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는 이미 聲調言語가 아니다. 성조언어였던 15세기의 국어가 16세기에 와서 이미 소실되었으므로, 17세기 이후의 근대국어는 성조가 없는 언어로 변화를 겪게 되었다. 그러나 성조는 없어졌어도 그 上聲이 지니고 있던 音長만은 그대로 남아 오늘날까지도 긴소리로 남게 되었으나, 표기상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