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3) 청동기시대의 유물(3) 청동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우리 나라의 요령식동검문화는 중국 요령지방의 요령식동검문화에 비해 다소 단순한 내용을 보인다. 무기류로는 동검·동모·동촉만 보이며, 공구류로는 도끼(銅斧)·끌·손칼 등이 있을 뿐 의기류나 마구류·장신구류는 보이지 않는다.

가) 무기류

(가) 요령식동검

 琵琶形銅劍·滿州式銅劍·曲刃靑銅短劍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다. 중국의 동북지방, 특히 현재의 요령성 관내에 집중 분포되어 있고, 우리 나라에서도 함북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이 동검은 劍身과 손잡이를 따로 만든 뒤 그것을 조립하여 사용하게끔 되어 있는 소위 ‘別鑄式’의 것으로 중국식동검이나 오르도스식동검들처럼 검신과 손잡이가 함께 주조된 一鑄式의 동검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전형적인 검신의 형태는 양 인부의 상부쪽이 튀어나와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그 아래쪽은 좁혀지다가 아래쪽에서 다시 둥글고 넓게 퍼져 전체적으로 비파의 형태를 가진 것이다. 검신 상부의 돌기부와 동일한 위치의 등대에는 脊突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부는 긴 편이고 측면에 얕은 홈을 낸 것도 있다. 전형적인 것에서 벗어난 것에는 인부가 曲刃으로 처리되지 않은 것도 있고, 척돌이 보이지 않은 것도 있다. 이 중 경부에 홈이 파진 형식은 요령지방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이며, 우리 나라에서도 중부 이남지역에서만 출토되고 있는 특수형식이다.0285) 검신의 형태는 후기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척돌이 희미해지며 돌기부가 없어지는 등 전형적인 형태에서 벗어난다.

 요령식동검의 검신과 따로 주조해서 조립하게 되어 있는 손잡이는 T자형의 특징적인 검파이다.0286) 현재까지는 그 출토례가 적어 재령 고산리유적 출토품과 信川 출토로 전해지는 2점, 그리고 황해도 출토의 3점만이 알려져 있다.0287) 발견된 동검 수에 비해 손잡이 수가 적은 것은 목제손잡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손잡이는 손으로 쥐는 筒部와 劍把頭飾을 올려 놓게 되어 있는 盤部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대가 내려가면 반부의 양단이 통부쪽으로 처지는 경향을 보인다. 검파두식은 반부위에 올려 놓은 장식 또는 칼로 찌를 때 중력을 가하기 위한 加重器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0288) 철광석·청동 등의 재질이 사용되었다.

(나) 요령식동모

 요령식동검에 비해 수량이 적고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유물이다. 동검과는 달리 경부 대신에 銎部가 달려 있다. 우리 나라에서 현재까지 거푸집을 포함해서 모두 13점이 발견되었다.0289)

 여천 적량동·傳 보령 출토품0290)과 같이 身部의 폭이 좁고 공부의 길이가 길며, 刃部와 나란하게 隆線文이 돌려진 동모(Ⅰ류)와 영흥읍 출토품0291)과 같이 신부의 폭이 전체 길이에 비해 넓은 것(Ⅱ류), 그리고 평양 출토품0292)과 같이 인부의 굴곡이 심하지 않은 것(Ⅲ류)이 있다. Ⅰ류는 吉林·長春지구의 永吉 星星哨水庫 석관묘 출토품0293)과 유사하며, Ⅱ류는 길림의 長蛇山유적 출토품0294)과 가깝다. 그러나 Ⅰ류는 중서부 이남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有溝莖式의 요령식동검과 함께 지역적 특색을 보여 주는 형식일 가능성이 많다. 遼西지구의 요령식동검문화 유적에서도 동모가 보이지 않으나, 이것은 인부가 버들잎형이고 공부의 측면에 귀가 달린 것이라 큰 차이를 보인다. 거푸집은 함남 영흥읍(현 金野邑)유적과 강원 통천군 鉢山유적에서0295) 출토된 것이 있다. 요서지구에서도 요령식동모와 같이 공부를 가진 비파형의 청동무기가 있으나, 이것은 공부의 깊이가 깊지 않고 공부의 단면도 菱形인 것이 많아 중국에서는 曲刃銎柄式短劍으로 분류되어 있다.0296)

