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2. 한국어 연구4) 문법의 연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문법의 연구

(1) 서양인의 연구

 우리 나라에 독특하고도 完美한 알파벳 文字(한글)가 있음이 서구학계에 처음 알려진 것은 18세기 말의 일이었다. 이것은 하나의 경이였다. 그리하여 이 문자의 체계와 계통을 밝히려는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19세기의 20년대와 30년대에 아벨레뮈사(Jean Pierre Abel-Rémusat), 클라플로트(Heinrich Julius Klaproth)와 같은 유명한 학자들에 의하여 시작되어 서구 문자학계의 주목을 끌게 되었다. 이처럼 한글에 국한되었던 서구인들의 관심이 우리 국어에 미친 것은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의 일이었다. 이 연구는 주로 선교사들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서양 선교사들은 새로운 언어에 접했을 때 그 문법서와 사전을 편찬하고 그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일을 무엇보다도 먼저 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었다. 이것은 전도를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문법(grammar)이란, 서양에서 발달한 학문이다. 그리하여 국어 문법이 처음 서양인들에 의해서 씌어졌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처음으로 국어의 문법에 관한 저술을 한 사람은 영국 선교사 로스(John Ross)였다. 당시 우리 나라는 선교사의 입국을 금했으므로 그는 만주에 있으면서 국어를 공부하여 1877년에≪朝鮮語初步≫(Corean Primer)를 중국 上海에서 발행하였다. 이것은 국어 회화책인데 그 첫머리에 국어의 음운과 문법에 관한 설명이 보인다. 그 뒤 그는 이 책을 수정하여≪朝鮮語法≫(Korean Speech, with Grammar and Vocabulary, 1882)를 내었다. 국어의 음운과 문법에 관한 설명이 훨씬 자세해졌음이 주목된다. 로스와 함께 만주에 있었던 선교사 매긴타이어(John MacIntyre)도≪朝鮮語論≫(Notes on the Corean Language, 1879)를 내었다. 이들의 책은 주로 평안도 방언을 기록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아마도 만주에서 주로 평안도 사람들로부터 국어를 배운 듯하다. 이 책들은 그 내용이 잘되고 못되고는 고사하고, 지금으로부터 120년 전의 평안도 방언을 전해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은 성경을 국어로 번역하였는데 이 역시 평안도 방언으로 되어 있어 좋은 자료가 된다.

 1881년 파리 外邦宣敎會 소속으로 우리 나라에 파견된 불란서 선교사들이 편찬한≪朝鮮語文典≫(Grammaire Coréenne par les Missionaires de Corée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Etrangères de Paris)이 일본 요코하마(橫濱)에서 출판되었는데, 이것은 본격적인 문법연구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책으로 그 뒤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책은 서양 문법의 틀에 국어를 맞춘 것이어서 국어의 특징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가령 이 책은 국어에 아홉 품사를 설정했는데 그 중에는 관사, 전치사까지 들어 있다. 이것은 서양의 문법 체계를 국어에 그대로 적용한 데서 온 것이다. 그리고 부록으로 계절, 十干, 十二支, 方位, 親族關係의 명칭 등을 들고 맨 끝에 각종 회화의 실례를 들고 자세한 설명을 한 것과 짧은 이야기 10여 편의 원문과 번역을 싣고 있다. 이것은 이 책이 순수한 학문적 필요보다는 실용적 목적을 위해서 씌어졌음을 말해주고 있다.

 영국 외교관으로 1884년에서 1892년까지 仁川 부영사를 지낸 스코트(James Scott)는 1887년에≪언문말책≫(En-moun mal Ch’aik·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ctory Grammar)을 저술하였다. 제1편은 언문의 발음, 품사의 설명이요, 제2편은 회화 연습으로 되어 있다. 스코트는≪英韓辭典≫(English-Corean Dictionary, 1891)의 편자로도 알려져 있다.

 미국 선교사 언더우드(H. G. Underwood, 元杜尤)의≪韓英文法≫(An Introduction to the Corean Spoken Language)이 1889년에 일본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 이 책은 제1편 문법, 제2편 영어와 국어의 對譯으로 되어 있다. 이 역시 실용을 위주로 한 책임은 위에서 말한 책들과 다름이 없다. 내용에 있어서 품사 분류에 관사, 전치사가 없어지고 그 대신 후치사(postposition)가 등장한 것은 위에서 말한 불란서 선교사들의 문법보다 한걸음 발전한 것이라고 하겠다. 후치사란 체언에 붙는 토를 가리킨 것이다.

 캐나다인 선교사로 국어로 성경을 번역했을 뿐 아니라 우리 나라 문화에 대해서도 몇 권의 저서를 남긴 게일(J. S. Gale, 奇一)이 1893년에 낸≪辭課指南≫(Korean Grammatical Forms)은 국어 용언의 활용어미를 실례로 들어 설명한 책이다. 이것은 서양인이 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운 것이 용언 어미라는 점에 착안하여 집필한 것으로, 국어의 용언 어미 264종의 경우를 들어서 설명한 것은 그 자료만으로도 훌륭한 업적이 되는 것이다.

 이상 19세기에 있어서의 서양인들의 한국어 연구, 특히 문법에 관한 저서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뒤에 말할 바와 같이 우리 나라 학자들의 문법 연구는 1880년대에 시작되었으나 문법책이 간행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서의 일이었다. 여기서 우리 나라 학자들의 연구가 이들 서양인들의 손에 간행된 문법책들의 영향을 얼마만큼 받았는가 하는 것이 문제된다. 앞으로 더욱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이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또 한 가지 붙여 말하고 싶은 것은, 서양 선교사들의 국어문법에 관한 저술이 19세기에 매우 많았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아주 적었다는 점이다. 위에 말한 책들의 개정판을 제외하면 1923년에 간행된 에카르트(P. A. Eckardt)의≪朝鮮語 交際文典≫(Koreanische Konversations Grammatik mit Lesestücken und Gesprächen)과 1939년에 간행된 핀랜드의 알타이어학자 람스테트(G. J. Ramstedt)의≪한국어 문법≫(A Korean Grammar)을 들 수 있을 뿐이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