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항아리

항아리는 둥근 몸체에 짧은 목이 달린 그릇에 대한 총칭으로 가장 출토 예가 많은 기종이다. 항아리 중에서 높이 40㎝ 미만을 작은항아리[壺]라 부르며, 이보다 큰 것을 큰항아리[甕]이라 부른다. 작은항아리는 목과 동체부의 형태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된다. 즉, 공처럼 둥근 몸체에 목과 아가리가 곧추선 형태와 눌린 공 모양[扁球形]의 몸체에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진 형태, 짧게 밖으로 벌어진 아가리에 약간 긴 몸체를 가진 형태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중 첫 번째와 두 번째 유형은 주로 고분에서 출토된다. 첫 번째 유형은 주로 4∼5세기경의 적석총[積石塚]에서만 출토되며, 형태상 변화도 거의 없다. 두 번째 유형은 세 유형 중 가장 크기가 작은데, 몸체가 점점 납작해지는 형태로 변화되어 발해시기까지 사용된다. 세 번째 유형은 작은항아리 중에서 비교적 몸체가 긴 형태로 실용적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점차 몸체가 길어지고 어깨가 발달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세 번째 유형은 일부 고분에서 출토되는 예가 있으나, 주로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예가 많아 실용기로도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필자]
최종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