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Ⅲ. 발해의 대외관계3. 일본과의 관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일본과의 관계

1) 발해 건국 초기의 양국교섭

 발해와 일본은 東京 龍原府의 한 곳으로부터 일본까지를 잇는 日本道가 있었다고 중국측에 기록될233) 정도로 공식적인 교섭이 빈번하였다.

 남북국시대에 발해와 일본의 관계는 신라보다 더 빈번한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즉 발해가 일본에 34차례, 그리고 일본이 발해에 13차례에 걸쳐 사신을 파견한 것으로≪續日本紀≫에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三國史記≫가 신라 1,000년의 역사를 다루면서 일본에 10차례밖에 사신을 파견하지 않은 것으로 기록한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물론 일본측의≪속일본기≫등은 신라와 일본의 관계에 관하여 이보다 많은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신라가 일본에 24차례, 일본이 신라에 24차례 교섭을 하였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234) 물론 일본측의 신라와의 교섭은 발해와 일본처럼 왕조대 왕조의 접촉뿐만 아니라 민간차원의 교섭내용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서, 왕조간의 교섭만을 본다면 남북국시대의 228년 동안 발해와 일본은 신라보다 긴밀한 접촉을 하였던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발해가 일본에 처음 사신을 파견한 것은 발해 武王 仁安 9년(727)으로, 이 때 발해 사신 寧遠將軍 郎將 高仁(高仁義)과 高齊德 등 24인이 일본에 파견되었다.235) 이들은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蝦夷에 표착하였다가 고인 등이 해를 당하고 다만 고제덕 등 8인만이 살아 남아서, 같은 해 9월에 出羽國에 상륙하였고 12월에는 일본수도 나라(奈良)에 도달하였다. 다음해 정월에는 聖武天皇을 만나 발해의 國書와 信物을 전하였다. 고제덕 등은 일본 방문에 대한 답으로 일본 천황으로부터 正六位上의 관작과 함께 帛·綾·絁·綿 등의 비단류도 받았다. 또한 이들은 신년하례가 끝난 뒤 초대되어 雅樂을 듣기도 하였으며, 발해왕에게 보내는 교서를 가지고 4월에 귀국할 때에는 引田蟲麻呂로부터 발해까지 전송을 받기도 하였다. 발해와 일본의 교섭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런데 발해가 일본에 사신을 파견한 것은 대체로 신라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236)

 발해와 일본의 교섭은 이후 십여 년간의 공백이 있었다. 발해는 文王 大興 3년(739) 일본에 두번째 사신으로 忠武將軍 胥要德·雲麾將軍 已珍蒙 등을 보냈는데 이 때에 일본의 朝唐使 平群廣成도 함께 동행하였다. 이들 가운데 서요덕은 바닷물에 빠져 죽고 이진몽·평군광성 등만이 출우국에 상륙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일본 수도에 들어가 발해의 국서와 선물을 전하였으며 다음해 정월 7일에는 일본 천황으로부터 답례품을 받기도 하였다. 한편 이진몽은 渤海樂에 대해서 일본측에 설명하기도 하였고 활쏘기대회를 참관하는 등 문화교류도 활발히 하였다. 이들은 같은 해 2월 일본측 大伴犬養의 전송을 받으면서 귀국하였다.

 이와 같이 발해가 두번째로 사신을 파견한 것은 일본과의 첫 교섭 이후 12년이 지난 때였다. 제3대 문왕은 그의 시호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무왕과는 달리 文治를 통하여 발해의 질서를 유지하려던 왕이었다. 발해의 중앙정치기구와 지방제도 및 왕실제도가 비로소 체계적으로 확립된 시기가 바로 문왕대였다. 그가 재위한 기간은 발해의 다른 어느 왕보다도 긴 56년간이었는데, 오랜 재위기간을 통하여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제도를 정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발해가 일본에 다시 사신을 파견한 것은 문왕의 대외적 유화정책에서 나온 것이 아니었던가 한다. 문왕은 당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적극성을 보였던 것과 같이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시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이것이 사신파견으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발해가 일본에 세번째로 사신을 파견한 것은 문왕 대흥 16년으로, 輔國大將軍 慕施蒙과 일행 75명을 보낸 것이다. 두번째 사신파견으로부터 13년째가 되던 해였다. 그러나 당시 발해의 대일 교섭태도는 이전과 다른 면이 있었다. 발해왕의 국서를 갖고 가지 않아 일본조정으로부터 억류될 뻔하였으며 다음해 6월 그들은 일본의 전송사신 없이 귀국하였다. 양국간에 처음으로 사신의 파견과 접대에 있어서 불편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 것이다.

233)≪新唐書≫권 219, 列傳 144, 北狄 渤海.

발해 사신의 출발지는 동경 용원부의 한 항구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금의 중국 길림성 琿春의 八連城으로 보고 있으며, 도착지는 일본의 出羽國 내지 能登國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발해 사신의 출발 항구와 관련하여 혼춘에서 가까운 지금의 연해주 포시예트항이 주목받고 있다.
234)山田英雄,≪日本史料集成≫(平凡社, 1956), 67∼69쪽의「遣新羅使年表」및「新羅使年表」참조.
235)≪續日本紀≫권 10, 聖武天皇 神龜 4년 9월 경인.
236)그렇지만 발해의 일본에 대한 교섭이 흑수말갈사건으로 인한 발해의 당에 대한 공격을 염두에 둔 조처였다는 해석도 있다(韓圭哲,≪渤海의 對外關係史-南北國의 形成과 展開-≫, 신서원, 1994, 187∼18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