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2. 의식주 생활2) 식생활(3) 조선 초기의 주요음식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1. 인구동향
          • 1) 편호방식
          • 2) 인구동향과 인구추계
          • 3) 인구이동과 그 영향
        • 2. 신분의 구분
          • 1) 신분제의 개편
          • 2) 4분설
          • 3) 양분설
        • 3. 양반
          • 1) 양반의 개념
          • 2) 양반의 성립과정
          • 3) 양반의 특권
            • (1) 문음의 특전
            • (2) 과거의 특전
            • (3) 관직의 특권
            • (4) 군역의 특전
              • 가. 수전패와 무수전패
              • 나. 양반 직업군
              • 다. 귀족 숙위군
            • (5) 토지소유의 특전
              • 가. 양반의 수조지
              • 나. 양반 사유지에의 특전
          • 4) 양반의 신분적 지위
        • 4. 중인
          • 1) 중인의 개념
          • 2) 중인의 성립과정
          • 3) 기술관
          • 4) 서얼
          • 5) 중앙서리
          • 6) 향리
          • 7) 토관
          • 8) 군교
        • 5. 양인
          • 1) 양인의 개념
            • (1) 양인의 범주
            • (2) 양인의 용례와 범위
            • (3) 양인 규범의 확립과정
              • 가. 고대·고려시대
              • 나. 여말 선초
          • 2) 양인의 신분적 특성
            • (1) 천인에 대한 양인의 상대적 신분 특성
              • 가. 권리상의 특성
              • 나. 의무상의 특성
            • (2) 양인 내부의 권리·의무상의 차등관계
          • 3) 양인의 존재양태
            • (1) 농민
              • 가. 양인 농민의 호칭
              • 나. 의무
              • 다. 사환권
            • (2) 신량역천과 칭간칭척자
              • 가. 칭간칭척자와 그 권리·의무
              • 나. 신량역천 규범과 칭간칭척자
            • (3) 공상인 및 기타 특수 부류
              • 가. 공상인
              • 나. 기타의 특수 부류
        • 6. 천인
          • 1) 천인의 구성
          • 2) 노비의 존재양태
            • (1) 공노비의 존재양태
            • (2) 사노비의 존재양태
          • 3) 노비의 입역과 신공
            • (1) 공노비의 입역과 신공
            • (2) 사노비의 입역과 신공
          • 4) 노비의 신분적 성격
          • 5) 백정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1. 가족제도
          • 1) 혼인제도와 가족유형
            • (1) 조선 초기의 혼인제도
              • 가. 동성혼
              • 나. 일부다처제도
              • 다. 혼인 거주규칙
              • 라. 부녀자의 재혼
            • (2)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
          • 2) 상속제와 양자제도
            • (1) 조선 초기의 상속제
              • 가. 조상전래의 재산에 대한 의식
              • 나.≪분재기≫에 나타난 자녀의 호칭
              • 다. 노비의 상속
              • 라. 토지의 상속
              • 마. 제사의 상속
            • (2) 조선 초기의 양자제도
          • 3) 장례와 제사
            • (1) 법제로서의 상·제
            • (2) 조선 초기 상·제의 실제
            • (3) 5복제의 변화
          • 4) 족보
          • 5) 종법제도와 친족
            • (1) 조선 초기의 종법제도
            • (2) 조선 초기 친족구성
        • 2.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조선 초기 복식문화의 역사적 배경
            • (2) 조선 초기 복식구조
              • 가. 왕실 복식
              • 나. 백관 복식
              • 다. 일반 복식
          • 2) 식생활
            • (1) 조선 초기 주요식품
              • 가. 곡류와 채소·과일
              • 나. 어패류와 육류 및 기타 식품
            • (2) 일상식의 관행
            • (3) 조선 초기의 주요음식
              • 가. 국수와 만두·떡·한과
              • 나. 찬물요리
              • 다. 발효식품
            • (4) 구황식품
          • 3) 주생활
            • (1) 취락의 입지조건
            • (2) 조선 초기 살림집의 모습
            • (3) 살림집의 구조와 생활
              • 가. 산골짜기집의 구조와 생활
              • 나. 농촌의 집 구조와 생활
              • 다. 도시의 집 구조와 생활
            • (4) 살림집의 개선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1. 가족제도
          • 1) 진휼정책
            • (1) 재해상황
            • (2) 일반대책
              • 가. 진대
              • 나. 진휼
              • 다. 시식
              • 라. 구료
              • 마. 상장
            • (3) 특별대책
          • 2) 진휼기구
            • (1) 구황청
            • (2) 상평창
            • (3) 의창
            • (4) 사창
            • (5) 혜민서
            • (6) 활인서
            • (7) 진제장
        • 2. 의료제도
          • 1) 의료시책
            • (1) 의학교육의 강화
            • (2) 의녀제도의 창설
            • (3) 향약의 개발과 보급
            • (4) 의서의 편찬
            • (5) 전문의의 양성
          • 2) 의료기구
            • (1) 3의사
              • 가. 내의원
              • 나. 전의감
              • 다. 혜민서
            • (2) 제생원
            • (3) 활인서
            • (4) 지방의 의료기구
              • 가. 의료기구의 설치와 운영
              • 나. 민간의료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다. 발효식품

