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1. 철기시대3) 철기시대의 유적(1) 집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나. 집터의 구조

가) 평면형태

 평면형태는 원형·타원형·방형·말각방형·장방형·말각장방형 등이 있고 이 중에서 방형·장방형 혹은 말각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중부지방에서는 두 개의 집터가 연결된 呂자형과 집터에 출입시설이 있는 凸자형의 집터가 발견되는 것이 특징이다.

나) 집터의 규모

 집터의 규모는 10㎡에서 50㎡사이에 해당하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며 적은 수이지만 10㎡ 미만의 소형과 100㎡ 내외의 대형 집터도 발견된다. 소형의 경우는 대개 창고와 같은 부속시설로 추정하고 대형의 경우는 지배계급에 속하는 집터로 설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터의 규모가 초기에는 작으나 후기에는 점차 커지고 있다. 움의 깊이는 0.15∼0.9m로서 중부지역을 제외하면 청동기시대보다 대체로 얕아지고 북부지역의 경우 거의 지상가옥화 되었다.

다) 화덕

 내부시설로서 가장 중요한 화덕은 보온뿐만 아니라 취사를 위해서 필수적인 것인데 신석기시대의 집터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유적에서 확인되고 있는 반면 철기시대에는 화덕이 없는 경우도 많다. 화덕의 형태는 터널형·敷石形·無施設形·圍石形으로 크게 구별되고 있다.0722) 또한 좀더 발달된 부뚜막 시설도 보인다.

 터널형:집터 바닥 한편에 양벽과 뚜껑을 편편한 돌이나 土板으로 조립해 터널형으로 만든 것으로, 곬의 형태에 따라 외곬형·ㄱ자형·다곬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외곬형과 ㄱ자형은 노남리 집터 내에서는 같이 축조되어 있고, 같은 문화층에서 조사된 대평리 2·9호 집터에서도 각각 만들어져 있다. 기술상 외곬에서 ㄱ자형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곬형은 송평동유적에서 한 예가 알려져 있으나 집터시설과 분리, 조사되어 분명치 않다. 이 형태는 최근의 온돌시설과 흡사하여 외곬형·ㄱ자형보다는 발전된 단계로 생각된다. 즉 외곬에서 ㄱ자형으로 된 것이 다곬형으로 발달하여 방 전체를 덮힐 수 있는 온돌시설로 발달 과정을 밟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부석형:평평한 돌을 직경 1m 정도의 타원형으로 편 후 그 위에 점토를 덮고 한쪽에 바람막이 돌을 세워 놓은 형태로 중도·마장리유적 등 한강유역에서 조사되었다.

 위석형:신석기시대인의 화덕으로 사용된 이래 오랜 세월 동안 전통이 이어져온 축조 방법이다. 철기시대의 집터로 이와 같은 위석시설을 하여 화덕을 만든 곳은 중강 토성리, 김해 부원동 C지구 2·3호 집터, 무산 호곡동유적 17·26호 집터 등에서 확인되었으나 뚜렷한 지역적 분포 정형은 보여주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위석형 화덕은 터널형 화덕이나 부석형 화덕처럼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시설형:호곡동 5기의 집터는 모두 주춧돌을 장축 방향으로 4줄로 펴 기둥을 세우고 있는데 이와 같은 무시설 화덕에 주춧돌을 펴서 기둥을 세우는 수법은 호곡동에서는 청동기시대 집터에서부터 계속 사용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두만강유역 일대의 오동과 서포항유적의 청동기시대 집터에서도 대부분 무시설 화덕을 만들고 있어서 청동기시대 이래 두만강유역 일대에서 유행한 지역적인 집터 축조방법이라 하겠다.

 부뚜막:화덕에서 좀더 발달된 형태의 부뚜막이 하남 마사동유적을 비롯하여 중남부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는 집터 내부에 부착되어 있고 굴뚝이 외부로 나가 있는 형식이다.0723)

라) 기타 시설

 그 밖의 시설에는 저장시설과 도랑이 있다. 저장시설은 집터 바닥을 파서 만든 것이나 한쪽 벽을 밖으로 돌출시켜 만든 것이 있고 집터 밖에 소형의 구덩이를 가진 경우도 있다.

 그리고 집터 내부에 벽을 따라 도랑(溝)이 있는 예도 보인다. 즉 승주 낙수리, 보성 죽산리, 광주 오룡동, 삼천포 늑도유적 등 구릉에 위치한 집터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집터 안으로 스며드는 물을 빼기 위한 것이거나 혹은 벽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했던 시설의 흔적일 것이다.

0722)韓永熙,<住居生活>(≪韓國史論≫13, 國史編纂委員會, 1983).
0723)李弘鍾,<부뚜막施設의 登場과 地域相>(≪嶺南考古學≫12, 1993).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