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Ⅲ. 발해의 대외관계3. 일본과의 관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신라협공계획 무산 후의 양국관계

 일본과 발해의 신라협공계획은 발해의 도중 하차와 당을 중심으로 한 국제정세 및 일본 내부의 사정으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발해는 당의 안사의 난을 계기로 하여 변방의 요동 즉 이른바「小高句麗」지역에 신경을 쓰고 있는 처지여서 일본의 신라공격 제안에 대해서 끝까지 도울 수 있는 형편이 아니었다. 비록 당의 변방 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이었다고 하더라도 발해가 요동지역의 통치를 강화하고 아울러 신라를 공격하는 두 가지 정책을 동시에 수행하기에는 무리였던 것이다. 발해는 이미 일본에 파견하는 사신을, 문왕 대흥 23년(759)의 輔國大將軍 高南申·高興福을 끝으로 무관에서 문관으로 바꾸었다. 즉 대흥 26년에 일본의 사신파견에 대한 答聘으로 紫綏大夫 行政堂省左允 王新福을 파견한 이후 줄곧 문관만을 파견하여246) 신라협공계획의 포기를 통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발해는 일본에 보내는 사신을 문관으로 바꿈으로써 일본의 혜미압승의 반란(764) 이전에 일본과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하려던 계획을 이미 포기하였던 것이다.

 발해가 일본과 함께 신라를 치려던 계획을 포기하게 된 또 다른 원인은 발해와 당의 관계개선이었다. 당과 발해의 완충지역에서 일어난 안사의 난을 평정하기 위하여 당은 발해의 도움이 필요하였고 발해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양국의 평화관계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동아시아의 정세변화가 결국 발해의 신라공격계획을 포기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당의 발해에 대한 유화책은 안사의 난 이후 문왕 26년에 당나라가 발해왕을 ‘郡王’에서 ‘國王’으로 인정하였던 사실에247)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발해측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신라공격계획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그 계획의 중심인물이었던 혜미압승이 건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孝謙천황과 淳仁천황 사이의 세력 분열이 심화되어 순인천황의 배후세력이자 신라 정벌계획의 입안자이기도 했던 혜미압승이 764년 반란을 일으켜 敗死하게 되자248) 일본도 신라 정벌계획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의 신라 정벌계획에 따른 발해와 일본 양국간의 우호관계는 758년 小野田守가 발해에 파견된 이후 763년의 板振鎌束의 파견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에 일본은 5차례, 발해는 3차례 각각 상대국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특히 일본이 발해에 파견한 14차례의 사신들 중 이 기간에 파견된 사신들이 가장 빈번하게 왕래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교섭은 모두 발해가 일본에 먼저 사신을 파견하였다. 그 방식은 건국 초기와 같은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국 초기의 목적이 정치·군사적인 면이 강했다고 한다면, 그 이후의 것은 경제·문화적인 면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문관 중심의 사신들이 주로 파견되었기 때문이다.

次 數 出 發 時 期 年代 氏 名 散官, 位階 先,答 備 考
日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渤海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武王 仁安 9

 

仁安 10

文王 大興 3

 

大興 4

大興 16

大興 22

 

大興 22

大興 23

大興 23

大興 24

大興 25

大興 26

大興 27

大興 35

大興 36

大興 37

寶曆 3

寶曆 4

寶曆 5

寶曆 5

寶曆 6

大興 50

康王 正曆 2

正曆 3

正曆 5

正曆 5

正曆 6

定王 永德 1

永德 2

永德 2

定王 朱雀 3

簡王 太始 1

宣王 建興 2

建興 4

建興 6

建興 8

建興 10

彛震 咸和 12

咸和 19

大虔晃 3

大虔晃 4

大玄錫 1

大玄錫 6

大玄錫 12

大玄錫 21

大玄錫 24

大諲譔 2

大諲譔 14
727


728

739


740

752

758


758

759

759

760

761

762

763

771

772

773

776

777

778

778

779

786

795

796

798

798

799

809

810

810

814

818

819

821

823

825

827

841

848

859

860

871

876

882

891

894

907

919
高 仁 義(死)

首 領 高 齊 德

引 田 蟲 麻 呂

胥 要 德

已 珍 蒙

大 伴 犬 養

慕 施 蒙

小 野 田 守

楊 承 慶

楊 泰 師

高 元 度

高 南 申

陽 侯 玲 璆

高麗大山(死)

王 新 福

板 振 謙 束

壹 萬 福

武 生 鳥 守

烏 須 弗

史 都 蒙

高 麗 殿 嗣

張 仙 壽

大 網 廣 道

高 泮 弼

李 元 泰

呂 定 琳

御 長 廣 岳

藏 賀 茂 麻 呂

大 昌 泰

滋 野 船 白

高 南 容

高 南 容

林 東 人

王 孝 廉

慕 感 德

李 承 英

王 文 矩

高 貞 泰

高 承 祖

王 文 矩

賀 福 延

王 文 矩

烏 孝 愼

李 居 正

楊 成 規

楊 中 遠

裴 頲

王 龜 謀

裴 璆

裴 璆

裴 璆
寧遠將軍(武)


從 五 下

忠武將軍(武)

雲麾將軍(武)

外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歸德將軍(武)

外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外 從 五 下

從 五 下

紫綬大夫(文)

正 七 位 下

靑綬大夫(文)

正 六 上


獻可大夫(文)

正 六 上

獻可大夫(文)

正 六 上



匡諫大夫(文)

五 六 上

外 從 五 下

慰軍大將軍(武)

正 五 上



從 六 上












慰軍大將軍(武)
























































黑水靺鞨

(신라견제)

上同





新羅挾攻件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발해와 일본의 사신왕래표

<韓圭哲>

246)≪續日本紀≫권 22, 淳仁天皇 天平寶字 3년 및 권 24, 天平寶字 6년.
247)≪新唐書≫권 219 下, 列傳 144, 北狄 渤海 寶應 원년.
248)岸俊男, 앞의 책, 382∼417쪽

野村忠夫, 앞의 글, 102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