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토기는 無文土器이다. 그러나 이 무문토기는 청동기가 사용되기 전부터 출현하여 청동기를 수용하고, 나아가 철기가 들어올 때까지 사용된 토기이다. 따라서 청동기시대에만 국한되는 무문토기를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무문토기 문화인이 청동기를 수용하고 나아가 철기를 수용한 것이다. 이에 지역성과 시기성을 참작하여 유형별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