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2. 실학의 발전2) 실학사상의 전개(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역사관의 발전

 조선 후기의 성리학과 실학 사이에 있어서 화이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그 역사관의 차이이기도 했다. 실학자들은 문화를 기준으로 한 화이관으로 전환해 가고 있었다. 그리하여 홍대용은 域外春秋論을 제시했고, 정약용은 중화와 이적의 구별이 道와 政에 있는 것이지 강역에 있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463)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역사를 성리학과 구별되는 독자적 학문체제로 인식했다. 실학자들은 당시의 經傳的 사서였던≪資治通鑑綱目≫에 대하여 일정한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주자의 학문적 권위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못했지만 송학 위주의 윤리도덕적 역사인식으로부터 점차 벗어나고 있었다. 이는 史學을 經學 내지는 應用經學的 존재로 인식하던 단계를 벗어나 독자적 학문으로 인식해 가고 있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발전은 물론 조선 초·중기에 비해서는 진전된 것이지만 완벽한 역사의 독자성 인식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464)

 실학자들은 역사학의 독자성에 대한 인식에 점차 접근해 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사와 구별되는 自國史의 독자성에 대한 인식도 강화시켜 나갔다. 그들은 전통적 화이관의 극복을 통해 중국 중심의 역사인식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자국사에 대한 독자적 인식을 주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국사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과거시험에 국사과목을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실학자들은 또한 正統論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기반으로 조선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이익의<三韓正統論>은 檀君-箕子-馬韓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주장했으며, 안정복은 이를 계승하여 檀君-箕子-馬韓-三國-新羅로 연결되는 정통론을 주장했다. 조선사에 대한 정통론의 적용은 소속 왕조에 대한 의리를 내세웠던 주자학적 정통론과는 달리, 우리의 역사가 중국사와 대등하게 그 시종이 전개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정통론이 적용되는 한 역사서술이 명분적 사관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었다.

 실학자들은 역사의 원동력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역사의 원동력으로 성리학적 윤리성를 거부하고 地理를 주목하거나 시세를 논하기도 했다. 즉 고금의 성패는 시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 통치자의 재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時勢論이 등장하여 역사에 대한 도덕적·영웅주의적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하고 있었다. 나아가 정약용은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역사의 진보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465) 물론 이러한 논리가 역사의 원동력을 이해하고 인과관계를 구명하며, 역사의 발전을 논하는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역사연구방 법론에 있어서도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앞 시기에 비해 진전된 측면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들은 사실의 객관적 인식에 필요한 문헌사료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사료의 광범위한 수집과 활용을 주장했다. 이는 당시의 백과전서적 경향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사료에 대한 깊은 관심은 역사연구에 있어서 중요시되는 귀납적 실증주의와도 관련되는 것이었다.

 실학자들은 특히 중국의 사적에 수록되어 있는 국사자료의 제약성을 인식하고 국내사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오류가 많은 중국측 사료보다 사실을 분명히 전하는 국내사료가 더 귀중함을 말하였고, 국내 관찬사서와 야사 및 문집까지 참작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주체적 국사인식을 위한 방법론상의 발전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엄격한 사료고증은 전통사관의 도덕주의적 한계를 벗어난 역사의 객관적 인식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실제의 역사서술에 있어서는 ‘述而不作’의 정신에 입각하여 史實의 객관적 인식을 존중하고 사실에 정치적·윤리적 해석이 가해짐으로써 왜곡되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리하여 한 사실에 반대되는 자료들을 동시에 제시하여 객관적 판단을 독자에게 맡기는 방법을 취하기도 했다. 그들은 또한 자료의 윤색을 거부하고 저술에 본명의 철저한 直書를 주장하여 사실의 객관적 인식과 서술을 존중했다. 그러나 객관성을 추구하였다고 해서 성리학적 문화풍토에서 완전히 벗어났던 것은 아니었다.

 실학자들은 역사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史體의 선택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범례를 명확히 세워 국사의 체계적 서술을 이룩하고자 했다. 전통적 사체에 대한 인식의 심화 속에서 안정복은 編年綱目體로, 李肯翊은 紀事本末體로, 韓致奫은 紀傳體의 형식을 빌어 우리 역사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물론 이러한 사체는 전통적인 것으로 역사의 내적 원동력과 발전·변화의 논리에 입각해 역사를 체계화하는데 미치지는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역사연구의 대상이 되는 사건이나 인물의 폭을 확대하였다. 즉 그들은 역사의 인식대상을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확대했으며, 고대사에서부터 당대사에 이르기까지 그 인식의 시대적 범위를 확대시켜 나갔다. 그들의 역사서술에서는 한반도 중심의 서술에서 벗어나 요동과 만주 일대까지 민족사의 무대로 파악하여 고구려의 역사전통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그리고 양반사림 중심의 역사인식 태도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건과 그 주체적 인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요컨대 조선 후기 실학의 단계에 이르러서는 대외관과 역사인식에 있어서 성리학적 견해와는 다른 해석들이 제시되었다. 조선의 사상계에서는 이 때에 이르러 중국중심주의적인 전통적 화이관을 극복했었고, 조선중심사상적 사고방식이 나타났다. 성리학계에서는 淸=夷狄論의 입장에서 중화문화의 유일한 계승자이며 보존자인 조선의 존재와 그 문화적 사명을 확인했다. 반면에 실학자들은 중화의 기준을 문화로 설정하게 됨에 따라 세계에 대한 객관적 이해에 접근해 갔다. 그들은 청에서 전개되고 있던 중화문화의 수용책을 제안했으며, 일본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시도했다. 그리고 서양문물의 선별적 수용론을 펴기도 했다.

 이러한 대외관의 전환과 깊은 관련을 가지며, 역사의식에 있어서도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들은 경학과 사학의 구분을 시도하여 사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확인해 갔다. 또한 시세론 등을 통해서 도덕주의적 역사해석을 수정하고자 했다. 그들은 조선중심적 사고방법과 관련하여 조선문화와 역사의 독자성을 서술하기도 했다. 사료의 광범위한 수집과 정리를 주장하며 역사서술의 대상을 확대시켜 나갔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대외관과 역사인식은 성리학의 그것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것으로 실학과 성리학의 경계를 선명히 드러내 주는 것이다.

463)丁若鏞,≪與猶堂全書≫1-12, 詩文集 拓拔魏論.
464)趙 珖, 앞의 글(1985), 147쪽.
465)鄭昌烈,<實學의 歷史觀>(≪碧史李佑成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下≫, 창작과비평사, 1990), 24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