배경과 정치적 과제
          • 1) 민중세계의 각성
          • 2) 유대관계의 강화
          • 3) 향권의 추이
          • 4) 사회세력의 동향
        • 2. 유민과 명화적
          • 1) 유민
            • (1) 유민발생의 배경
            • (2) 유민의 실태와 유입처
            • (3) 정부의 유민대책
          • 2) 명화적
            • (1) 명화적 발생의 배경과 조직체계
            • (2) 활동양상과 그 성격
            • (3) 정부의 대책
        • 3. 여러 지역의 항쟁과 ‘무신란’
          • 1) 18세기 초 민중의 동향과 변산군도
          • 2) 무신란의 발단과 전개
            • (1) 18세기 초 정치정세와 ‘무신당’의 결성
            • (2) 무신당의 반정계획과 지방토호·녹림당의 가세
            • (3) 무신란의 전개와 향촌사회의 동향
            • (4) 무신란의 참가계층과 그 성격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1. 서북지방의 민중항쟁
          • 1) 사회경제적 특성과 항쟁의 배경
            • (1) 서북지방의 사회·경제적 특성
            • (2) 매향과 향권의 동향
            • (3) 중앙권력의 구조적 수탈
          • 2) 항쟁의 과정
            • (1) 서북민의 저항과 홍경래 난의 발발
            • (2) 홍경래 난의 전개과정
          • 3) 항쟁의 결과
            • (1) 홍경래 난 전후 향촌지배세력의 변동
            • (2) 반봉기군 ‘의병’의 향권 장악
            • (3) 서북민항쟁의 역사적 의의
        • 2. 삼남지방의 민중항쟁
          • 1) 사회경제적 배경과 정치적 여건
            • (1) 사회경제적 배경
            • (2) 정치적 여건과 지방사회의 운영
          • 2) 항쟁의 과정과 양상
            • (1) 항쟁의 발생 지역
            • (2) 항쟁의 직접적 계기
            • (3) 항쟁의 전개과정
            • (4) 항쟁의 참가층과 주도층
            • (5) 항쟁조직
            • (6) 요구조건
            • (7) 공격대상
          • 3) 정부의 대책과 항쟁의 의미
            • (1) 농민항쟁에 대한 정부의 대응
            • (2) 삼정에 대한 대책
            • (3) 이정책에 대한 반대 논의와 저항
            • (4) 농민항쟁의 평가
        • 3. 변란의 추이와 성격
          • 1) 변란과 민란
          • 2) 변란발생의 배경
            • (1) 사회적 모순의 심화와 ‘저항적 지식인’의 활동
            • (2) ‘양이’의 침공과 ‘이단사상’의 만연
          • 3) 변란의 추이
            • (1) 19세기 전반의 변란
            • (2) 해서, 영남세력의 변란
            • (3) 광양란
            • (4) 이필제란
            • (5) 기타
          • 4) 변란의 성격
            • (1) 변란의 조직과 운동구조
            • (2) 변란의 이념
            • (3) 변란과 19세기 후반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민중조직과 농민항쟁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관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된 향회가 민중의 의사를 결집하고 농민항쟁의 조직기반으로까지 전환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을 활용하여 자신들이 모순으로 느끼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는 주도층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동시에 그들이 민중을 동원할 수 있었던 객관적 조건이 성숙되고 있었던 사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당시 새롭게 편성된 里洞조직의 기능강화라던가, 두레 등과 같은 농민조직의 출현 등 기층민들이 기존 지배층 중심의 공동체적 질서를 벗어나 새롭게 자신들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 민중적 공동체 자체가 모두 농민항쟁의 조직으로 전환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 공동체적 질서가 민중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민중이 그것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던 사실을 주목하게 된다.

 아울러 앞서 보았듯이 18세기 이후에는 삶의 현장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기층민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그같은 민중의 결속력의 기반이 되는 것이기도 하였다. 上言·擊錚에 대한 분석에서 드러나듯 17∼18세기를 거치며 합법적인 공간에서 민인들이 의사를 개진할 수 있는 여지가 크게 확대되고 있었으며, 민인들은 등소나 호소 또는 作亂을 통해 집단적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하기도 하였다.072)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서는 문제의 해결방식이 개인적인 차원 또는 친족을 동원하여 보복을 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고 조직적인 차원으로까지 나아가고 있지는 못한 상태였음에 비해, 이제 19세기에 들면서 민인들은 개인적인 호소의 차원에서 벗어나 당시의 폐단을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하는 집단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민중의 조직적인 움직임에는 다양한 조직들이 이용되고 있었는데 향회가 여러 계층의 의사를 결집하는 기구로 운영되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런데 향회가 당시 민인들의 이해를 전반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때문에 민인들은 향회와는 별도의 조직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해야 했으며 그러한 역할은 역시 村契나 두레와 같은 전래의 민중의 공동체적 조직이 담당하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순조 26년(1826) 경주 민인들이 장기현감을 공격한 사건을 기록한 자료에는 ‘契民輩’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거사과정에서 민인들의 촌계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던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073)