 발효식품은 인간이 자연의 섭리를 수용한 예지의 결과이다. 우리 나라는 육류나 어패류의 공급이 계절과 지역에 따라서 제한이 컸으며, 채소를 엄동 중에 얻을 수가 없다. 그러므로 그것을 저장할 기술이 필요했다. 밥은 맛이 나 영양 양면으로 염분과 기타 식품의 균형 섭취가 필요하다. 따라서 콩으 로 장류를 가공하고, 어패류로 젓갈을 가공하여 단백질 공급원으로 상용하 였으며, 채소의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를 발달시켰다.570) 조선 전기의 문헌에 있는 김치는 다음의<표 2>와 같다.

김치구분 김 치 명 재 료
주 재 료 양 념
나박김치

동치미형

 
무침채(土邑沈菜)

물오이저(水瓜菹)

꿩저(雉菹)
무·소금물

오이·소금물

꿩·오이지

산초·백두웅(할미꽃)

생강·천초
신 건 지

짠 지 형




 
오이저(不老瓜菹)

늙은오이저(老瓜菹)

가지저(茄菹)

토란줄기담기(土卵莖沈造)

파침채(蔥沈菜)

동아담기(沈冬瓜久藏)
오이·소금·물

늙은오이·소금·물

가지·소금·물

토란줄기·소금·물

파·소금

동아·소금
식초·백두웅


산초·백두웅



 
석 박 지

소박이형

 
무침채(靑郊沈菜)

머위침채(沈白菜)

메밀줄기담기(沈木麥)
무·소금·물향채

머위·소금·물

메밀줄기·소금·물
 
장아찌형










 
조가자(糟茄子)

가지즙저(汁茄菹)Ⅰ

가지즙저(汁茄菹)Ⅱ

오이즙저(汁瓜菹)

동가개채(過冬芥菜)


무개채


모혁점이법(毛革占伊法)

향과저(香瓜菹)

 
가지·소금

가지·즙장

가지·甘醬 또는 末醬

오이·甘醬 또는 末醬

동아·소금·장기름·

겨자가루

무·소금·장기름·겨자가루

가지·장

노장대과·간장

 
백두옹








기름·식초·마늘

생강·마늘·향수유·

호초

<표 2-1>조선전기 김치 종목과 재료

≪수운잡방≫(1481∼1552) 참조

김치구분 김 치 명 재 료
주 재 료 양 념
나박김치


동치미형


 
산갓침채


생치침채법Ⅰ

생치침채법Ⅱ

나박김치
산갓·따뜻한 물(무염

지임)

삶은꿩·오이지

소금물

 
 
신 건 지

짠 지 형

 
생치짠지히

생치지히

오이지
오이지·생치

오이지·생치

 
천초·기름·호초

간장·기름

 
  동아담는법

고사리담는법

마늘담는법
동아·소금

고사리·소금

마늘·소금


천초

<표 2-2>조선전기 김치 종목과 재료

≪음식디미방≫(1598∼1680) 참조

 우리 나라의 술은 곡주가 전통술이다. 상고시대로부터 술 빚는 솜씨가 뛰어 났으며, 누룩으로 빚은 술과 맥아로 삭힌 감주의 두 계열이 정착되어 계속 발전해 왔다. 조선 초기에 이르면 멥쌀술뿐 아니라 찹쌀로 빚은 술이 많아 지고, 重釀法이 많아진다. 한편 고려 후기에 도입된 증류주(소주)가 더욱 선호되고, 발전하여 일본·중국으로 소주가 수출되었다.571)

570) 黃慧性,≪「閨壺是議方」 해설≫(韓國印書出版社, 1980).
571) 張智鉉, <韓國의 술-그 歷史와 文化->(≪韓國食文化學會志≫4-3, 1989), 272∼27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