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Ⅰ. 학문의 발전4. 지리지의 편찬과 지도의 제작2) 국내지도의 제작(3) 조선방역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1. 성리학의 보급
          • 1) 성리학의 역할
          • 2) 5례·4례의 정비
          • 3) 문묘제도의 정비
          • 4) 대표적인 성리학자들
        • 2. 훈민정음의 창제
          • 2) 훈민정음의 창제
          • 5)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 6) 훈민정음과 관련된 사업들
        • 3. 역사학
          • 1) 민족사의 체계화와 전대사의 정리
            • (1) 전대사의 체계화
            • (2) 고려시대사의 정리
            • (3) 전대사의 체계적 정리
          • 2) 춘추관과 당대사의 편찬
            • (2) 춘추관과 사관
            • (3) 실록의 편찬과 보관
        • 4. 지리지의 편찬과 지도의 제작
          • 1) 지리지의 편찬
          • 2) 국내지도의 제작
            • (3) 조선방역도
          • 3) 세계지도의 제작
            • (1) 조선 전기의 세계지도
            • (2)≪해동제국기≫의 일본 및 유구국지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1. 국가제사
          • 2) 자연신
        • 2. 불교
          • 1) 억불정책과 교단의 존폐
            • (1) 억불정책의 전개
            • (2) 양종과 승과의 폐지
          • 2) 도첩제와 부역승
            • (1) 도첩제의 강화와 폐지
          • 3) 왕실의 불교숭신과 불교행사
            • (1) 숭불의 왕과 그 불사
          • 4) 민간의 불교신앙
            • (3) 불탄일 연등과 수륙재
          • 5) 사찰재산과 승려의 경제활동
          • 6) 당시의 고승들
            • (1) 자초와 기화
            • (2) 세종대의 명승들
            • (3) 세조대의 고승들
        • 3. 도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조선방역도
가. 제작시기

 朝鮮方域圖는 정척과 양성지가 만든 東國地圖의 전통을 이어 명종 12년(1557)경에 濟用監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제용감에서는 전국 8도의 진상품을 파악하기 위해 이 지도를 이용하였을 것이다. 이 지도는 임진왜란 때 왜군에 약탈되어 대마도 宗家에 소장되어 있었다. 1930년대 朝鮮史編修會에서는 조선사를 편찬하기 위하여 일본에 흩어져 있는 조선관련 사료를 수집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마도의 宗家文書도 덕혜옹주의 부군이었던 宗武志로부터 입수하였다. 이 지도는 대마도 종가문서와 함께 수집되었고 광복 이후 國史編纂委員會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다.430)

 이 지도는 상단에「朝鮮方域之圖」라고 횡서되어 있고 중심부에 조선전도를 그렸으며 그 하단에는 제작자의 座目이 있다. 이러한 양식은 16세기「契會圖」의 전형적인 제작양식인데,431) 고지도 중에 이런 양식으로 그려진 것은 조선방역도가 유일하다. 조선방역도의 제작자 좌목에 의하면, 이 지도의 제작관청은 정3품 아문임을 알 수 있다. 정3품 아문은≪경국대전≫에 의하면 31개 관청이 있다.432) 그러나 좌목에 나타난 숫자인 9명의 관원을 정원으로 삼고 있는 관청은 제용감과 繕工監 밖에 없다. 그런데 선공감은 前僉正이었던 朴蘋이 전출해 간 관청이므로, 이 지도는 제용감에서 전국의 공물진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방역도는 8도의 주현을 표시한 8도주현도이다. 이 지도의 제작시기는 다음 세 가지의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명종 12년(1557) 8월부터 명종 13년 2월 사이임을 알 수 있다.

 첫째, 惟新縣의 置廢경위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이 지도는 내용적으로 분류하면 8도주현도이므로, 전국의 주현명칭을 8도별로 색깔을 달리하여 圓으로 표시되었다. 즉 경상도는 적색, 전라도와 충청도는 황색, 강원도는 연록색, 경기도는 연황색, 황해도는 백색, 함경도는 청색, 평안도는 녹색 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지도에서 忠州가 유신현으로 표기되어 있다. 충주목이 유신현으로 강등되었던 시기는 명종 4년부터 선조 즉위년(1567)까지의 19년간이다. 충주목이 유신현으로 강등된 것은 李洪胤獄事 때문이었는데, 이 옥사는 이홍윤의 형인 李洪男의 고변으로 인하여 1개월간 계속되었다. 이 사건으로 忠淸道가 淸洪道로 개명되었으며, 충주목은 유신현으로 강등되었고, 李는 3년 후에 영의정으로 승차되었다.433) 또 이흥남은 고변의 공으로 3년 후에 재등용되었다.434) 그 후 선조가 즉위한 후 대신들의 주청에 따라 충주는 지역이 넓고 문물이 융성하여 현감이 통치하기에는 벅차다는 이유로 충주목으로 復號되었다.435) 이와 같이 충주가 유신현으로 불리워진 기간은 명종 4년부터 선조 즉위년까지 19년 동안이다. 이 지도에서는 충주가 유신현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간 안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花梁鎭에 신설된 京畿水營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방역도에는 경기수영이 남양만의 화량진에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경기수영은 조선 초에 설치되었다가 성종 16년(1485)에 폐기되었다.436) 그러나 삼포왜변을 비롯하여 사량진왜변 등 왜구가 다시 창궐하고 해안가를 노략질하므로, 조정에서는 다시 수군을 강화하고 군진을 보강하였다. 이러한 조처의 일환으로 명종 11년(1556)에 경기 수영을 남양만의 화량진에 신설하였다.437) 조선방역도에 경기수영이 화량진에 표기된 것은 이 지도가 명종 11년 이후에 제작되었음을 알려주는 증거이다.

