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1. 철기시대3) 철기시대의 유적(1) 집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철기시대의 유적

(1) 집터
가. 조사현황

가) 북부지역

 지금까지 조사된 북부지역의 철기시대 집터는 두만강유역의 무산 호곡동·회령 오동·웅기 송평동 유적, 함경남도의 영흥 소라리유적 등에서 모두 23기가 발견되었다. 압록강유역의 시중 노남리·중강 토성리·영변 세죽리 유적 등에서는 7기가, 대동강유역의 북창 대평리유적에서는 9기가 발견되었다(<표 1>).


유적명

평면

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회령

오동
1 장방형 무시설형 구덩이(150㎝×100㎝), 불탄흔적 꼭지형파수토기 철부, 鐵滓 숫돌, 방추자, 활비비추, 벽옥제반지, 동물뼈 1954


1955
무산

호곡동
21 장방형 위석형

무시설형
  흑색·갈색마연토기, 굽접시, 시루 철부, 철재, 철낫, 철조, 철편 청동환, 골침, 골추, 복골, 석부, 숫돌, 방추자, 어망추 등 1954


1955
웅기

송평
    터널형 온돌시설       1929


1931
영흥

소라리
1             1956
시중

노남리
2   터널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백색토기 철부, 철촉, 철조, 철추, 꺾쇠, 교구 청동촉, 천, 명도전, 오수전 1965
중강

토성리
2 장방형 터널형

위석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철재, 철편, 절도자, 철조, 교구, 철촉(도끼날) 석촉, 반월형석도, 어망추, 방추차 1960


1962

영변

세죽리
3 장방형

원형
터널형 화구로 추정되는 타원형 구덩이 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도자, 철착   1962


1963
북창

대평리
9 장방형 터널형 2호 집터에 아궁이 시설 적갈색토기, 갈색토기, 회색토기 철환, 철편, 철도자 방추차 1967

<표 1>북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북부지역의 집터는 대개 14.0∼55.0㎡의 규모를 보이고 있는데, 125㎡의 노남리 남파동 1호나 97.8㎡의 호곡동 17호와 같이 예외적으로 큰 것도 있다. 움의 깊이는 0.2∼0.9m로서 청동기시대에 비해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0719)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철기시대에 나타나는 외곬 혹은 ㄱ자형의 터널형이 많고 이보다 발전된 다곬형 화덕이 웅기 송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나) 중부지역

 한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로는 가평 마장리·이곡리, 춘천 중도, 하남 미사동, 서울 석촌동, 수원 서둔동, 횡성 둔내, 중원 하천리·지동유적 등을 들 수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미사동유적을 제외하고 15기이다. 동해안에서는 양양 가평리와 명주 안인리유적이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40여 기이다(<표 2>).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가평

마장리
1 말각장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용도불명의 小片 석촉, 석도편, 석부, 숫돌, 방추차, 토관 1952
가평

이곡리
1 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철편, 철도자편, 철제보습 마제석부, 반월형석도, 숫돌, 마제석촉, 타제석부, 어망추 1978
춘천

중도
2 말각방형,

방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넙적촉, 끌, 도자, 철겸, 장방형고리 철정, 용도 미상 철편 석봉, 연석, 마제석부, 어망추, 방추자, 관옥형토제품 1980


1982
하남

미사동
? 타원형,

말각방형,

장방형

(呂,凸)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1988


1992
수원

서둔동
3 방형,

장방형
터널형 4호집터에서 불탄 서까래 발견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거, 철촉, 도자 볍씨자국이 새겨진 토기저부편 1979


1981
횡성

둔내
3 방형,

장방형
타원형 1호에 출입구시설, 2·3호에 불탄 서까래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도자, 철촉, 낫, 철정, 용도미상의 철편, 창끌, 굽은철 옥, 마제석촉, 마제석검, 숫돌방추차, 갈돌, 골각기, 탄화곡물, 조개 1983
양양

가평리
2 방형

터널형 1호에 작업재, 저장공, 2호에 숯기둥, 작업대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용도 미상 철편 방추차, 숫돌, 골촉 1983
명주

안인리
40 방형,

장방형

(呂,凸)
타원형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회색토기 철부, 도자, 용도미상의 철편 가락바퀴, 숫돌, 곡물류 1989


1990
중원

하천리

지동
2 방형

(呂,凸)
타원형 1·2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연질토기 철부, 철겸, 가래, 도자, 철모, 괭이, 철정 어망추, 관옥, 연석, 숫돌, 방추차, 녹각 1983


1984
중원

하천리
3 장방형,

원형(凸)
위석형 1·3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편, 타날문토기편 철촉, 용도 미상 철편 어망추, 숫돌, 석부, 석촉, 반월형석도, 방추차 1983

<표 2>중부지역의 집터 조사현황

 이들 집터 중에서 평면 형태는 원형·방형·말각방형·장방형 등이 있는데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이 주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명주 안인리·하남 미사동·중원 하천리유적의 경우는 呂자형 및 凸자형이 있어 주목된다.

