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Ⅲ. 근대 과학기술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1) 교통·통신·전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2)≪한성순보≫의 창간
          • 3)≪한성주보≫의 발간
          • 4) 박문국의 운영
        • 2. 근대 언론의 발달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4) 일간지 ≪일신문≫
          • 5) 새로운 신문들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2) 국외신문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3) 일제의 언론규제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2. 불교
        • 3. 천주교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2) 교회의 발전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5. 천도교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2) 근대 의료기술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2) 20세기 건축
          • 4) 근대 산업기술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근대적 교통·통신·전신 및 전기의 도입 배경

1876년 개항 이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서구사회의 근대시설과 문물에 대한 정보가 우리 나라에 들어왔다. 물론 개항 이전에도 이미 전반적인 서구사회에 대한 소개는 개괄적으로나마 되어 있었다. 이 소개들은 주로 청나라에 파견된 사신들이 수입한 서적들을 통해 이루어졌는데,≪博物新編≫·≪海國圖志≫·≪瀛環志略≫·≪地理問答≫·≪中西見聞錄≫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서적들에는 서양의 실정뿐만 아니라 과학과 기술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책들은 당시 최신 정보의 집중지였던 한성과 그 주변에 살고 있던 近畿학자들을 중심으로 꽤 널리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430)

그러나 개항으로 서구사회에 대한 정보들은 질적, 양적으로 급변하게 되었다. 일본·미국 등에 파견된 외교사절단은 서양문물에 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왔다. 1880년을 전후하여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나 신사유람단은 ‘기선’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전신국’을 방문하기도 하고 ‘전등’이 켜지는 것을 보기도 했다. 특히 제2차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된 김홍집은 鄭觀應의≪易言≫이라는 책도 가져왔는데 이 책에는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각종 정보가 실려 있었다. 조선정부는 이 책의 복간본과 번역본을 만들어 전국으로 배포하였고 그 결과 많은 유학자들이 근대문물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431) 한편 1882년<조미수호통상조규>를 맺은 정부는 민영익을 단장으로 하는 사절단을 1883년, 미국으로 파견하였다. 이 견미사절단은 전신 및 전기 시설을 시찰한 것은 물론이고 기차로 미국대륙을 횡단하였다.432) 이들의 경험은 조선의 최고 권력자였던 고종에게 보고되었으며 각종 기록으로 남겨졌다.

개항 이후 서적 수입은 더욱더 활발해졌으며 이들 서적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漢城旬報≫를 통해 전국으로 유포되었다.≪漢城旬報≫는 1883년 한성부 박문국에서 발간한 관보로 3,000부가 발행되어 조선 각지에 보내졌는데 이 신문에는 전기통신이나 철도 등 서구의 근대기술이 가지는 유익한 점들과 서구과학에 관한 내용도 다루어 지방 곳곳의 식자층은 이 신문을 통해 서구의 근대사회와 문물에 대해 적지 않은 정보를 가질 수 있었다.433)

조선정부는 이런 정보를 토대로 개항 초부터 근대적 사회간접자본의 도입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 근대적 통신을 도입하기 위해 이미 1880년대 초반부터 일련의 작업을 진행한 것이 그 예이다. 1881년 말, 청나라 天津에 파견한 영선사행 가운데 尙澐과 安浚으로 하여금 南局 電氣廠에서 전기통신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게 하는 한편, 1882년 5월에는 상운이 귀국할 때 電箱(축전지)과 축전지용 화학약품을 비롯해 전선과 電鐘, 전화기 및 피복동선 등 전기통신에 필요한 기기들을 남국 전기창에서 가져오도록 했던 것이다.434) 그뿐만 아니라 같은 해 11월 영선사 김윤식은 귀국할 때 電箱과 銅線을 추가로 구입하여 가지고 오기도 했다. 이 같은 조선정부의 근대적 통신 도입을 위한 인력양성과 물품도입은 “軍機를 전하는 것을 전보에 의지하니 이것이 있는 나라는 승리함이 많고…전보가 있는 자는 항상 이익을 남기니 부강의 공이 여기에 있다”고 한≪易言≫의 언급을 비롯한 당시 도입된 각종 정보들이 하나의 배경이 되어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435)

