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3. 예술2) 미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미술

(1) 회화

 발해의 繪畵에 대해서는 元나라 때에 편찬된≪圖繪寶鑑≫에 大簡之가 松石과 小景을 잘 그렸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대간지를 渤海人이라 하면서도 金나라 항목에 넣은 점으로 보아 그는 금나라 때에 활동한 발해유민으로 보인다. 따라서 발해시대의 회화와는 거리가 있다.

 그림으로는 정효공주무덤과 삼릉둔 2호묘의 벽화가 대표적이다. 정효공주무덤에는 연도와 현실의 3면의 벽에 모두 12명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450) 비록 공주의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여기에 그려진 武士·侍衛·內侍·樂師(樂伎)·侍從을 통하여 공주의 궁중생활을 엿볼 수 있다. 현실의 棺臺 남쪽 측면에도 백회 위에 그린 사자머리 같은 모습이 희미하게 남아 있으나 손상이 심하여 원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정효공주무덤에 그려진 벽화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에는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문을 지키고 서 있는 무사 2명이 그려져 있다. 두 사람의 키는 98cm로서, 칼을 잡고 철퇴를 메고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고 검은 가죽신을 신고 있다.

 현실의 동쪽과 서쪽 벽에는 키가 113cm∼117cm되는 인물들이 각각 4명씩 그려져 있다. 서쪽 벽에는 시위 1명을 앞세우고 악사 3명이 문 쪽을 향하여 뒤를 따르고 있다. 시위는 상투를 높이 틀고 붉은색 抹額(帕首)을 썼으며, 깃이 둥글고 소매가 좁고 옷자락이 긴 갈색 團領袍를 입고 검은 가죽신을 신었다. 허리에는 劍과 활을 차고 어깨에는 철퇴를 메고 있다. 그 뒤로 이어지는 악사들은 모두 幞頭를 썼고 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고 옷자락이 긴 단령포를 입고 있다. 단령포의 색깔은 앞에서부터 붉은색, 짙푸른색, 흰색으로 서로 다르다. 허리에는 가죽띠를 띠었고 악기를 싼 보자기를 하나씩 들고 있다. 발에는 미투리(麻鞋)를 신었다.

 동쪽 벽에도 역시 시위 한 명을 앞세우고 공주를 시중들던 3명의 내시가 그려져 있다. 첫 번째 인물이 시위로서 서쪽 벽과 모습이 거의 같다. 그 뒤에 보이는 3명의 내시도 악사들처럼 복두를 쓰고 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고 옷자락이 긴 단령포를 입고 있다. 단령포는 악사들처럼 앞에서부터 붉은색, 짙푸른색, 흰색이다. 허리에는 가죽띠를 띠고, 발에는 미투리를 신었다. 두 손으로 물건을 잡고 역시 문 쪽을 향해 서 있다.

 북쪽 벽에는 키가 117cm되는 侍從 두 사람이 얼굴을 서로 마주보면서도 약간 문 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있다. 두 사람 모두 복두를 쓰고, 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고 옷자락이 긴 단령포를 입고 있으며, 검은색 가죽띠를 띠고 미투리를 신고 있다. 둘 다 등 뒤로 활을 메고 있다. 서쪽 인물은 흰색의 단령포를 입고 두 손에 雙頭의 지팡이를 잡고 있으며, 동쪽 인물은 紫色 단령포를 입고 두 손으로는 日傘같은 것을 들고 있다. 왼쪽 허리에 찬 화살통(箭囊) 중간에는 머리를 뒤로 돌리고 앞다리를 들면서 도망하는 황토색 사슴 한 마리가 그려져 있어서 하나의 독립된 그림을 이루고 있다.

 벽화를 그리는 방법으로 밑그림을 붙이고 그 위에 침으로 찔러가면서 윤곽선을 만드는 針刺法보다는 鐵線描를 택하였던 듯하다.451) 현실의 벽 위에 백회를 바르고 다시 석회물을 칠한 다음에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먼저 먹으로 윤곽선을 그리고 나서 다홍색(紅)·붉은색(朱)·적갈색(赭)·푸른색·검은색·녹색·흰색 등으로 바탕색을 칠하고, 다시 먹으로 그림을 완성하였고 마지막으로 옷에 문양을 그려 넣었다.

