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동불상
신라시대에 비하여 이 시기의 금동불상은 많지 않다. 고려 전기의 금동불로 대표작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은 靈塔寺金銅三尊佛(보물 제409호<사진 11>)이 라 하겠는데 이와 같은 고려시대의 금동삼존불의 예는 매우 드물다. 중앙에 智拳印을 結한 毘盧舍那佛坐像을 모시고 좌·우에 좌상의 脇侍菩薩을 배치한 3존인데 8각 대좌 위에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한 이 3존불은 전반적으로 단정하고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조형상으로는 다소 경직된 면이 있으나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는 매우 우수하다. 본존의 지권인은 오른손을 아래로 하여 통식과 반대이며 상호는 원만하나 동체에 비하여 큰 편이다. 목에 돌려진 삼도와 통견의 법의는 형식화의 경향을 보이는데, 역시 신라 말기에서 계승되는 특징이라 하겠다. 좌·우의 협시보살도 본존과 비슷한 동체의 비례와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3면 보관에는 化佛이 있고 보발은 어깨에까지 길게 흘렀으며 가슴에는 세 줄기의 큼직한 목걸이가 장식되어 있다. 천의는 왼쪽 어깨에 걸쳐 오른쪽 허리에 내려졌는데 역시 형식화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