(다) 동촉

 동검·동모에 비해 발견된 예가 적다. 요령식동검과 함께 출토된 동촉으로는 백천 대아리 석관묘의 有莖兩翼鏃 1점뿐이다.0297) 피홈이 나 있고 양익의 끝이 逆刺式을 이룬 이러한 형식의 동촉은 사리원시 상매리 석관묘에서도 발견된 바 있는데0298) 함께 출토된 석촉들도 대아리유적 출토품과 같은 형식의 것이라 동일한 요령식동검문화 단계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유경양익촉 외에 2段莖式의 동촉이 은천 약사동 북방식고인돌에서 출토된 바 있으며, 배천 홍현리 석관묘와 김해 무계리 남방식고인돌(석관묘?), 보성 덕치리 15호 남방식고인돌에서는 유경동촉이 출토되었다.0299) 이 중 덕치리 출토품은 요령식동검편을 갈아서 만든 2차 轉用品이다. 이 밖에 강릉시 포남동 주거지유적에서0300) 출토된 동촉도 함께 나온 석검과 석촉으로 보아 이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촉신 단면이 八菱形을 이룬 특이한 것으로 경부는 2단으로 된 유경양익촉이나 역자식은 아니다.

 이 동촉들 외에 이 시기에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중국식동촉이 몇 점 있는데 경주에서 발견된 유경양익촉 중에는 중국 陝西省 張家坡의 西周住居址에서 출토된 양익촉과 동일한 형식의 것도 있다.0301) 이러한 동촉은 요서지방의 夏家店 上層文化유적에서 요령식동검과 반출되는 것이어서 우리 나라 요령식동검문화의 유입배경과 상한을 상정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라) 중국식동검

 중국 춘추시대 후기부터 漢代에 걸쳐 사용된 중국식동검이 전국시대부터 유입된 것으로 믿어진다. 요령식동검문화기 후기 유적인 재령 고산리유적에서 퇴화형식의 요령식동검과 공반된 중국식동검이 있다.0302) 이 동검은 손잡이에 마디가 2개 있는 有節柄式으로, 손잡이의 횡단면이 볼록렌즈형이라 중국에서 들어온 동검이 아니고 우리 나라에서 모방하여 제작한 倣製品으로 믿어진다.0303)

나) 공구류

(가) 도끼

 소켓이 있는 도끼(銎斧)로는 날이 부채꼴로 퍼진 扇形도끼(銅斧)와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띤 長方形도끼가 있다. 선형도끼는 의주 미송리,0304) 김야 영흥리(거푸집), 부여 송국리(거푸집)유적0305)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선형도끼는 요령지방의 요령식동검문화유적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는데 요서지구보다 요동지구에서 더 많이 보인다. 장방형도끼는 고산리유적에서 발견된 1점이 있을 뿐이다.

(나) 끌

 이 시기의 끌(銅鑿)로는 부여 송국리 석관묘에서 출토된 것 1점과 평양 금탄리 8호 집자리0306)에서 출토된 1점이 있다. 송국리 출토품은 요령식동검의 경부편을 갈아서 만든 2차 전용품이며 금탄리 출토품은 두께가 얇고 폭이 약간 넓은 평편한 것으로 소켓이 없다. 요령지방에서 보이는 공부가 있는 형식은 아직 출토되지 않았다.

(다) 손칼

 손칼(刀子) 역시 개천 용흥리유적0307) 출토품 1점과 용천 신암리 출토품 1점이 있을 뿐이다. 용흥리 출토품은 손잡이에 돌기가 나 있는 형식으로, 이러한 형식은 요령지방에서는 夏家店 上層文化에서 주로 보이는 것이다. 신암리 출토품은 環頭가 달린 것이나 요령식동검문화와의 관련 여부는 불확실하다.

