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Ⅲ. 근대 과학기술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2)≪한성순보≫의 창간
          • 3)≪한성주보≫의 발간
          • 4) 박문국의 운영
        • 2. 근대 언론의 발달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4) 일간지 ≪일신문≫
          • 5) 새로운 신문들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2) 국외신문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3) 일제의 언론규제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2. 불교
        • 3. 천주교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2) 교회의 발전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5. 천도교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2) 근대 의료기술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2) 20세기 건축
          • 4) 근대 산업기술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4) 박물학

식물·동물·광물을 아울러 당시에는 博物學이라 하였다. 최초의 박물학 교재로는 1907년 6월 초판의 국민교육회의≪新撰小博物學≫을 들 수 있다. 3편 26장 21절로 구성되었는데, 제1편 식물학이 5장 14절, 제2편 동물학이 11장 5절, 제3편 광물학은 10장 2절로 되어 있다. 삽도가 많이 들어 있고, 1907년 11월에 이미 재판, 그리고 1909년에는 다시 3판을 냈다. 재판에는 이 책의 지은이가 兪星濬(1860∼1934)이라 밝혀져 있다. 유명한 개화기 사상가 유길준의 동생인 유성준은 이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근대 학문을 소개하는 책을 썼다.

이 밖에도 1910년에는 李觀熙가 지은≪最新博物學敎科書≫가 나왔는데, 역시 식물·동물·광물의 순서를 따르고 있다. 그런데 이들 이외에 理科라는 말이 박물학보다 좀더 넓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玄采가 지은≪最新新高等小學理科書≫는 식물과 동물(1권), 地文과 광물(2권), 물리와 화학(3권), 생리와 위생(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는 여러 가지 식물학·동물학·광물학교과서가 발행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1906년 윤태영이 지은≪식물학교과서≫가 식물학에 관한 첫 교재인 것으로 보이고, 1908년에는 동물학교재도 적어도 세 가지가 나왔다. 책에 광물학이란 제목을 단 경우로는 1907년에 나온 閔大植이 번역 편찬한≪礦物界敎科書≫(휘문관 발행)가 있는데, 국한문 혼용으로 36개의 삽화가 들어 있다. 1908년 玄公廉이 쓴≪중등광물학≫이 그 다음 정도로 보인다.417)

그러나 이렇게 박물학을 교과목 이름으로 사용하여 교과서를 짓고 있던 것과 달리 그에 앞서서 이미 ‘생물학’이란 용어가 조선사회에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897년에≪독립신문≫은 ‘생물학’을 제목으로 연재기사를 길게 쓰고 있다.<론설>이란 제목 아래 생물학에 관한 연재는 이렇게 시작한다.

학문이라 하는 것은 다름아니라 갖가지 문건과 생물의 자연스런 이치를 자세하게 아는 것이 학문인 바, 우리는 틈있는 대로 학문상의 도움될 만한 이야기를 실으려 하거니와, 오늘은 생물학을 먼저 시작하여 조금씩 이야기하겠노라(≪독립신문≫, 건양 2년 6월 17일(71호)).

이 기사는 1897년 6월 17일 71호부터 시작하여 7월 24일 87호까지 자그마치 17호에 걸쳐 연재되었다.≪독립신문≫이 어느 기사보다도 길게 다룬 중요한 기록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어쩌면 이 신문을 주관하던 의사로서의 서재필이 직접 자신의 전문분야에 가장 가까운 생물학을 소개했던 것이기 때문이라고도 생각된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 긴 기사에서는 한결같이 한글 전용과 우리말 용어의 사용을 위해 크게 힘쓰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우리말로 아직 알 수 없는 동물에 대해서는 그 이름을 영어 발음기준으로 표기하고 있는 수가 아주 많아서, 히포파다무슈·라인아셰로스·갱가루·오포슴·돌핀·크락코다일·캐밀욘·파이손·코부라 등등이 영어 발음대로 표기되어 있다. 또 세상 만물을 금수·초목·금석으로 나눈다고 시작한 다음에는 ‘즘승’에 대해 쓰고 있는데, 먼저 등뼈 있는 즘승을 소개한다. 여기 속하는 것들로는 젖 먹는 즘승(4다리)·새·배암 같이 가는 즘승·슈토(水土)에서 다 사는 즘승(양서동물), 물 속에 사는 생선 등의 5가지를 말하고, 이를 다시 더운피와 찬피동물로 나눈다.

