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5. 민간신앙2) 기타 민간신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기타 민간신앙

(1) 군·현제의

 조선 초기 이래 중앙정부가 지방통치 수단의 하나로 군·현에 설치하거나 시행한 祭儀로는 社稷祭·城隍祭·厲祭·祈雨祭·鄕校釋奠禮 등이 있다. 또한 지방에 따라서는 향리들의 주관으로 ‘府君堂’에서 부군제가 행해졌다. 그러나 성황제 등은 중앙에서 설정했던 당초의 실시 목적과 어긋나게 지방토호들이 여전히 여기에 개입하였으므로 중기에 이르러 이 제의의 폐지가 건의되고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 토호가 배제되는 등 군민행사로는 시행되지 않게 되었다.

 사직제를 지내는 사직단은 성 서쪽에 두었으며 社·稷이 단을 함께 하고 石柱와 配位는 없었다. 봄·가을로 그리고 文宣王 釋奠 때 이 곳에서 제사를 올렸다. 현종 때 황해도와 전라도의 모든 읍에 제목이 각각인 사직위판에 대한 개조를 명한 것이나, 영조 7년(1731)의 교지에 사직위판을 주머니에 담아 매달아 놓는 미신적 행위를 지적한 것319) 등, 그리고 민간에서 后土神·后稷神 등이 동제의 대상신으로 등장하는 현상들은 조선 후기에 들어와 이 제의에 대한 변형이 지역적 차원에서 일어났음을 알려준다.

 성황은 주로「서낭」으로 불리며 조선 후기에 민간화된 제의의 전형이다. 이규경은 ‘仙王堂’이라는 것은 성황을 잘못 부른 것이라고 하였다.320) 군·현제의로서의 성황은 이미 조선 초기부터 사족들에 의해 淫祀로 몰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거의 폐기되거나 유명무실해졌다. 그 대신 이것은 생산력의 발달과 함께 촌락이 성장·확대되어 가면서 촌락단위의 행사로 주변화되어 갔다.

 여제는 厲疫 즉 전염병을 퍼뜨리는 귀신인 厲鬼 또는 無祀鬼神에게 지내는 제사다. 민간화된 성황당에는 토지신·성황신·여역신의 3위를 모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것은 군·현 단위의 사직제·성황제·여제가 마을 단위의 행사로 주변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인 것 같다.

 기우제 역시 문헌상으로는 국가나 군·현의 사직단에서 행한 것으로 제사 날짜가 따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고 날이 가물 때만 지냈으며, 응답이 있으면 입추 후에 報祀를 하였다.321) 기우제 말고도 비가 많이 올 경우에 지내는 祈晴祭도 있었는데, 모내기철에 가뭄이 심한 우리 나라의 기상 사정으로 인해 기우제가 주로 행해졌다. 丁若鏞은≪牧民心書≫에서 당시의 수령들이 가뭄을 만나면 짚으로 용을 만들어 朱土를 칠하고 여러 아이들이 이것을 끌면서 매질하여 욕을 보이게 하고, 도랑을 파헤쳐 냄새를 풍기게 하기도 하고, 뼈를 묻으면서 주문을 외게 하기도 하는 등 기기괴괴한 짓을 하였다고 지적하였다.322)

 先牧·馬社·馬步壇 등도 재앙과 여역을 물리치기 위해 조선 초기에 정부에서 각 고을에 명하여 고을 중앙에 만든 단이다. 酺壇은 마보단과 같은 곳에 위치하며 酺神을 향사하였다. 각 고을의 포제는 포신을 단상 남향에 설치하고 邊과 豆는 각각 4개씩 놓았다.323)

 ≪東國歲時記≫에는 3월의 풍속으로 충청도 淸安縣의 國師神祀를 소개하고 있는데, “현의 首吏가 읍인들을 끌고 동면 장압산 위의 큰 나무에서 국사신 부부를 맞아 읍내로 들어온다”고 하여 지금은 마을제로 행해지는 이 행사가 원래는 향리가 주관하던 현 단위 제의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臨瀛誌≫에 의하면, “이 날은 국사신을 배송하는 날인 5월 5일이다. 戶長이 바야흐로 성황사의 일을 하려고 하는데……”라는 기사를 통해서도 강원도 강릉의 단오제가 갖는 군·현제의적인 성격을 찾을 수 있다.324)

 충청도 진천군의 풍속에 매년 3월 3일부터 4월 8일까지 아녀자들이 무당을 데리고 牛潭堂·東西龍王堂 및 三神堂에 가서 아들 낳기를 빌었는데, 모인 사람들로 시장을 이루었다고 한다.325)

 경상도 고성군에 있는 사당에는 매월 삭망일에 관아 주관으로 제를 지냈는데, 신의 가면을 만들어 당 안에 두었다가 臘月에 그 신이 읍에 내렸다고 하여 가면을 쓰고 관아와 읍내를 돌아다니며 춤을 추면 각 가정에서는 이를 맞아 즐겁게 하였다고 한다.326)

 군·현의 읍성은 대부분 산을 등지게 마련인데, 흔히 이 뒷산을 鎭山이라고 한다. 진산이란 陽氣를 진호하는 산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것은 풍수설에 의한 풀이일 뿐이고, 이 산이 갖는 중요한 기능은 군사상 자연의 방어책이 된다는 점에 있다. 전라도 연해에 있는 네 곳의 鎭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부안현이나 그 아래 지역의 고창현은 이러한 특성을 갖는 지역으로 각각 17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石檣」이라는 풍수물이 읍성에 건립되었다. 당시의 사정을 감안할 때 이 곳에 이러한 풍수물이 세워지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濫伐에 의한 수재의 발생에 있었던 것 같으며, 이것은 읍성의 확장에 따른 인구의 증가 및 집중화와 이로 인한 생태적·경제적 환경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327)

 석장은 고려 이후 조선 중기까지 주로 읍성을 단위로 건립되던 풍수물인데,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이것 대신 주로 솟대(또는 짐대)가 장승 등과 함께 읍성 대신 마을 단위로 건립되었다. 즉 이것 역시 군·현 단위의 제의가 마을신앙화 또는 민간신앙화 한 조선 후기적 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319)≪增補文獻備考≫권 54, 禮考 1, 社稷.
320)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권 43, 華東淫祀辨證說.
321)李肯翊,≪燃藜室記述≫별집 권 4, 祀典典故 諸壇.
322)丁若鏞,≪牧民心書≫권 7, 禮典 祭祀.
323)李肯翊,≪燃藜室記述≫별집 권 4, 祀典典故 諸壇.

≪增補文獻備考≫권 63, 禮考 10, 諸壇 3 先牧馬社馬步.
324)洪錫謨,≪東國歲時記≫, 5월 端午.

江陵文化院,≪臨瀛誌≫(≪臨瀛文化≫15, 1991).
325)洪錫謨,≪東國歲時記≫, 3월 3일.
326)洪錫謨,≪東國歲時記≫, 12월 月內.
327)鄭勝謨,<조선시대 석장(石檣)의 건립과 그 사회적 배경>(≪泰東古典硏究≫10, 泰東古典硏究所, 1993).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