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1) 생업경제(1) 생업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2) 일본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1) 생업경제

(1) 생업
가. 농경문화의 시작

 역사발전에 있어서 생산양식의 전환 즉, 기왕의 수렵·채집·어로 등 약탈경제적 생업경제 양상이 農耕에 의한 재생산경제 구조로 전환하게 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기반문화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0402) 이같은 변화의 내용이 자체 발전에 의한 것인가, 외부로부터의 기술유입에 의한 것인가, 또는 새로운 종족의 이동에 의한 것인가에는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0403)

 그런데 우리 나라 청동기문화의 성립은 단순한 發明·傳派의 차원이 아니라 주민의 移動이란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대부분 인류사의 커다란 문화적 변혁이 민족이동을 수반하고 있듯이 우리 나라 청동기문화의 기반인 무문토기문화의 한반도 진입 역시 민족의 이동이 강조되고 있다. 이 이동의 양상도 여러 경우가 예상되는데0404) 기본적으로 시베리아 청동기문화와의 관련성이 상정된다.0405) 신석기문화인들의 주된 거주지역이 강변이나 해변인 데 반해 무문토기문화인들의 거주지역이 구릉지역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문화변화의 양상이 급격한 변화나 갈등의 경우와는 거리가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0406) 어쨌든 우리 나라 무문토기문화는 무문토기의 분포가 구릉지대라는 점, 그리고 농경과 관계있는 도구들이 반출되고 주민의 증가와 아울러 청동기를 사용하는 단계로의 전이 등, 이전에 볼 수 없는 특징적 요소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 역사에 있어 현존하는 농경문화의 흔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유적이다.0407) 이 유적은 신석기시대 후기의 유적으로 이 이전의 유적에서는 농경관련 유물 및 곡립 등을 확인하기 어렵다. 지탑리유적에서는 조 또는 피 등의 곡립이 확인되고 유물로서는 돌낫(石廉), 돌쟁기(石犁), 갈돌(展石), 돌도끼(石斧) 등과 둥근밑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가 출토되었다.0408)

 한편 곡립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농경과 관련된 유물의 존재로 농경을 예상할 수 있는 유적으로서 평남 온천군 궁산리유적을 들 수 있다. 이 유적에서는 석제가래(石楸), 사슴뿔가래(鹿角楸), 사슴뿔굴봉(鹿角掘棒), 뿔낫(猪牙製廉) 등의 유물과 둥근밑·평평밑의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가 함께 반출되었다고 한다.0409) 이와 함께 신석기시대 후기 유적으로서 반월형석도와 돌낫 등의 농구가 발견된 것으로 평북 용천군 신암리유적이 있다.0410) 이 유적의 토기는 평평밑 및 손잡이 등이 있어 무문토기문화와의 접촉을 상정할 수 있다.

 이로써 우리 역사에서 농경문화의 시작은 신석기문화 후기부터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에서는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농경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괭이농사에서 보습농사로 발전한 것으로 본다.0411) 그러나 대부분의 즐문토기시대 유적에서는 유물의 조합에서 농경도구의 비중이 크지 않았듯이 농경이 전체 생계방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약하다. 따라서 이같은 내용은 단지 식료의 다양성이 증가한 수렵·채집경제 사회의 연속으로 이해된다. 특히 이같은 변화는 무문토기문화의 수용이라는 요인에 의해 나타났음이 주목된다.0412) 즉 무문토기문화의 수용을 통해 농경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청동기문화의 기반문화로서 청동기문화 단계에서 본격적인 농업생산이 진행되게 되었다. 무문토기는 마제석기를 반출하거나 청동유물과 함께 반출되고 있어 기본적으로 청동기문화와의 관계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무문토기의 분포는 거의 전국적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관계유물로서 유구석부와 반월형석도의 존재가 주목된다. 반월형석도는 수확용 도구로서 농경과 관련된 직접적 유물이란 점에서 신석기시대와 구별되는 생업경제의 변화상을 확인시켜 준다. 따라서 이들 유물의 전파경로와 분포양상을 통해 농경문화의 전파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한반도 농경문화의 전파경로는 초기 농경의 경우 요령지방을 거쳐 육로를 통해 한반도 북부지역으로 연결되었을 것으로 본다.0413) 중국 石刀의 출현은 仰韶文化와의 관계속에서 이해되는데 장방형의 형태에서 점차 반월형으로 변화하였다.0414) 장방형석도의 경우는 조를 중심으로 하는 앙소문화의 전작농업과 관련된 도구로서 우리의 경우 주로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밭농사 중심의 지역적 내용과도 연결되고 있다. 한편 반월형석도의 경우 황하 하류와 산동성 및 양자강 하류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龍山文化의 내용과 연결되는데 용산문화의 경우 밭농사와 함께 도작농업도 행해졌음이 주목된다. 이 유형의 석도는 평안남도·황해도와 함께 한강유역을 중심한 한반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0415)

