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3) 청동기시대의 유물(2) 석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라. 편년

 한반도 무문토기문화의 발생연대와 소멸에 관한 편년은 일치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학설이 제기되었다. 특히 상한에 대해서는 기원전 15세기에서부터 6∼7세기까지로 의견이 엇갈려있다. 그러나 한반도의 무문토기문화가 만주지역의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하가점문화나 우가촌문화 등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파악할 때 상한연대는 하가점 상층문화의 연대에서 구할 수 있다. 이같은 추론이 가능하다면 하가점 상층문화의 상한연대를 서주 말0279)로 파악하고 있으므로 기원전 9세기 이후에 해당된다. 이같은 연대는 방사성탄소연대를 중심으로 청동기시대의 집자리들의 상한을 파악한 견해와도 어느 정도 일치되는 것이다.0280) 또 이같은 연대는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중 가장 빠른 시기의 문화로 인식되고 있는 각형토기의 상한연대를 기원전 10∼9세기로 파악하는 것과도 크게 어긋나지 않다.0281) 따라서 무문토기문화의 상한연대를 밝힐 수 있는 적극적인 근거가 확보되지 않은 현재로서는 기원전 9세기 이후 대체로 기원전 8세기를 전후한 시기를 상한연대로 파악할 수밖에 없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무문토기문화의 석기는 유구석부의 출현, 삼각형석도의 등장, 유경식석검의 소멸과 부장용 석검의 존재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중간단계를 가지고 있다. 이 단계는 각형토기 문화유적에서도 별도끼의 등장과 같은 형태로 파악될 수도 있다. 이같은 변화는 비록 일시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한 문화요소가 다른 문화요소에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문화의 변화 중 유구석부의 등장이나 삼각형석도의 발생은 부여 송국리유적이 빠른 연대에 속하는 유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파악한다면 송국리유적의 연대를 전후한 시기에 그 같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송국리유적의 연대에 대해서는 한국식동검의 발생보다 어느 정도 빠른 시기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같은 추론이 타당하다면 대체로 송국리유적의 연대는 기원전 5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편년할 수가 있다. 이같은 연대 추론은 각형토기 유적의 편년에서 별도끼의 등장과 같은 시기에 등장한 것으로 파악되는 석탄리식 석검이나 석도가 만주식동검과 관련이 되며 그 연대를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로 편년하는 것과도 대체로 부합된다. 따라서 기원전 5세기, 그 최대 상한을 6세기로 하는 시기에 한반도의 석기문화 체계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같은 연대는 토기의 경우 요령지방의 경우 기원전 6∼5세기의 유적에서 흑도장경호가 출토되며 한반도의 경우도 흑도장경호가 출현한다.0282) 그리고 흑도장경호의 출현과 더불어 청동유물의 양상에서 변화가 보이며 그같은 변화가 석기에도 변화를 초래하였을 것이라는 점에서 기원전 6세기를 상한으로 하는 석기 체계에서의 변화와 관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무문토기문화의 하한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며 지역적으로 큰 편차를 갖고 있다.0283) 그러나 대체로 새로운 토기의 등장과 철기의 일반적인 보급 등으로 특징되는 다음 문화단계의 상한연대와 관련되며, 묘제에 있어서 지석묘의 소멸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기원전 2∼1세기를 전후한 시기를 대체적인 연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역에 따라서는 그보다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지금까지 청동기시대의 석기에 대하여 1980년대 중반 이후 개별 유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석검과 석도에 대하여 개관하고 그를 바탕으로 석기의 특성과 전개과정 그리고 석기 전반의 흐름에 대한 편년을 설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청동기시대 석기에 대해서는 주로 개별 유물의 형식분류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같이 석기 개개의 형식분류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연구도 의미가 있으나 개개 유물에 대한 자연과학을 이용한 미시적 분석을 통하여 기본적인 자료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청동기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최근 청동기시대 전반적인 유물·유적의 변화상을 파악하려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으나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거의 없고 지역적 연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앞으로 이같은 연구가 보다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면 청동기시대 석기에 대한 이해와 그를 통한 청동기문화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尹德香>

0279)李康承,<遼寧地方의 靑銅器文化>(≪韓國考古學報≫ 6, 1979).
0280)崔夢龍,<住居生活>(≪韓國史論≫13, 國史編纂委員會, 1983)에서는 기원전 8세기이후로 편년하였다.
0281)韓永熙, 앞의 글.
0282)韓相仁,<粘土帶土器 文化性格의 一考察>(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1).
0283)무문토기문화, 즉 청동기문화 연대의 상한과 하한에 대해서는 國史編纂委員會 編,≪韓國史論≫1(1977)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