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Ⅲ. 근대 과학기술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2) 근대 의료기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2)≪한성순보≫의 창간
          • 3)≪한성주보≫의 발간
          • 4) 박문국의 운영
        • 2. 근대 언론의 발달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4) 일간지 ≪일신문≫
          • 5) 새로운 신문들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2) 국외신문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3) 일제의 언론규제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2. 불교
        • 3. 천주교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2) 교회의 발전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5. 천도교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2) 근대 의료기술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2) 20세기 건축
          • 4) 근대 산업기술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4) 주체적인 서양의술의 수용

서의한역서를 통해서 서양의학을 소개했던 실학자들에 관해서는 앞에서 이야기하였다. 이들 실학자들의 사상을 계승한 개화파들도 서양문물의 수용과 함께 서양의술의 도입에 관한 관심이 많았다. 특히 유대치·오경석 등 개화파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사람들이 중인계층의 의관이거나 역관이었다는 사실에서도 이들이 ‘부국강병’과 ‘민생고’를 해결하기 위해 서양의학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503) 갑신정변을 주도한 김옥균이 1884년 1월 11일자≪한성순보≫에<치도약론>이라는 글을 기고하여 “현재 구미 각국은 배우는 바 기술과목이 심히 많으며 그 중 의학을 첫째로 삼으니 인민의 생명에 관계되기 때문이다”라고 한 데서도 개화파의 서양의술에 대한 관심을 읽을 수 있다.504)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 박영선은 지석영의 스승으로 수신사 김기수 일행으로 일본에 가 종두법을 배워왔으며, 1879년 지석영도 부산의 제생의원을 찾아가 종두법을 배워 실행하였고, 1880년에는 수신사 김홍집을 수행하고 일본에 가 위생국에서 종두기술을 익히고 돌아와 종두를 보급하면서 일본 군의 마에다(前田淸則)로부터 서양의학을 배웠다. 그는 1882년 임오군변으로 피신하여 있으면서도 국왕에게 강력한 개화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885년에는 그간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인이 저술한 최초의 서양의학서라 할 수 있는≪牛痘新說≫을 지었다. 그는 개화파에 속하여 수차 유배를 당하기도 했으나, 그의 서양의학 보급에 대한 노력이 인정을 받아 1899년 관립의학교를 설립하면서 초대 교장에 임명되어 종두보급과 의료인 양성에 큰 공을 세웠다.505)

김익남은 한의로서 1893년 일본에 건너가 일본 관립의학교와 도쿄 자혜의원의학교에서 내과·외과·이비인후과를 수련하고 1890년에 돌아와 관립의학교 교관이 되었다. 그는 군의로도 종사하여 1907년에는 육군위생국의 초대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한인의사들로 의사연구회를 조직하여 일인의사들로 조직된 경성의사회와 대립하기도 하였으나, 일제의 병탄으로 의사연구회는 해산당하고 국외로 망명하여 길림성 용정에서 교민들을 대상으로 의료활동을 하였다.

이와는 달리 미국 선교사들의 주선으로 그들을 따라 미국에 가서 서양의술을 수련하고 돌아온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점동(박에스터)과 오긍선을 들 수 있다. 김점동은 이화학당을 거쳐 1890년 의료선교사로 내한한 셔우드(Rosetta Sherwood)의사의 통역 겸 조수로 일하다가 1895년 셔우드가 남편 홀(W. J. Hall)을 잃고 귀국할 때 같이 도미하여, 볼티모어여자의과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의학석사학위를 받고 돌아왔다. 그는 최초의 한국인 여의사로서 평양의 保救女館(1903년 廣惠女院으로 개칭)에서 의료활동을 하였으나 1910년 33세로 결핵으로 요절하였다.506)