 농민항쟁에서 민중조직이 이용되고 있던 예는 앞서 본 진주항쟁의 경우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당시 봉기의 주도자들은 面任·洞任 등에게 통문을 발송하였으며 그에 따라 훈장·면임·동임들이 자신의 관장하는 향촌내 공동체조직 내에서 농민을 선발하고 있었다. 이 때 민인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항쟁에 참가하지 않을 경우 闕錢을 거두거나 혹은 가옥을 파괴하겠다는 협박이 가해지고 있었는데, 이는 항쟁과정에 촌락의 공동체적 구속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이처럼 향촌내 공동체조직이 봉기주도층과 연결됨에 따라 많은 민인들이 항쟁에 참여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농민층 내부에서는 계층분화가 계속되는 가운데 기존의 조직과는 다른 별개의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농민항쟁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초군조직이 그것이다. 樵軍은 본래 생계유지를 위해 나무를 베어다 땔감으로 팔아서 살아가는 존재였다. 대다수의 초군은 생계가 어려워 머슴이나 婢夫로 살고 있었지만 소규모의 토지를 소유하거나 소작지를 경작하는 이들도 있었다. 각종 수탈이 농민의 안정을 위협하는 당시 상황에서 초군은 지속적으로 양산될 수밖에 없었는데 그런 의미에서 농민은 초군의 모집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 초군조직은 일반 농민들이 공동노동을 위해 두레를 이용하고 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나름대로의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그 규모는 대체로 10여 명 정도로 구성되었지만 100여 명이 넘는 큰 조직도 있었고, 樵魁·座上·頭目 등으로 불리는 자들이 조직을 지휘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초군들은 대규모적인 공동노동조직을 통하여 집단화하고 세력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었던 것이다.

 농민과 초군들은 공동노동조직으로 자체적인 결합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 서로 계급적 기반을 같이하고 있었다. 때문에 그들은 강한 결집성을 갖춘 채 향촌내 지배층인 토호·양반들에 의해 주도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봉기에 나설 수 있었던 것이다. 이같은 모습은 1862년 농민항쟁 당시 함양 지방과 같은 경우 사족, 향원들이 중심이 되어 군현 차원에서 활동하고 있을 당시에도 50여 명의 咸陽民이 독자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던 사실, 전라도 일대에서는 뚜렷한 주모자가 없이도 500∼600명 혹은 300여 명씩 둔취하면서 宣撫使의 巡行을 가로막고 자신들의 요구조건을 제시하였던 사실 등에서 확인된다. 또 懷仁에서 초군들이 士夫家에 저항하여 봉기하고 있는 것이라던가, 懷德의 초군 수천 명이 읍을 공격하고 더 나아가 淸州의 반촌을 공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모두 읍회나 향회 등을 매개하지 않고서도 항쟁이 전면화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1862년의 농민항쟁의 조직기반은 다양하였다. 항쟁의 주도층과 관련해서 유형화해보면 첫째 향원(사족, 양반토호)들이 민중을 동원하는 경우, 둘째 기존 향회에 반발하는 주도층이 향회와는 별도의 모임을 통하여 항쟁을 이끌어나가는 경우(진주가 이같은 예에 속한다), 셋째 별도의 와주가 있어서 항쟁을 주도하는 경우, 농민(초군) 스스로 집단을 이루어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074) 이 때 그 조직기반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앞의 두 경우는 각 동(리)에 거주하는 동민들이 동원의 대상으로서 기존의 향촌조직이 이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뒤의 두 경우에는 보다 민중적 기초가 강한 것이었지만 그 규모에 있어서는 군현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지는 못하였다. 진주의 경우 초군조직 자체도 초군청이라는 지방행정기구의 지휘 아래에 있던 공적 조직이었다는 점에서075) 당시 민중 일반이 처한 조건과 크게 다른 것은 아니었다.

 조직기반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1862년 농민항쟁의 주류적 경향은 향회와 같은 기존의 지배기구를 이용한 것이었다. 그리고 대부분 그 기본 동력이 되었던 일반 농민, 그들과 연결된 초군조직 등과 같은 민중조직이 아직은 공동체적 질서를 완전히 벗어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민중은 자신들의 결속에 기초한 항쟁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처지를 자각하고 한단계 높은 항쟁의 주체로 전화해 갔다. 향회에 기반한 농민항쟁이 결국 당시 사회모순의 담당자였던 농민들의 이해를 충분히 대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단기간의 항쟁으로 결말나고 있었음은 당시 사회모순의 기본 성격이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잘 말해 주는 것이었다. 1862년 농민항쟁의 준비와 초기 단계에서는 지주, 부농 등 진보적 요호부민들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지만 항쟁의 발전과정에서 그들이 탈락하고 주도권이 빈농 초군에게 넘어가면서 보다 철저한 ‘반봉건운동’으로 나아가게 되었음은 이제 민중이 주체적으로 역사의 전면에 부상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었다.

 1862년 농민항쟁 과정을 통해서 농민들은 물론 당시 항쟁을 주도했던 사회세력이 자신들이 처한 객관적 조건을 보다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으며, 역량의 한계를 체험하게 됨으로써 다음 단계의 항쟁을 준비하게 된다. 이후 변혁운동이 지배계급의 울타리에서 벗어나고 단순한 경제투쟁의 단계를 뛰어넘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어 나가게 되는 것은 자연스런 과정이었다.

<金仁杰>

072)韓相權, 앞의 책, 228∼247쪽.
073)한명기,<19세기 전반 반봉건항쟁의 성격과 그 유형>(≪1894년 농민전쟁연구 2≫, 역사비평사, 1992), 194쪽.
074)金仁杰, 앞의 글(1989), 66쪽.
075)金容燮,<朝鮮王朝 最末期의 農民運動과 그 指向>(≪韓國近現代農業史硏究≫, 一潮閣, 1992), 36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