한편 철도부설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들이 입수되었다.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김기수는 견문록≪日東紀遊≫에 이미 기차에 대해 서술했으며 제2차 수신사였던 김홍집도 역시 철도 운영의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그러나 견미사절단의 미대륙철도 횡단 경험은 그보다 훨씬 생생한 정보였으며 이 경험은 고종에게 보고되었다. 이런 정보들로 조선의 집권층은 화차, 즉 기차의 효율성을 충분히 인식하게 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수집된 철도에 관한 정보 가운데 특기할 만한 것은 駐美朝鮮代理公使인 李夏榮이 1889년 귀국하면서 구입해 온 철도 모형이었다. 이 기차 모형은 폭이 67촌, 높이가 89촌 정도 되는 금속제의 매우 정교한 모형으로 기관차·객차·화물차로 구성되어 있었고 작동을 시키면 궤도 위를 달렸다. 고종을 비롯한 대부분의 정부관료들은 말로만 듣던 기차를 모형으로나마 직접 접할 수 있었다.436)

개항 초인 1882년 조선정부 내에서 철도부설 논의가 전개된 바 있었다. 일본과 영국이 철도부설 특허권을 적극적으로 요구해 왔던 것이다.437) 당시 조선정부는 이 요구에 부정적이지만은 않았으나 철도부설사업을 전개할 자금이 없었고 임오군란으로 정치상황과 사회가 매우 불안했으며 청나라의 내정간섭이 매우 심해지고 있었으므로 철도부설과 같은 대규모 사업을 전개할 수 없었다.

개항 이후에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 사회간접시설에 대한 정보들은 급속히 부국강병을 이루어 서구열강들의 침략 위협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중요하게 거론되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사회간접자본은 이런 정보들이 충분히 실정에 맞게 소화되어 일관된 정부의 정책으로 표면화되기 전에 일본을 비롯한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 나라와 서구열강들에 의해 장악되기 시작했다.

430)愼鏞夏,<吳慶錫의 開化思想과 開化活動>(≪韓國近代社會思想史硏究≫, 일지사, 1987), 97∼106쪽.
431)두 권으로 편집된≪易言≫의 제1편에는 ‘화차’·‘전보’·‘船政’·‘郵政’ 등에 관한 글들이 담겨 있다. 이 책의 영향에 대해서는 李光麟,<≪易言≫과 韓國의 開化思想>(≪韓國開化史硏究≫, 一潮閣, 1969)을 참조.
432)견미사절단의 신식문물 시찰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金源模,<韓國報聘使의 美國使行(1883) 硏究(하)>(≪東方學志≫50, 1986)를 참조할 것.
433)박문국의 운영과≪한성순보≫의 발행에 대해서는 李光隣,<漢城旬報와 漢城周報에 대한 一考察>(앞의 책), 60∼102쪽을 참조할 것. 그리고≪漢城旬報≫와≪漢城周報≫에 실린 근대 기술에 대한 논의는 朴星來,<漢城旬報와 漢城周報의 근대과학 수용 노력>(≪신문연구≫36, 1983), 39∼73쪽을 참조할 것.
434)영선사행에 대해서는 權錫奉,<領選使行에 대한 一考察>(≪歷史學報≫17·18, 1962), 277∼312쪽 참조.

상운이 도입한 전신기기들에 대해서는 韓國電力公社,≪韓國電氣百年史≫, 41쪽에서 재인용. 한편 이 기기들은 임오군란 때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435)鄭觀應,≪易言≫상, 論電報.

김연희,<大韓帝國期의 전기사업>(≪한국과학사학회지≫19-2, 1997), 91쪽에서 재인용.
436)鐵道廳 公報擔當官室,≪韓國鐵道史≫1(철도청, 1977), 38쪽.
437)묄렌도르프는 “철도문제는 이미 내가 1882년에 조선에 체류한 직후에 일어났다. 철도부설권을 놓고 여러 곳으로부터 시달림은 받은 정부는 여하튼 간에 결정을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신청해 온 회사 중의 일부는 영국에 소속되어 있고, 일부는 일본에 소속된 회사들이었다…한국정부에서는 이를 위한 자금이 없었기 때문에…잠시 보류하게 되었다”고 회상하였다(로잘린 폰 묄렌도르프, 신용복·김운경 옮김,≪묄렌도르프文書≫, 평민사, 1987, 110쪽). 묄렌도르프는 청나라의 주선으로 1883년부터 1885년까지 조선정부에서 외무협판, 총해관사등으로 활약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