 따라서 이상 유물의 분포양상을 통해 농경문화의 전파경로를 밝힐 수 있다. 즉 한반도 농경문화의 전파경로는 앙소문화가 요령지방을 거쳐 육로를 통해 한반도 북부지역으로 연결되는 경로가 상정된다. 관련유적의 양상을 통해 확인되고 있듯이 초기 농경문화는 밭농사가 중심이 되었는데 조·피 등이 초기 작물이었고 수수·밀·보리·콩 등이 그 뒤를 이었다.

0402)金貞培,<韓國先史時代의 經濟發展段階試論>(≪歷史學報≫50·51, 1971;≪韓國民族文化의 起源≫, 高麗大 出版部, 1974).
0403)Kroeber, A. L., Anthropology, New York, Harcount, 1948, pp.344∼571.

문화의 변화에 대해 Kroeber는 Invention(발명), Diffusion(전파), Migration(이동)이란 요소에 의한다고 이해하고 있다.

한편 우리 나라 선사농경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다음과 같다.

池健吉·安承模,<韓半島 先史時代 出土 穀類와 農具>(≪韓國의 農耕文化≫1, 경기대 출판부, 1983).

林孝宰,<韓國 原始農耕文化의 展開>(≪韓國의 農耕文化≫3, 1991).

金秉模,<韓國 靑銅器時代 經濟>(≪韓國의 農耕文化≫3, 1991).

安承模,<한국 선사농경연구의 성과와 과제>(≪先史와 古代≫7, 韓國古代學會, 1996).
0404)Trigger, B. G., Beyond History:The Method of Prehistor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68, p.28.

Trigger는 이동의 경우에도 크게 7가지의 경우를 언급하고 있는데 완전히 주민이 교체한 것인지, 또는 후래자가 선주자의 근처에 거주하면서 동화된 것인지, 또 조직화된 이민이 들어온 것인지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0405)金貞培,<韓國靑銅器文化의 史的考察>(≪韓國史硏究≫6, 1971).
0406)金貞培, 앞의 책.
0407)도유호·황기덕,<지탑리유적 발굴중간보고>(≪문화유산≫1957-5·6);≪지탑리 원시 유적 발굴 보고≫(유적발굴보고 8,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61).
0408)도유호·황기덕, 위의 글.
0409)도유호·황기덕,≪궁산리원시유적발굴보고≫(유적발굴보고 2, 1957).
0410)리순진,<신암리유적발굴중간보고>(≪고고민속≫1965-3).
0411)서국태,≪조선의 신석기 시대≫(사회과학출판사, 1986).
0412)金貞培, 앞의 글(1971).
0413)金廷鶴,<經濟生活>(≪韓國史論≫13, 國史編纂委員會, 1983), 171∼175쪽.
0414)安志敏,<中國古代的石刀>(≪考古學報≫10,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1955).
0415)金元龍,<韓國半月形石刀의 發生과 展開>(≪史學志≫6, 檀國大, 1972).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