그리고 84호부터 86호까지는 15만 가지나 있다는 버러지에 대한 소개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어서 86호에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즘승에 대한 기사가 계속되는데, 이에 의하면 세상에는 이런 즘승이 여러 백만 종류나 있고, 이들이 사람의 병을 일으키고 전염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만하면 당시로서는 가장 잘 준비된 생물학교과서라고도 할 수 있을 듯하다.

≪독립신문≫에는 그보다 1년 전에 ‘박테리아’란 말을 처음 사용한 기사가 있는데, 이것도 생물학 소개의 일부라 할 수 있을 듯하다.418) 10년도 더 뒤인 1908년에 나온 국어교과서는 ‘박테리아’를 제목으로 달고 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이 글은 “박테리아는 가장 細微한 동물이니 顯微鏡이라 하는 眼鏡이 없으면 능히 보지 못하는도다.”로 시작한다.419)

실제로 생물학이 이 땅에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의 학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외국학자들에 의해서였다고 할 수 있다. 동물학·식물학·지질학 등이 모두 서양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그 후 일본인 학자들이 그 뒤를 이어 연구자로 활약했던 것이다. 1910년 이전에는 조선학자란 전혀 있을 수 없었던 때문이다. 물론 물리학이나 화학의 경우에는 외국학자가 이 땅에서 연구할 이유가 없었으나, 박물학분야는 이 땅에 사는 동물과 식물, 그리고 한반도의 땅 자체가 외국에서는 연구할 수 없는 현장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면 한국의 해방 이전의 생물학사는 제1기(1854∼1882), 제2기(1883∼1899), 제3기(1900∼1910), 제4기(1911∼일제시기)로 나눌 수도 있다.420) 1854년 4월에 독일인 슐리펜바크(Baron Schlippenbach)는 군함(Palace)을 타고 동해안에 와서 50여 종 한국식물을 채집하여 유럽학계에 보냈고, 이것이 화란학자(F. H. Miquel)의 연구자료가 되어 1865년 이후 몇 차례 논문으로 발표되기에 이른다. 그 후 여러 서양학자들의 동식물 채집보고가 계속되었고, 1869년에는 윌리엄슨(R. A. Williamson)이 중국의 북쪽, 만주, 몽고, 조선을 여행하여 얻은 식물정보를 보고한 일도 있다. 1883년부터는 보다 장기간 직접 체류하면서 연구하는 생물학자가 등장했고, 이들의 활동상은 일부 쿠랑의≪한국서지≫에도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대체로 1900년부터는 서양학자들 대신 이웃 일본학자들이 비슷한 역할을 맡아 활동하기 시작했다.

지질학연구 역시 조선학자가 전혀 없는 가운데 서양학자들이 먼저 조선지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421) 1862년부터 3년 사이에 미국의 지질학자 펌펠리(Raphael Pumpelly)가 처음으로 중국 북부에서 몽고, 만주, 한국의 지질조사를 시도했다. 그리고 1886년 독일 지질학자 고체(C. Gottsche)은 한국지질 전반을 조사한 일이 있다. 암석채취 발표는 그 직전의 1884년에 골랜드(W. Gowland)에 의한 조사가 1891년 발표된 일이 있다. 지질학 역시 이렇게 한반도를 대상으로 서양학자가 먼저 시작하고, 그 뒤를 일본학자가 이어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런 조사는 아직 본격적인 조사·연구라기보다는 대체적인 표본의 수집·정리 단계가 시작되었던 것을 의미한다.

417)김봉희, 앞의 책. 271∼276쪽.
418)≪독립신문≫ 건양 1년 5월 19일.
419)<國語讀本> 권 8-9과(≪韓國開化期敎科書叢書≫6), 466쪽.
420)金昌煥,<韓國生物學史>(≪韓國現代文化史大系≫Ⅲ 科學技術史,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77), 145∼182쪽.
421)孫致武,<韓國地質學史>(≪韓國現代文化史大系≫Ⅲ 科學技術史,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77), 235∼25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