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4. 과학과 기술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천문·기상기구의 제작

 이 시기에 천문기구의 제작이 역시 크게 활발하게 되는데, 이 원인은 서양천문학의 자극을 받아 그렇게 된 점이 인정된다. 하지만 그것만이 원인이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천문기구의 정비는 당대의 정치적 열정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세종대에 천문학이 발달하고, 천문·기상기구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또 발명된 것처럼, 조선 후기에서도 특히 한 시기에 그런 비슷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려 했다는 사실은 서로 대비시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바로 선조는 영의정 李恒福에게 천문기구들을 다시 만들도록 명했다. 왜란 동안 모두 불타버렸기 때문이다. 이항복은 세종 때의 것을 만들려 했지만, 일부밖에 성공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簡儀를 다시 만들고 그 서문을 쓰면서, 이항복은 이런 천문기구들의 제작이 앞서간 훌륭한 임금의 하늘을 좇아 때를 맞추려는 뜻(法天順時之意)을 우리 임금이 계승하여 부지런히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592) 바로 이런 뜻에서 임진왜란 이후 세종대의 천문학을 재현시키려고 열정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전란으로 모두 파괴되어 버린 천문기구들을 하루 속히 다시 만들어 두는 것이 바로 하늘의 뜻을 받들어 정치를 하는 임금의 정치적 위치를 공고히 해주는 데 기여한다고 생각되었던 것이다. 이 시기 천문기구들의 제작이나 도입 등에 관한 기록 가운데 대표적인 일들을≪增補文獻備考≫와≪書雲觀志≫의 기록에서 찾아 나열해 보면 대강 다음과 같다.

인조 14년(1636) 명나라 李天徑이 만든 서양식 해시계 新法地平日晷 도입. 효종 8년(1657) 김제군수 崔攸之가 水激式 渾天儀로 璇璣玉衡 제작. 현종 5년(1664) 최유지의 것을 개조. 현종 10년(1669) 李敏哲(1631∼1715)과 宋以穎이 각각 선기옥형 만듬(송이영의 것은 지금 고려대 박물관에 있음. 국보 230호 지정). 숙종 13년(1687) 송이영의 사후 李縝精이 중수. 숙종 13년(1687) 이민철의 것도 수리하여 창덕궁 희정당 남쪽에 齊政閣을 세워 설치함. 숙종 13년(1687) 태조 때의 석각천문도<천상열차분야지도>복각. 숙종 14년(1688) 창경궁 금호문 밖에 관천대 축조. 숙종 30년(1704) 安重泰·李時華가 혼천의 복제품 만듬. 영조 8년(1732) 안중태의 혼천의를 개조하여 경희궁에 揆政閣을 세워 안치(현종 10년 이민철이 만든 것을 고친 것으로 영조가 쓴 현판은 지금도 경복궁에 보관중). 영조 46년(1770) 측우기 다시 만듬-風旗竹도 이 때 세웠다는 기록 보임(아마 지금 남아 있는 돌로 만든 水標 또한 이 때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 2세기 동안 소홀했던 강우량보고가 다시 시작되었다. 정조 원년(1777) 서호수·이덕성 등 중수. 정조 9년(1785) 간평일구·혼개일구 제작. 철종년간(1850년대) 南相吉 量度儀 만듬.

 위의 기록 가운데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영조 46년에 오랜 동안 잊혀졌던 측우기를 다시 만들어 전국에 보급한 일이다. 당시 만들었던 측우기 가운데 그 받침대 하나가 지금 남아 있고, 바로 그 받침대에는 ‘乾隆庚寅五月造’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그리고 측우기가 전세계에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장치라고 널리 소개되기 시작한 1900년대 초부터 바로 이 사진은 한국의 대표적 측우기로 널리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데 바로 그 측우대에 새겨진 글자가 중국학자들에게는 측우기를 중국것이라고 생각하게 한 원인이 되어버렸다. 그 결과 오늘날 중국에서 출판되는 많은 과학사 책에는 모두 측우기가 중국에서 만든 것이며, 그 가운데 일부 조선에 보내주었던 것이 지금 한국에만 남아 있는 것이라고 쓰여져 있다.593)

 천문기구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망원경이다. 서양과학사에서는 갈릴레이가 1609(광해군 원년) 망원경으로 하늘을 처음 관찰하여 새로운 온갖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우주관의 변혁에 크게 기여한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면 달의 겉모양도 맨눈으로 보던 것과는 판이하게 달라서 놀라기 마련이다. 그뿐 아니라 태양의 흑점을 잘 관찰할 수도 있고, 은하수가 수많은 별들이라는 사실도 간단히 알아보게 마련이다. 갈릴레이의 경우는 망원경으로 간단히 목성에는 달이 4개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조선에 망원경이 들어온 것은 인조 9년(1631)으로 정두원이 처음 그것을 가져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보고서에는 이미 망원경의 성능이 잘 밝혀져 있다. 망원경이란 천문을 관측할 수 있고, 백리 밖의 적진을 쳐다보면 그 가운데 작은 것이라도 능히 알아볼 수 있는데 값은 3∼4백냥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들어오기 시작한 망원경이 그 후 천문관측에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또 국내에서 망원경을 만들었다거나 또는 제작하려는 노력을 했다는 기록도 아직 발견되어 있지 않다. 1세기 뒤의 실학자 이익은 망원경을 보지 못함을 한탄하는 글을 남기고 있고, 영조 42년(1766) 북경을 방문한 홍대용은 망원경을 하나 사려고 흥정까지 하다가 결국 그만두고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천문학이란 새로운 사실을 탐구하고 알아내는 일보다는 이미 확정된 천문사상에 충실하게 따르는 일이 더 중요한 것이었음을 확인하게 한다. 어느 측면에서는 상당히 발달한 천문학이었지만, 아직은 망원경으로 하늘을 볼 필요성은 거의 느끼지 않는 것이 조선시대의 천문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592)成周悳,≪書雲觀志≫권 3, 故事.
593)박성래,<동아시아 과학사에서의 자랑과 편견>(≪과학사상≫19, 1996), 69∼9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