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Ⅳ. 한국문화의 특성6. 음악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위치와 지형
          • 2) 한반도의 기후
          • 3) 식생
          • 4) 동물
          • 5) 생태계
          • 6) 생물상
        • 2. 지리학적 특성
          • 3) 지형
            • (2) 하천과 평야
            • (3) 해안과 해양
          • 4) 기후
        • 3. 인류학적 특성
          • 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5) 도시인의 주거지역과 생태적 특성
      • Ⅱ. 한민족의 기원
        • 1. 고고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문화계통의 다원론적 입장-
          • 3) 문화계통
        • 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 1) 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
          • 2)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여러 양상과 그 계통
        • 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1. 선사
        • 2. 고대
          • 1) 국가의 성립과 발전
          • 2) 통일 신라의 수취제도
        • 3. 고려
          • 1) 정치적 특성
          • 2) 경제적 특성
          • 3) 사회적 특성
          • 4) 사상적 특성
        • 4. 조선
        • 5. 근현대
          •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7)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전개
          •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 (4)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1. 언어
        • 2. 문학
        • 3. 종교와 사상
          • 5) 한국 종교사의 전개
        • 4. 과학기술 -한국 과학기술사의 시기별 특징-
          • 1) 전통과학시대
          • 2) 근대과학시대
          • 3) 현대과학시대-한국전쟁 이후
        • 5. 미술
          •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 6. 음악
          • 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근대음악사의 큰 흐름

 양반사대부가 퇴장하고, 중인과 시민층이 사회지배세력으로 나타나며, 양악이 등장하면서 근대음악이 시작되었다. 19세기 말부터 서양선교사들이 세운 새로운 학교나 구한말의 신식 교육체제 아래서 교육 받은 시민층이 양악의 수용에 큰 몫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901년(광무 5) 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 1852∼1916)에 의해서 창설된 서양식 軍樂隊의 등장은 초기 양악 중 기악발전의 터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에케르트가 작곡한<大韓愛國歌>는 작곡가에 의한 최초의 창악곡이었다. 그는 미국·영국·독일·러시아 등 여러 國歌 및 외국 舞曲연주에서 군악대를 지휘했을 뿐 아니라, 1904년(광무 8) 閔妃의 장례식에서 葬送曲을 지휘하였다.

 선교사의 讚頌歌와 風琴을 통해서 양악을 배운 金仁湜(1885년생)은 1911년에 설립된 朝鮮正樂傳習所의 西洋樂 교사로 있으면서 洪蘭坡(1897∼1941)와 같은 양악인을 길러냈고, 구한말 洋樂隊 출신의 白禹鏞은 1907년 양악대의 해산 이후 京城樂隊를 운영함으로써, 양악의 기악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이들은 모두 시민층의 엘리트여서 한반도에 양악의 뿌리를 내리는 데 한 몫을 담당했으나, 무분별하게 양악 일변도로 실시된 서구 지향적 음악교육으로 인하여 새 시대가 요구하는 민족주의음악을 형성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더욱이 일제총독부에 의해서 편찬된≪普通敎育唱歌集≫은 일본창가의 飜案 및 찬송가와 외국민요의 선율로 작곡된 노래로 편성됐으므로, 신식교육제도의 음악교육에서 그 창가집이 학생들에게 왜곡된 음악관을 심어주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록 한국인에 의한 창작곡들로 김인식의 學徒歌나 군악대 출신인 鄭士仁의 太平歌 그리고 李尙俊(1884년생)의 신민요 및 洪永厚 곧 홍난파의 童謠들이 있었지만, 그 창작곡들은 찬송가식 또는 唱歌式의 창작기법을 못 벗어난 수준이었다. 일제강점기 초기 양악인들의 후배로 玄濟明·蔡東鮮·金世炯·安基永·李興烈 등의 작곡가들이 일본의 전문음악학교에서 양악을 공부하고 귀국하여 양악의 작곡분야와 연주분야에서 각기 중요한 몫을 담당했으나, 이들 중에 홍난파와 현제명은 일제말기에 이르러 친일음악가로 변신하여 민족주의음악의 형성에 이바지할 수 없었다. 대부분의 양악작곡가들과 양악연주가들은 광복 이후 대학교의 음악대학에서 양악교수로 재직하면서 음악전공자들에게 서구 지향적 음악관을 심어주는 주역들이었으므로, 근대음악의 시대적 과제였던 민족주의음악의 형성에 그들이 실제적으로 기여하기 어려웠다.