吳兢善도 배재학당을 나와 미국인 선교사 스테드만(F. W. Steadman)의 어학선생으로 있다가, 1901년 그가 한국을 떠나면서 소개해 준 군산야소교병원장 알렉산더(Alexander)의 어학선생을 하다가 그의 권유로 같이 도미하여 의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그는 센트럴대학을 거쳐 루이빌의과대학에 편입하여 의학을 전공하였다. 1907년 이 학교를 졸업하고 의학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그곳 시립병원에서 인턴과정을 거치고 남장로교 파송 의료선교사로 위촉되어 귀국하였다. 그는 순종의 전의와 대한의원 근무 제의를 거부하고 군산야소병원에 부임하여 의료활동을 하였다. 1912년부터는 세브란스의전 교수로 임명되어 교장까지 지냈으며, 의료인 후진양성에 힘썼다.507)

정부에서도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위생국을 신설하고 의료·위생사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당시에는 각종 전염병이 유행하였으므로 그 때마다<전염병 예방규칙>을 공포하여 이에 대처토록 하였다. 1895년부터 1910년 사이에 발포된 주요 규칙들을 들면 다음의<표 4>와 같다.

연 도 법령 호수 규정 이름
1895 칙령 제125호 검역규칙
1895 내부령 제2호 호열자 예방규칙
1895 내부령 제4호 호열자 예방소독 진행규칙
1895 내부령 제8호 종두규칙
1895 칙령 제180호 종두의 양성규칙
1898 내부령 제12호 종두소 세칙
1899 내부령 제17호 각 지방 종두규칙
1899 내부령 제19호 전염병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0호 호열자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1호 장질부사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2호 적리 및 디프테리아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3호 발진티프스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4호 두창 예방규칙
1899 내부령 제25호 전염병 소독규칙
1899 내부령 제26호 검역정선규칙
1900 내부령 제27호 의사규칙
1900 칙령 제25호 한성종두사 관제
1900 내부령 제28호 한성종두사 세칙
1902 조 칙 임시 위생법을 특설하여 유행병을 예방하는 건
1904 주의(奏議) 한성대청결법 시행규정
1909 경시청 고유 1호 콜레라예방에 관한 건
1909 경시청 고유 2호 콜레라예방책으로 청결법을 시행하는 건
1909 한성부 고유 2호 위생에 관한 건
1909 경시청령 제7호 전염병의 예방에 관한 명령의 위배 벌칙

<표 4>전염병 예방과 검역에 관한 규칙(1895∼1910)

이 밖에도 정부는 서양의술의 교육을 위해 1899년 3월 의학교관제를 제정 공포하고, 지석영을 교장으로 임명하여 그 해 8월에 신입생을 선발하였다. 이 학교는 수업연한이 3년이었으며, 1902년에 그 첫 졸업생 19명을 배출하였다.508) 이 의학교는 함께 설립되었던 관립병원이 1900년 광제원으로 개칭되면서 광제원의학교로 불리다가 1907년 3월 광제원이 대한의원으로 통합되면서 의학교도 폐지되고 말았다.

민간차원에서도 1909년 8월 한의들이 대한의사회를 만들어 여기서 이듬해부터 동서의학 강좌를 실시하여 한의학과 함께 서양의학을 강의하였다.509) 그리하여 일제 치하에서도 서양의술이 널리 보급되었다.

<金承台>

503)갑신정변에 참여하였던 서재필이 미국으로 망명 후 선교사가 되라는 주변의 권유를 물리치고 의학을 전공하였던 것도 우연으로 보기는 어렵다.
504)홍순원,≪조선보건사≫(청년시대, 1989), 217쪽.
505)김형석, 앞의 글, 181∼184쪽.
506)김형석, 위의 글, 186∼187쪽.
507)오긍선의 생애에 대해서는 오긍선선생기념사업회 편,≪海觀吳兢善≫(연세대 출판부, 1977) 참조.
508)첫 졸업생은 金敎準·金明植·洪種旭·劉秉珌·李濟奎·金性集·孫昶秀·韓景敎·許均·崔鎭協·蔡永錫·朴熙達·金鳳觀·崔益煥·崔國鉉·李基正·姜文永·洪錫厚·洪種殷이다(김형석, 앞의 글, 202쪽).
509)김형석, 위의 글, 208∼209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