다) 기타

(가) 단추

 단추 모양의 장식품인 銅泡의 뒷면에는 작은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 가죽이나 천에 꿰매어 달 수 있다. 강계 풍용리 석관묘, 봉산 신흥동 집자리, 나진 초도유적에서 발견되었다.0308) 단추의 周緣部에는 短線文이 시문되어 있다. 沈陽 鄭家窪子 등 요령지방의 유적에서는 활집이나 장화 등에 부착되어 출토되었다.0309)

(나) 방울

 이 시기의 방울(銅鐸)로는 나진 초도유적에서 출토된 1점과 금야 영흥읍유적에서 출토된 거푸집이 있다. 같은 형식의 것으로 전체적으로 截頭圓錐形을 띤다. 하부와 중앙상부에 횡으로 M자 또는 삼각거치상의 문양대가 돌려져 있다. 영흥읍유적에서는 요령식동모의 거푸집이 함께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들 방울이 요령식동검문화기에 속하는 유물임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초도유적에서 출토된 동제대롱구슬(管玉)·가락지·장식품 등이 있다.0310)

0285)李健茂,<韓國의 靑銅器文化>(≪特別展 韓國의 靑銅器文化≫, 汎友社, 1992), 127쪽.
0286)秋山進午,<中國東北地方の初期金屬器文化樣相(上)>(≪考古學雜誌≫53-4, 日本考古學會, 1968), 13쪽.
0287)原田淑人·駒井和愛,≪牧羊城≫(東亞考古學會, 1931), 55쪽.

秋山進午, 위의 글, 17쪽.

황기덕,<최근에 새로 알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 관계의 유적유물>(≪고고학자료집≫4, 사회과학출판사, 1974), 159∼161쪽.
0288)靳楓毅,<朝鮮地區發現的檢柄端加重器及其相關遺物>(≪考古≫2, 中國科學出版社, 1983), 113쪽.
0289)李健茂,<遼寧式銅矛에 대하여>(≪李基白先生古稀紀念論叢≫上, 一潮閣, 1994), 2∼19쪽.

류병흥,<단군 및 고조선 시기의 유적유물 발굴성과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1995-1,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5쪽.

김종혁,<표대부락터유적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1996-2), 22∼25쪽.
0290)慶熙大 博物館,≪博物館圖錄≫(敎學社, 1986), 27쪽.
0291)서국태,<영흥읍 유적에 관한 보고>(≪고고민속≫1965-2), 35∼45쪽.
0292)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조선유적유물도감≫2;고조선·부여·진국편(1989), 250쪽.
0293)吉林市文物官理委員會 外,<永吉縣星星肖水庫石棺墓及遺址調査>(≪考古≫3, 1978), 147쪽.
0294)吉林省文物工作隊,<吉林長蛇山遺址的發掘>(≪考古≫2, 1980), 131쪽.
0295)澤俊一,<鎔范出土の二遺蹟>(≪考古學≫8-4, 東京考古學會, 1923).
0296)靳楓毅,<論 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上)>(≪考古學報≫4, 1982), 414쪽.
0297)리규태,<배천군 대아리 돌상자무덤>(≪고고학자료집≫6,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176쪽.
0298)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황해북도 사리원시 상매리 석관묘 조사보고>(≪고고학자료집≫2, 1959), 41∼42쪽.
0299)尹德香,<德峙里 신기支石墓>(≪住岩댐水沒地域 文化遺蹟調査報告書≫Ⅲ, 全南大博物館·全羅南道, 1988), 91쪽.
0300)李蘭暎,<江陵市 浦南洞出土 先史時代 遺物>(≪歷史學報≫24, 1964), 163쪽.
0301)東洋學學術會,≪梅原考古資料目錄 朝鮮之部≫(1966), 1569번.
0302)황기덕, 앞의 글.
0303)李健茂, 앞의 글.
0304)김용간,<미송리 동굴유적 발굴중간보고(Ⅰ)>(≪문화유산≫1961-1, 과학원출판사), 45∼47쪽.
0305)姜仁求 외,≪松菊里≫Ⅰ(국립박물관 고적조사보고 11, 국립중앙박물관, 1978), 90∼91쪽.
0306)김용간,≪금탄리 원시 유적 발굴보고≫(유적발굴보고 10, 사회과학원출판사, 1964).
0307)韓柄三,<傳 龍興里出土 銅劍과 伴出遺物>(≪考古學≫1, 韓國考古學會, 1968), 62∼64쪽.
0308)정백운·도유호,≪라진초도원시유적 발굴보고≫(유적발굴보고 1, 과학원출판사, 1956), 45쪽.
0309)沈陽故宮博物館 外,<沈陽鄭家窪子的兩座靑銅時代墓葬>(≪考古學報≫1, 科學出版社, 1975), 147∼148쪽.
0310)정백운·도유호, 앞의 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