 구한말의 복잡다난했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도 掌樂院의 궁중음악은 세습제의 타파로 인하여 1913년부터 시민층의 자제들을 뽑아서 李王職雅樂部員養成所에서 교육시킨 신진들에 의해서 아악·당악·향악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그리고 풍류방의 정악 중 가곡·가사와 같은 갈래들은 임시로 초빙된 河圭一(1867∼1937)과 林基俊(1868∼1940) 명인에 의해서 아악부원양성소의 雅樂生들에게 전승될 수 있었다. 그러나 판소리나 散調 또는 민요나 雜歌 같은 민간음악의 여러 갈래들이 근대교육기관에 뿌리를 내릴 수 없었으므로, 그 일부가 사회의 음지 속에서 券番의 藝妓들에 의해서 전승될 수밖에 없었다.

 사회의 음지 속에서나마 가야금산조는 金昌祖(1865∼1918)·韓淑求·朴昌玉·李且守·沈昌來 등의 1세대에 이어서 韓成基·崔玉山·安基玉(1905∼1948)·金宗基(1905∼1945)·丁南希(1905∼1984)·沈相健(1889∼1965)·姜太弘(1894∼1968) 등의 2세대에 이르면서 여러 流派를 형성하였다. 가야금산조 이외에 거문고산조가 白樂俊(1882∼1933)에 의해서, 대금산조는 朴鍾基(1880∼1947)에 의해서, 해금산조는 池龍九에 의해서 일제강점기(1910∼1945)에 각각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 朴春載(1877∼1948)·崔景植(1874∼1949)·張桂春(1868∼1946)은 잡가의 전통을 柳開東(1898년생)·李眞紅·鄭得晩 등에게 전승시켰다.

 20세기초 신식교육체제에서 외면당한 전통음악의 명맥을 유지하기에 급급했던 국악인들은 음악교육의 상승세를 탄 양악에 대항하여 살아남기 위해서 몸부림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국악인들이 양악에 대한 國粹主義的 사고와 復古主義적 음악관에 사로잡히게 되었고, 그 결과 전통음악의 특수성과 과거 지향적 성향에 빠져 음악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노력을 기울이기 어려웠다. 그리고 광복 이후 국악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어렵게 만든 뿌리는 근대교육제도권에서 전승의 길을 찾지 못하고 사회의 음지에서 명맥을 유지할 수 밖에 없었던 근대민족사의 비운에 기인한다.

 1908년에 왕립극장으로 설립된 圓覺社의 출현은 근대음악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몫을 담당하였다. 원각사의 근대식 원형극장은 음악수용층의 확대에 기여했을 뿐만이 아니라, 판소리의 1인 연주양식을 등장인물에 따른 여러 배역과 근대식 무대공연물로 바꾼 唱劇이라는 새로운 공연양식을 창출한 밑바탕의 무대였다. 일제강점기의 李東伯(1867∼1950)·金昌煥(1854∼1939)·丁貞烈 (1876∼1938)·金昌龍(1872∼1935)·宋萬甲(1865∼1939)과 같은 근대판소리 5명창들이 한편으로는 1933년 朝鮮聲樂硏究會의 판소리 선생으로 활약하면서 金如蘭(1903∼1983)·朴綠珠(1905∼1979)·林芳蔚(1904∼1961)·金演洙(1907∼1974) 등과 같은 후배 명창을 길러내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이 후배 명창과 함께 판소리 다섯마당 이외에<劉忠烈傳>·<裵裨將傳>등과 같은 새로운 창극의 공연종목을 東洋劇場과 같은 사설극장에서 공연함으로써, 시민을 음악수용층으로 확대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극장 이외에 留聲器音盤과 京城放送局의 등장도 시민을 음악수용층으로 확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시민층의 새 음악문화로 나타난 신민요나 유행가와 같은 대중음악이 근대화과정에서 새로 등장한 음악문화의 갈래이다. 초기 신민요와 유행가의 작곡가와 작사자 및 가수들 중에는 일본의 전문음악학교 출신의 엘리트들이 참여했는데, 예컨대 蔡奎燁(1904∼1949)·李冕相(1908∼1989)·金駿泳(1908∼1961)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렇듯 근대음악의 주역들이 한편으로는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의 유산, 곧 국악을 계승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양악 및 대중음악과 제휴하여 근대민족주의음악을 수립하여 발전시키는 의무를 감당했어야 하였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