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1. 철기시대3) 철기시대의 유적(2) 패총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패총
가. 조사현황

 지금까지 알려진 철기시대 패총은 모두 60개소로 주로 남해안지역에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발굴조사된 패총도 20여 개소에 이른다(<표 1>).0724)

유적명 입 지 출 토 유 물 조사연대
토 기 류 청동기·철기 석기·골각기 장신구 및 기타
김해

회현리
구릉

20m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부, 도자, 낫, 촉, 칼 도자병, 골촉, 골침, 석부 화천, 동물뼈, 탄화미, 방추차 1907∼1935
김해

회현리

봉황대
구릉

20∼30m
경질무문토기, 무문토기 도자 골각기, 숫돌 목제빗 1992
김해

부원동
평지

5∼10m
타날문토기, 경질무문토기 도자, 창, 촉, 낚싯바늘 도자병, 골촉, 첨두기, 복골, 석부, 석검 토제곡옥, 관옥구슬, 방추차, 어망추 1980
양 산 85m 타날문토기 도자 도자병, 숫돌   1992
부산

조도
해안 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낫, 낚싯바늘 첨두기, 골촉, 도자병, 석촉, 석검, 석착 어망추 1972
부산

동래
평지 무문토기, 흑도편 철제소환   유리곡옥 1930,

1967∼1969
창원

성산

(동구)
구릉

30m
무문토기, 홍도,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소형부 첨두기, 골촉, 골침, 도자병, 반월형석도, 석부, 석봉 등 골제뒤꽂이, 수정제곡옥, 방추차, 어망추, 오수전(서남구) 1974
창원

내동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병   1988
마산

현동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골각기   1989
진해

웅천
산지

210∼220m
타날문토기 도자, 칼, 도끼촉, 낚싯바늘, 낫, 창, 작살, 철편 도자병, 골촉, 彫骨, 석부 토제곡옥, 관옥, 아제곡옥 1959,

1961,

1964
삼천포

늑도
해안 경질무문토기       1985,

1986
고성

동외동
구릉

60∼61m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細形銅劍 着裝具, 廣形銅鉾, 漢鏡 골촉, 도자병 방추차 1969∼1970
해남

군곡리
구릉

20∼22m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낚싯바늘, 부, 철편 도자병, 골촉, 골침, 작살, 뒤지개, 복골, 첨두기, 숫돌, 홈돌, 석촉, 석창 토제곡옥, 골제 뒤꽂이, 유리·수정제·토제옥, 어망추, 방추차, 화천 1986∼1988
보성

척령리

금평
구릉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부, 낚싯바늘, 촉 부, 끌, 반월형석도, 숫돌, 송곳, 화살촉, 바늘, 장식품 토제어망추, 토제곡옥, 토제구슬, 토제방추차, 토제조소품 1992
제주

곽지
해안

30m
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끌형철기, 자루형철기, 철편 도자병, 첨두기석부, 홈돌, 숫돌, 연석 어망추, 방추차, 원판형토제품 1979

<표 1>철기시대 패총의 조사현황

 이외에도 철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패총은 경기도 시도패총, 안산 별망패총, 전남 여천 송도패총, 경남 창원 가음정동패총, 김해 수가리패총, 부산 다대포패총 등이 있다.

 최초의 발굴은 김해패총에서 이루어졌다. 김해 회현리패총은 1907년에 시굴조사된 이래로 일본학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발굴 조사되었다. 이것은 당시 일본학자들이 이 유적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컸음을 보여주는데 이를 근거로 일본학자들은 ‘금석병용기’라는 시대구분을 제시하였고, 김해지방과 일본지역이 서로 관계가 깊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특히 이 유적은 1920년에 조사된 패각층 부분과 1934∼1935년에 조사된 지석묘, 석곽묘 및 옹관묘 등 무덤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들간의 연대적인 관계가 논란이 되고 있다. 즉 이 패총의 상한을 옹관과 연결지으면서 기원 전후로, 하한을 고분의 유행기로 보는 입장0725)과 패각층이 무덤 이후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보아 상한을 여전히 기원 전후로 보면서 패각층이 단일층이므로 그 형성기간이 300년을 넘지 못한다고 보아 하한을 기원후 3세기로 보는 견해가 있다.0726) 그리고 일본학자들의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덤과 패각층의 연대를 기원전 천년기 전반부터 기원후까지 여러 시기의 것이 섞여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0727)

 우리 나라 학자에 의해 최초로 조사된 웅천패총은 그 연대가 기원전 1세기 이래의 유적으로 주장되면서 남해안에 분포하는 이 시기의 패총들은 기원 전후로부터 3세기간에 걸친 철기시대의 유적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조도패총의 발굴을 통해 김해문화의 시작(다시 말하면 김해식토기의 시작)이 기원전 2세기경까지 올라갈 수 있음이 주장되었고, 성산패총 발굴보고서에서도 기원전 3세기경까지 소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0728) 김해 부원동패총이 발굴되자 이 패총을 철기시대에서 고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었다.0729) 그리고 삼천포 늑도패총과 해남 군곡리패총이 발굴되면서 철기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의 문화상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 초에는 이상의 견해에 반박하면서 패총의 중심연대가 기원전 3∼2세기까지 올라갈 수 없고 또한 이들 패총의 중심연대가 기원후 4세기대로 떨어지는 고분기의 유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0730) 이에 대하여 패총에서는 (경질)무문토기 다음에 반드시 와질토기의 단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없으며, 패총의 연대를 지나치게 내려볼 수 없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0731) 그 밖에 패총의 형성시기의 환경에 대한 연구도 일부 이루어졌다.0732)

0724)崔盛洛,<原三國時代의 貝塚文化-硏究成果 및 諸問題->(≪韓國考古學報≫29, 1993).
0725)有光敎一,<金海貝塚土器の上限と下限>(≪考古學雜誌≫40-1, 1954);金正基 역,<金海貝塚의 上限과 下限>(≪考古學≫1, 韓國考古學會, 1968).
0726)金元龍,<金海貝塚年代에 대한 再檢討>(≪歷史學報≫9, 1955).
0727)김용간,<김해 조개무지에 대하여>(≪고고민속≫1967-1).
0728)韓炳三·鄭澄元,<東區貝塚 發掘調査報告>(≪馬山外洞城山貝塚發掘報告≫, 文化財管理局, 1976).
0729)金元龍,<金海 府院洞期의 設定>(≪韓國考古學報≫12, 1982).
0730)申敬澈,<釜山·慶南出土 瓦質系土器>(≪韓國考古學報≫12, 1982).

崔鍾圭,<陶質土器 成立前夜와 그 展開>(≪韓國考古學報≫12, 1982).
0731)崔盛洛,<原三國期 土器의 變遷과 問題點>(≪嶺南考古學≫5, 1988).
0732)吳建煥·郭鍾喆,<金海平野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1)>(≪古代硏究≫2, 古代硏究會, 1989).

郭鍾喆,<洛東江河口域에 있어서 先史∼古代의 漁撈活動-貝塚貝類를 중심으로 본 一側面->(≪伽倻文化≫3, 伽倻文化硏究院, 199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