 셋째, 좌목에 나타난 제작자들의 활동시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좌목에는 제작자들의 이름이 나오는데, 이들 중 사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은 濟用監正 李頣, 副正 尹緯, 僉正 尹確, 前僉正 朴蘋, 前僉正 安士雄·柳智善을 들 수 있다.438) 이이는 加平사람으로 그의 부친은 通訓大夫로 安陰縣監을 지낸 李長卿이다. 그는 주로 淸華要職인 홍문관·사간원·사헌부 등에서 활약하였다. 그는 중종 23년(1528)에 홍문관 著作郞에 임명되었으며, 중종 29년 2월에는 사간원 正言으로 승진되었고, 그 해 11월에는 사헌부 持平으로 다시 승진되었다. 다음해에는 奉正大夫로서 사헌부 掌令이 되었다. 중종 35년에는 외관인 丹陽郡守로 활약하였으나, 그 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여기 좌목에 나오는 대로 명종 12년경에는 제용감정으로서 이 지도를 만드는 책임자였음을 알 수 있다. 그 후의 행적은≪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을 수 없고, 또 그의 족보에 의하더라도 후손이 끊겼기 때문에 그 이상의 행적을 알 수는 없다. 안사웅은 廣州사람으로 그의 부친은 安子欽이다. 그는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11년에 사헌부 장령이 되었다가 사간원 司諫에 임명되었다. 또 이 지도를 만들 때에는 봉정대부로서 內贍寺 副正이었다. 그러므로 이 지도는 명종 11년부터 명종 13년 2월 사이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그는 명종 14년에 사헌부 執義, 다음해에는 승정원 同副承旨, 명종 16년에는 兵曹參議가 되었다.

 좌목에 기재된 사람들 가운데서 행적이 가장 뚜렷한 인물은 유지선이다. 그는 중종 30년에 홍문관 저작랑으로 임명되었으며, 33년에는 奉常寺 判官으로 승차되었다. 중종 36년에는 弘文錄에 뽑혔고, 39년에는 문관으로는 드물게 鍾城府使가 되었다. 그 후 사간원 大司諫·승정원 同副承旨·의정부 參贊·승정원 都承旨·兵曹參議·兵曹參知를 거쳐 명종 10년(1555)에는 掌禮院 判決事, 12년에는 淸洪道觀察使가 되었다. 그가 이 지도의 좌목에 있는 刑曹參判에 임용된 것은 명종 12년 8월이다. 명종 15년 정월에는 경상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사간원의 탄핵으로 부임하지 못하였다가, 명종 15년 7월에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이 때는 林巨正이 횡행하던 때인데 그를 체포하지 못하여 4개월 만인 그 해 11월에 교체되었다. 유지선은 선조 6년(1573)에 開城留守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므로 그가 이 좌목에 나타난 대로 형조참판에 있었던 시기는 명종 12년 8월부터 명종 15년 7월까지의 3년간에 해당된다.

 행적이 뚜렷한 인물인 안사웅과 유지선을 살펴보면, 유지선이 이 좌목에 있는 형조참판으로 재직하던 시기는 명종 12년부터 명종 15년까지의 3년간이다. 또 지도가 제작된 시기는 안사웅의 행적으로 더욱 좁힐 수 있다. 안사웅이 이 좌목에 나타난 대로 봉정대부로 있었던 시기는 명종 11년 5월부터 명종 13년 2월 사이이다. 이 두 사실을 종합하면 이 지도는 명종 12년 8월부터 명종 13년 2월 사이에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30) 1923년 朝鮮史編修委員이었던 栢原昌三의 對馬島史料採訪 復命書에 의하면, 대마도에는 朝鮮圖 1권, 東國地圖 1권, 江原·全羅·慶尙·京畿·黃海·咸鏡道 등의 地圖 6장, 朝鮮地圖 1권 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맨 나중의 조선지도 1권은 彩色지도로서 萬曆 이전에 제작된 지도일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이 지도가 조선방역도를 지칭한 듯하다.
431) 安輝濬,≪朝鮮繪畵史≫(一志社, 1990), 143쪽.
432)≪經國大典≫권 1, 吏典, 京官職 正三品衙門.
433)≪明宗實錄≫권 9, 명종 4년 5월 경인.
434)≪明宗實錄≫권 9, 명종 4년 5월 임진.
435)≪宣祖實錄≫권 1, 선조 즉위년 10월 계사.
436)≪成宗實錄≫권 185, 성종 16년 11월 을해.
437)≪明宗實錄≫권 20, 명종 11년 정월 갑자.
438) 李相泰,≪朝鮮時代 地圖硏究≫(東國大 博士學位論文, 1991), 19∼2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