 집터의 규모는 특수시설로 여겨지는 소형의 석촌동의 것을 제외해도 19.6㎡로부터 40.0㎡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둔내 1호 집터의 경우 154㎡나 된다. 움의 깊이는 0.3∼0.9m로서 약간 깊은 편이다.0720)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바닥에도 돌을 깔면서 주변에 돌이나 점토를 돌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둔동 집터에서는 ㄱ자형의 터널형 화덕이 발견되었고, 미사리유적에서는 화덕에서 발전된 부뚜막 시설도 나타난다.

다) 남부지역

 낙동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유적으로는 경주 황성동, 김해 부원동·봉황대, 거창 대야리, 합천 저포리 A·C지구, 삼천포 늑도유적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유적에서 발견된 집터의 수는 60여 기이다. 전라 남북도지역에서 발굴된 철기시대의 집터는 남원 세전리, 광주 오룡동, 승주 낙수리·대곡리, 보성 죽산리, 해남 군곡리, 벌교 척룡리 유적 등 모두 160여 기에 이른다(<표 3>).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남원

세전리
23 장타원형, 말각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편 관옥, 다면옥, 곡옥 1985
광주

오룡동
24 방형 없음   적갈색연질토기, 회색연질옹, 시루편   방추차 1993
승주

대곡리
100

여기
원형, 타원형, 장방형, 방형, 말각방형, 말각장방형 무시설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철촉, 철편 석촉, 숫돌, 석검, 어망추, 방추차, 소옥 1986


1989
승주

낙수리
15 말각방형, 장방형 무시설형 도랑시설, 저장공, 단시설 타날문토기 철편 석촉, 숫돌, 방추차, 갈돌 1986


1987
보성

죽산리
4 원형, 말각방형, 타원형, 장방형 A-1호에 불탄 흔적 의 도랑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석촉, 방추차, 석부, 어망추, 환상석부, 검편 1989
해남

군곡리
2 원형 없음   경질무문토기 철도자 석촉, 어망추, 홈돌 1987


1988
경산

조영동
        파수부토기, 고배형토기 철기 어망추, 방추차삼각형석촉 1979
경주

황성동
20 말각방형, 원형, 타원형, 방형 무시설형   경질무문토기, 연질토기 철촉, 철겸, 철도자, 단조철부, 철착 돌끌, 숫돌 1990
김해

봉황대
20 타원형, 말각방형     타날문토기, 와질토기 철도자, 철재 숫돌, 골각기, 목제빗 1991
김해

부원동

A·C지구
6 원형,

타원형
타원형 A지구 1·2호사이에 저장공, C지구 1호 저장공, 구상유구 타날문토기   복골 1980
삼천포

늑도
11 장방형, 방형, 말각장방형 없음 1호에 저장공, 5호에 도랑, 12호에 斷面孤狀溝 경질무문토기 판상철부, 철도자, 철제낚싯바늘 어망추, 골촉, 골침, 첨두기, 작살, 석부 1985


1986
거창

대야리
5 타원형 U자형 16호에 원형구덩이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어망추, 숫돌 1986


1988
합천

저포리

A·C지구
4 원형, 타원형 무시설형 1·2지구 각 1호에 저장공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숫돌, 어망추, 방추차, 구슬 1987

<표 3>남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이들의 평면 형태는 원형·타원형·방형·장방형·말각장방형 등 다양하지만 타원형과 말각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집터의 규모는 10∼50㎡ 내외가 다수를 차지하며, 움의 깊이도 대체로 0.15∼0.6m 정도이다.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삼천포 늑도유적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집터에서 1개씩 발견되고 있는데 무시설형이 많다.0721)

0719)林永珍,<움집의 分類와 變遷>(≪韓國考古學報≫17·18, 1985).
0720)林永珍, 위의 글.
0721)林永珍, 위의 글.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