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2) 석조물과 조각(1) 석조물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다. 석등

 이 시기에는 대체적으로 선대의 8각형 전형의 주류를 계승한 양식을 볼 수 있으나 석탑에서와 같이 전체의 형태가 둔중함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전체적인 하나의 시대성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이르러 신라시대 전형의 평면 8각형 석등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을 정립시킨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평면 4각형을 기본형으로 한 것이다.

 예컨대 灌燭寺石燈(보물 제232호<사진 5>)과 玄化寺址石燈은 이러한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다. 竿柱는 평면이 원형이고 그 위에 4각형의 앙련석을 얹었으며 화사석은 네 귀퉁이에 석주만을 세우고 4각형의 옥개석을 덮고 있다. 開城博物館石燈에서는 간주도 4각형으로 되어 있어 신라시대의 8각형이 4각형으로 변형되어 하나의 특징적인 양식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러한 형식에 속하는 유례는 전국적으로 상당한 수가 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건조된 석등을 형태별로 분류해 보면 평면 8각형의 전형 양식과 변형 양식, 쌍사자석등의 세 가지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사진 5>灌燭寺 석등 (보물 제232호)     + 참고이미지

가) 전형 양식

 고유한 석등의 전형 양식은 평면이 8각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정립되었다. 이 양식은 8각의 연화대 위에 8각 간석이 세워지고, 그 위의 8각 앙련대 위에 8각의 화사석과 옥개석이 놓인다. 羅州西門石燈(보물 제364호)은 8각 간주에 銘記가 음각되어 있어 선종 10년(1093)에 건조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석등은 4각형의 지대석 위에 8각의 하대와 간주, 상대석, 화사석, 옥개석, 상륜부의 보개석이 놓여 있어 전형적인 석등임을 알 수 있다.

나) 변형 양식

 관촉사석등은 이곳의 석조미륵보살입상과 같은 연대로 추정하여 광종 19년(967)의 건조로 생각되는데, 간주는 원주형이고 화사석 이상은 4각형으로 변하였다. 沃溝 鉢山里石燈(보물 제234호)은 간주가 원주형으로 변하고 표면에 蟠龍과 雲紋이 조식되어 있다. 華川 啓星里石燈(보물 제496호)은 간주가 원형의 鼓腹形系를 따르고 있으며 화사석과 옥개석은 6각으로 이루어져 특이한 변형을 보이고 있다.

다) 쌍사자 석등

 신라시대에 이미 法住寺雙獅子石燈(국보 제5호), 中興山城雙獅子石燈(국보 제103호), 靈岩寺址雙獅子石燈(보물 제353호) 등의 선례가 있으므로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도 쌍사자석등의 건립은 짐작할 수 있는 바다. 고려시대의 쌍사자석등으로는 高達寺址雙獅子石燈(보물 제282호)을 들 수 있는데, 이 석등은 신라시대 쌍사자상과는 전혀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어 주목된다.

 즉 신라시대에는 두 마리의 사자가 하대석을 딛고 일어나 앞다리와 머리로 연화상대석을 떠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고달사지석등에서는 두 마리의 사자가 구부리고 앉아 있으며 그 위에 대석들을 놓아 등을 받들고 있는 형상이다. 쌍사자로 석등을 받들게 한 의장은 같다고 하겠으나 사자의 자세가 달라지고 있어 같은 쌍사자석등 계통이라 하여도 시대성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