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3) 청동기시대의 유물(1) 토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다. 중부지방

가) 가락식토기

 可樂式土器는 서울 성동구 가락동 구릉상에 있는 주거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표지로 하는 유형이다. 심발형과 壺形 두 종류의 형태가 있는데 모두 태토에 석영·장석 등의 모래를 섞었으며, 적갈색을 띠고 있는 낮은 火度에서 구운 토기이다.

 그 중 심발형토기는 그 형태가 팽이형토기와 비슷한데, 밑바닥이 좀더 넓어 토기를 세워도 안전할 만큼 크고 동체는 팽이형보다 더 직선에 가깝게 뻗어 있으며 직립 구연이다. 이 토기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구연부로서, 팽이형토기처럼 밖으로 꺾어 접어 2중으로 겹씌웠는데 아주 얇아 단면 실측도를 보면 그 두께가 몸체 부분과 별 차이가 없다. 그리고 접어놓은 입술부분의 너비는 3∼4.8cm이며, 접어 붙인 부분이 몸체에 잘 접착되게 하기 위하여 접착부위를 꼭꼭 눌러놓은 자국이 있다(<그림 3>-①).

<그림 3>중부지방의 토기
① 가락식토기   ② 공렬토기   ③ 송국리식토기

 가락식토기에는 아직 소형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강화도에서 팽이형토기의 파편들이 발견된 예는 있으나, 그 외 중부지방에서는 이 가락식토기가 무문토기의 가장 이른 시기의 형태로 판단되고 있다. 흔암리유적 7호 주거지에서도 유사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가락식토기는 북한계 팽이형토기의 발전형이라 생각되며, 따라서 시기적으로 후대에 속한다고 하겠다.

나) 공렬토기

 경기도 파주군 옥석리, 서울 강남구 역삼동, 경기도 여주군 흔암리, 하남시 미사리 등 중부지방 주거유적에서 많이 출토되는 토기이다.

 가락식토기와 유사한 심발형에 직립된 구연부를 이루고 있는데 구연부 밑에 일정한 간격으로 직경 5mm 정도의 작은 구멍을 둘러 무늬처럼 한 것에서 이름지어졌다. 이 구멍은 토기 안쪽에서 밖으로 뚫었는데 완전히 뚫리지 않은 것도 상당히 있어 구멍 자체가 토기의 용도와 관계가 있기보다는 무늬의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어떤 것은 구연부 첨단에 역시 일정한 간격으로 꼭꼭 찍어서 刻目文을 넣은 것도 있다. 요컨대 이 토기는 심발형에 口脣刻目·공렬문을 한 것이 그 특징이라 하겠다(<그림 3>-②).

 이 토기는 목이 길고 배가 부른 호형토기와 小形鉢·高柸·紅陶 등 다양한 토기와 반출하고 있으며, 반출 석기도 다양하다.

 앞에서도 보았거니와 공렬문은 두만강유역의 화분형토기와 압록강유역의 공귀리에서도 보인다. 이들과 한강유역 공렬토기를 비교하여 보면 함남 영흥읍에서 출토한 공렬토기와 가장 유사하다. 한강유역 공렬토기는 함흥평야 지방에서 발달한 공귀리식토기가 한강 상류로 들어와 중부지방에서 가락토기와 만나 역삼동식의 공렬토기로 정형화한 것 같다.

 특히 공렬토기 출토 주거지의 탄소연대를 보면 옥석리는 2590±105B.P.(기원전 640년 전후), 흔암리 7호 주거지는 2520±220B.P.(기원전 570년 전후) 등으로 측정되어 편년에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공렬토기는 영남지역 전역과 호남지방 섬진강유역에서 발견되고 제주도에서도 출토한다. 이는 한강유역 하류지방에서 남한강을 따라 충북지방을 지나 낙동강 상류지역으로 전파되고, 다시 강을 따라 영남지역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해안을 돌아 섬진강유역에까지 이른 것이다.

다) 송국리식토기

 충남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 주거지에서 처음 발견된 토기이다. 넓은 평저에 배가 불룩하고 구연부가 外反한 甕形土器인데, 태토는 진흙에 石英·長石粒을 섞었다. 색깔은 황갈색 혹은 회갈색을 띠고 있으며 無文이다(<그림 3>-③). 토기의 질은 한강유역의 공렬토기와 유사하나 다만 기형이 특이하다. 크기는 높이 20cm 전후의 소형에서 높이 50cm 전후의 대형도 있다.

 요컨대 이 토기의 특징은 넓은 평저와 짧고 외반한 구연부라 하겠으며, 이 특성이 가락식토기나 공렬토기와는 계통이나 시간적 차이를 느끼게 하는 점이라 하겠다. 반출하는 토기로는 발형·심발형·잔·홍도 등이 있으며, 석기로는 半月形石刀·石劍·石鏃·有溝石斧·環狀石斧 등이 있는데 반월형 석도 중에는 三角形石刀에 가까운 것도 있다.

 송국리식토기는 가락식토기와 공렬토기 다음 시기에 등장한 것으로 보아 무문토기 中期의 토기로 편년된다. 器形의 발달이나 器種의 다양함, 그리고 반출 유물들의 성격을 보아도 역시 공렬토기 이후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송국리식토기는 전남 영암군 장천리, 승주군 대곡리 등 호남지방 전역에서 출토하며, 경남 거창군 대야리를 비롯한 영남지방에서도 널리 보이고 있다. 또한 공주 남산리와 송학리에서도 옹관으로 사용한 송국리식토기가 출토되었다. 이로써 송국리식토기는 널리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용도로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