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2. 한국어 연구4) 문법의 연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유길준의≪대한문전≫

 우리 나라 사람으로 최초로 문법에 관심을 가져 문법책을 저술한 사람은 兪吉濬이었다. 그 자신의 말(1909년에 간행된≪大韓文典≫의 緖言)에 의하면 그가 처음 국어문법의 초고를 쓴 것은 1881년 일본에 유학갔을 무렵이었다고 한다. 그는 그 뒤 여덟 번이나 원고를 고쳐 썼다고 한다. 이 초고 중에서≪朝鮮文典≫이란 이름이 붙은 두 책이 지금 전하고 있다.

 이 필사본 중의 하나에는 “光武 八年 六月”(1904)이란 기록이 보인다. 그리고 역시≪朝鮮文典≫이란 이름의 油印本이 있는데 그 끝에 1906년 5월에 이 책을 구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이보다 앞서 되었음이 확실하다. 이것이 1907년에≪少年韓半島≫란 잡지에 연재되었다.362) 이 유길준의 문법이 단행본으로 간행된 것은 융희 3년(1909)이었다. 이것은≪大韓文典≫이란 이름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융희 2년(1908)에 崔光玉의 저서로≪대한문전≫이 간행된 것이 있다. 이것은 유길준의≪대한문전≫보다도 오히려 1년이 앞서는 것으로, 종래 우리 나라 사람이 쓴 최초의 문법책이라고 일컬어져 온 것이다. 최광옥은 당시에 널리 알려진 애국지사요 기독교 신자로 황해도에 학교를 세워 민중교육에 힘썼으며, 大成學校 교장을 지낸 일도 있는데 그의 이 책의 내용은 위에 말한 유길준의≪조선문전≫과 전체적으로 비슷한 것이다. 그리고 유길준도 그의≪대한문전≫서언에서 자기의 제4차 원고본이 세상에 흘러나가 간행되었다는 뜻의 말을 하여, 최광옥의≪대한문전≫이 자기의 원고본에 의한 것임을 비친 바 있다.

 위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유길준이 1881년 일본에 유학했을 때 그의 국어문법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은 그의 문법의 기본 성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는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일본어 문법을 그의 국어 문법의 모델로 삼게 되었던 것이다. 그는 그 뒤 미국에도 유학했으나 그의 문법에서 영어문법의 직접적 영향은 찾아보기 어렵다. 아마도 국어의 구조가 일본어와 비슷하고 영어와는 다른 점이 많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유길준은 1896년부터 1907년에 이르기까지 12년 동안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했는데 이 동안에 그의 문법책이 완성된 것으로 추측되므로, 사실상 그의≪대한문전≫은 전후 두 차례에 걸친 일본 체류시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유길준의 국어문법 연구가 일본어 문법의 영향을 받은 것은 우선 책 이름으로 ‘文典’이란 말을 쓴 것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후반에 일본에서 나온 일본어 문법책들은 다 그 이름에 ‘문전’이란 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유길준이 처음 유학시에 참고한 것은 나카네(中根淑)의≪日本文典≫(1876)이었고 나중 망명시에 그의 원고를 고칠 때 주로 참고한 것은 그 무렵에 간행되어 널리 읽힌 오쓰키(大槻文彦)의≪廣日本文典≫(1897)이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밖에도 그의≪대한문전≫에는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몇몇 문법책의 영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당시의 일본어 문법 연구에 대해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일본유학에서 문법에 대한 관심이 싹텄던 유길준이 19세기 말엽 미국에 유학하면서 언어학과 영어 문법의 연구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그의≪서유견문≫에 보면 제13편 ‘學業하는 條目’에 ‘言語學’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그는 이것을 주로 실용적인 외국어의 학습 내지 연구로 이해한 것 같다. 다만 “各國의 言語를 比較하여 그 根本의 異同을 考究함이라”고 한 끝 구절은 그가 비교언어학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대한문전≫은 우리 나라 문법연구의 초창기로서, 모방의 단계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상 유길준의 모델이 된 일본어 문법들 자체도 모방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들이었다. 초창기에 있어서는 모방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유길준이 여덟 번이나 원고를 고쳐 썼다는 것은 그의 노력이 얼마나 컸던가를 말해주는 것이다.

 유길준은 우리 나라 최초의 문법가라는 명예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의≪대한문전≫은 그 뒤의 문법가들에게 이렇다할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그의 문법은 주시경의 그것에 압도당하고 만 것이다.

362)여기에는 저자의 이름이 없다. 저자 兪吉濬이 일본에 망명중이어서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