 인물 표현을 보면 하얗게 칠한 얼굴은 둥글고 크며 살이 쪄서 풍만하다. 눈은 작고 눈썹은 가늘며 코가 낮고 뺨은 둥글며 붉은 입술은 작고 동그랗게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인물 표현은 대체로 당나라 풍격을 지니고 있다.452) 그리고 이들이 비록 남자옷을 입고는 있지만 여성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공주를 시중들던 남장한 여성들로 여겨진다. 이러한 예는 당나라 벽화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453)

 이 벽화는 발해인의 服飾도 엿볼 수 있다.454) 머리는 높은 상투를 틀고 복두나 抹額·투구를 썼고, 몸에는 단령포나 갑옷을 입었다. 단령포는 깃이 밭아서 목둘레선에서는 속옷이 보이지 않으나, 허리 아래에서 옆으로 트인 옆트임을 통하여 속에 입은 中單·內衣·袴가 드러난다. 소매에는 넓은 것과 좁은 것이 있고, 옷자락이 발등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다. 겉옷에는 여러 가지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겉옷의 색깔에는 갈색·붉은색·짙푸른색·흰색·자색 등이 있는데, 동일한 직분인데에도 옷 색깔이 각기 다른 점으로 보아서 관복 규정에 따른 것은 아닌 듯하다.455) 다음으로 허리에는 가죽띠를 띠었고 신발은 검은 가죽신이나 미투리를 신었다.

 삼릉둔 2호묘의 현실과 연도의 벽 및 천정에도 백회를 바르고 벽화를 그렸다.456) 이 무덤에는 정효공주무덤 벽화와 비교가 되는 인물과 함께 꽃그림이 그려져 있다. 인물 그림은 현실 동·서벽에 각각 4명, 북벽에 3명, 남쪽 연도 입구 좌우에 각각 1명, 연도 동·서벽에 각각 무사 1명씩 도합 15명이 그려져 있지만, 그림의 보존상태는 아주 나쁘다. 여기에 그려진 인물들도 역시 얼굴이 풍만한 여성들이라고 한다.

 현실 천정에는 꽃그림이 있다. 삼각으로 고임한 천정에는 흰색 바탕에 노란색 꽃이 가득 그려져 있다. 천정 한가운데에는 6개의 꽃잎이 3겹으로 된 큰 꽃을 그리고, 그 둘레를 6개의 꽃잎이 2겹으로 된 여섯 송이의 꽃으로 싸서 아주 커다란 꽃뭉치를 이루고 있다. 고임돌의 아래쪽과 옆에도 각기 다른 꽃무늬로 꽃이 그려져 있다. 현실 천정의 꽃그림들은 二方連續團花圖案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연도 천정에도 동일한 그림으로 채워져 있다. 이렇게 꽃으로만 채워진 그림은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한편 돈화 육정산 6호분(IM6)에서 검은 선과 주홍색·청회색·붉은색으로 칠해져 있는 벽화조각이 발견되었고,457) 화룡 하남둔고분 부근에서도 꽃그림이 있는 벽화 파편이 발견되었으나,458) 워낙 작아서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경성에서 조사된 절터들에서도 꽃이나 千佛圖가 그려진 아주 작은 벽화 파편들이 발견되었고,459) 아브리코스절터에서도 번개무늬와 직물무늬가 복합된 벽화 파편이 발견되었다.460) 또 상경성에서 출토된 벼루 위에 복두를 쓴 인물의 얼굴이 좌우로 납작하게 그려진 예도 있다.461)

450)정효공주무덤 벽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들이 참조된다.

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 앞의 글.

池升元,<淺談渤海貞孝公主墓壁畵>(≪延邊文物資料滙編≫, 1983).

李殿福,<唐代渤海貞孝公主墓壁畵與高句麗壁畵比較硏究>(≪黑龍江文物叢刊≫1983­2).

방학봉,<정효공주무덤의 벽화에 대하여>(≪발해문화연구≫, 이론과실천, 1991).
451)엄장록,<정효공주무덤의 몇 개 특점에 대한 탐구>(≪발해사연구≫3, 연변대학출판사, 1992), 164∼166쪽.

鄭永振, 앞의 글(1994), 376∼377쪽.
452)당나라 벽화에 대해서는 다음 글들이 참고가 된다.

賀梓城,<唐墓壁畵>(≪文物≫1959­8).

宿白,<西安地區唐墓壁畵的布局和內容>(≪考古學報≫1982­2).

秦浩,≪隋唐考古≫(南京大學出版社, 1992), 196∼201쪽.
453)宿白, 위의 글, 150∼153쪽의 附表 참조.
454)김민지·이순원,<발해의 복식에 관한 연구(I)-정효공주묘 벽화를 중심으로->(≪生活科學硏究≫18, 서울大 家政大, 1993).
455)≪新唐書≫渤海傳에는 관복 색깔이 3품 이상은 紫色, 4·5품은 緋色, 6·7품은 옅은 緋色, 8품은 綠色으로 규정되어 있다.
456)鄭永振, 앞의 글(1994), 373∼374쪽.
457)王承禮, 앞의 글, 206쪽.
458)郭文魁, 앞의 글.
459)東亞考古學會, 앞의 책, 76쪽.
460)E.V. Shavkunov 著·宋基豪 譯, 앞의 글(1985), 450쪽.
461)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 앞의 책, 211쪽.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조선유적유물도감≫8 발해편(평양 ; 외국문종합출판사, 1991), 27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