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1) 건축(2) 도성·궁궐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가. 도성

 태조는 이 분지 서북부인 송악산 밑 滿月臺에 궁궐을 건립하고 이를 둘러싼 궁성과 그 밖의 황성을 축조하였다. 그 뒤 성종대에서 현종대에 이르는 사이에 거란의 침입이 잦아 궁궐이 대파되는 등 피해가 커지자 외적의 침공에 대비하여 현종이 처음으로 羅城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현종 20년(1029)에 완공했고, 내성은 고려 말에 시작하여 조선 태조 2년(1393)에 완공되었다.

 왕궁 유적은 1973년에서 1974년에 걸쳐 만월대 서북부에 있는 궁궐 유구 및 그 당시의 궁성과 황성의 유구들이 발굴 조사되었다.536) 이에 의하면 황성동벽은 廣化橋자리 동쪽에서 북으로부터 남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곧게 뻗었고,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있으며, 북쪽과 중앙부에 門址가 있고, 남쪽에는 광화교자리 앞에 廣化門址가 있다. 황성의 남벽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뻗어 나가다가 직각으로 꺾어져서 남쪽 낮은 야산 위로 지나는데, 지금도 토성 흔적이 남아있으며 이 부분이 뒤에 축조된 나성 성벽과 겹쳐진다. 황성 정문인 朱雀門은 이 남벽 중앙부에 있는 朱雀峴에 있었다. 황성 서벽은 송악산 줄기의 한 능선을 따라 내려와서 訥里門에서 서남으로 뻗어 五(午)正門(옛 宣義門)에 이르며, 이 성벽은 뒤에 축조된 나성 성벽으로 이용되었다. 북벽은 야산을 중심으로 그 좌우의 작은 골짜기를 막아 토성을 축조했으며, 지금도 비교적 잘 남아있다.

 궁성은 궁궐을 둘러싸고 축조되었으며, 그 북벽은 황성 북벽에서 조금 떨어져서 지금은 그 성터만 남아있다. 궁정 서벽은 북벽으로부터 야산을 따라 서남쪽으로 토성이 뻗었으며, 廣明川을 가로질러 西華門址를 지나서 그 흔적이 없어졌다. 동벽은 麗正宮址에 일부 남아있고, 동쪽으로 출입하는 문의 기둥들과 계단이 남았으며, 여기서 남쪽으로는 흙담벽 모양으로 만들어졌고 궁성 남벽은 지금 그 터만 남았다.537)

 나성은≪高麗史≫地理志 開城府條에 의하면 현종이 즉위하자 丁夫 304,400명을 징발하여 축조하기 시작하여 현종 20년(1029)에 완공되고, 성의 길이는 29,700보, 羅閣이 13,000칸, 대문 네 개를 포함하여 크고 작은 문이 25개나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정부 238,938명, 工匠 8,450명, 성의 길이 10,660보로서, 성의 높이 27척, 두께 12척이며, 廊屋이 4,910칸이라고도 하여 이론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松都城內圖538)에 의하여 나성의 범위를 살펴보면 송악산에서 서쪽으로 都察峴을 지나 오송산·용수산을 거쳐 동쪽의 金峴 밖을 돌며 炭峴을 거쳐서 송악산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고려도경≫에는 성의 둘레가 60리이며, 작은 산을 돌며 지형에 따라 흙과 자갈로 쌓았으며, 성 밖에는 垓子가 없고, 성 위에는 성가퀴〔女墻〕가 없다고 하였다.539)

<도판 1>松都城內圖     + 참고이미지

536)정찬영,<만월대유적에 대하여(1)>(≪조선고고연구≫1, 1989).
537)정찬영, 위의 글, 참조.
538)≪輿地圖書≫上, 補遺篇 松都誌 권 1, 松都城內圖.
539)徐兢,≪高麗圖經≫권 3, 國城.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