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Ⅴ. 의열투쟁의 전개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가. 세출
              • 나. 세입
            • (2) 금융
              • 가. 식산은행
              • 나. 일반은행
              • 다. 금융조합
              • 라. 전근대적 금융기관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가.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 나.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가. 연통제의 시행과 운영
              • 나. 임시교통국의 설치와 운영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가. 군사외교의 강화
              • 나. 독립전쟁 방침과 군사제도의 정비
              • 다. 재만독립군과의 관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가. 대한군정서
              • 나. 대한국민군
              • 다. 대한군무도독부
              • 라. 대한북로독군부
              • 마. 대한의군부
              • 바. 훈춘한민회
              • 사. 대한광복단
              • 아. 대한신민단
              • 자. 대한의민단
            • (2) 서간도지역
              • 가. 서로군정서
              • 나. 대한독립단
              • 다. 대한독립군비단
              • 라. 광복군총영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가. 백운평전투
              • 나. 완루구전투
              • 다. 천수평전투
              • 라. 어랑촌전투
              • 마. 천보산전투
              • 바. 고동하곡 전투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1920년대에는 의미 있는 개인 단독의거도 여러 차례 있었다. 단체조직의 특공거사나 독립군조직의 유격전적 거사들과는 달리, 혼자 뜻을 세우고 준비하여 단신으로 결행하는 방식이었다. 개인 단독의거는 열렬한 의기와 자기희생의 비장한 각오 없이는 시도조차 어렵다는 점에서, ‘의열’의 본래적 의미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는 행동양식이다. 아울러 그 발생시점들을 놓고 보면, 집단적·조직적 의열투쟁의 흐름이 맞게 된 어떤 공백이나 休止 부분을 대신 채워주는 구실도 하였다.

 1921년 2월 15일 동경 유학생 梁槿煥이 친일파 거두 閔元植을 척살하였다. 민원식은 임시정부가 ‘7가살’ 범주를 규정하여 공표하면서 특별히 거명한 직업적 친일분자로, 총독부의 조종대로 움직이며 반동단체인 國民協會를 만들고 그 회장이 되어 기만적인 참정권운동을 전개하는 등 임시정부의 절대독립·완전독립론에 역행한 자였다. 그 민원식이 조선인 참정권 청원서를 제국의회에 제출하겠다고 도일하여 동경 제국호텔에 유숙하고 있음을 알게 된 양근환이 숙소로 그를 찾아가 크게 힐책하고 단도로 찔러 절명시킨 것이다. 응징거사에 성공한 양근환은 상해로 탈출하려다 나가사키(長崎)에서 피체되어 무기징역을 언도받고 복역하였다.

 1926년 4월 28일, 서울 한복판 金虎門 앞에서 일용노동자 宋學先이 자동차를 타고 가는 일인 2명을 습격하여 비수로 찔러서, 경성부 평의원 다카야마(高山孝行)가 현장에서 즉사하고 國粹會 경성지회장 사토(佐藤虎次郞)가 중상을 입었다. 늘 안중근을 흠모하며 총독 사이토를 처치할 기회를 고대해 온 송학선은 순종이 승하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조문길의 총독을 습격하면 척살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돈화문과 금호문 앞에서 사흘째 그를 기다렸다. 거사 당일 낮, 예복 차림의 일인 3명을 태운 승용차가 금호문을 빠져나오는데 주위의 누군가가 “총독이 지나간다”고 말하므로, 송학선은 자동차를 뒤따라가다 순식간에 뛰어올라 중앙석 탑승자와 좌측 동승자의 가슴과 복부를 비수로 찔렀다. 그러나 실은 사이토와 외모며 체격이 비슷한 사토가 총독으로 오인된 것이었고, 때문에 송학선은 원래의 목표 달성에는 실패하였다. 그럼에도 그의 의거는 순종의 서거가 다시금 불러일으킨 민족적 울분과 반일정서를 대변해 주기에 충분했다. 거사 직후 경찰대와 대치하여 혈투를 벌이다 피체된 송학선은 1927년 11월에 사형 집행으로 순국하였다.

 1927년 10월 8일 대구 중심가의 조선은행 지점 옆 한길에서 폭탄이 터져 은행 창문 70여 개가 완파되고 은행원과 일경 수 명이 중상을 입었다. 張鎭弘이 단행한 시내 주요기관 폭파기도의 한 결과였다. 원래 그는 경북도청·지방법원·형무소·경찰서 등 9개소에 동시 투탄할 것을 계획했는데, 동지를 구하지 못하자 폭파 대상을 네 군데로 줄이고 단독거사로 방향을 바꿨다. 스스로 폭탄을 만들어 산중에서 위력시험도 해본 그는 거사 당일 여관방에서 나무상자 네 개에 폭탄을 장치하여 도화선에 점화시켜 놓고 포장한 후, 종업원을 불러 선물상자이니 속히 배달해 달라고 부탁한 뒤 피신했다. 맨 먼저 조선은행 지점으로 배달된 폭탄상자는 화약 냄새를 맡은 일본인 행원이 도화선을 끊어버려 불발했고, 경북지사, 식산은행 지점장, 경북경찰부장에게 배달이 부탁된 다른 세 상자는 비상연락을 받고 출동한 경찰이 빼앗아 도화선을 끊으려는 차에 연쇄폭발이 일어난 것이다. 그 후 장진홍은 다시 안동과 영천에서의 거사를 계획하고 폭탄 다섯 개를 張容熙와 金士實에게 건네주었는데, 두 사람은 거사 날짜를 미루다 기회를 놓쳤다. 수사망을 피하여 일본으로 건너간 장진홍은 마지막으로 동경의 귀족원과 경시청 건물에 투탄할 것을 계획하고 폭약을 구하려던 중에 경북도경 형사대에 피체되었고, 사형 판결이 확정된 후 1930년 대구형무소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1928년 5월 14일 대만의 臺中市에서 한인 청년 趙明河가 일본 육군대장 구미노미야(久邇宮邦彦王)에게 독검으로 부상을 입힌 사건이 발생했다. 구미노미야는 일왕 히로히토의 丈人이요 군부·정계 요인으로서, 대만의 일본군 부대 검열을 마치고 臺北으로 떠나는 길이었다. 반년 전에 대만으로 건너와 일본인 가게의 점원이 된 조명하는 항일운동에 투신키로 했던 애초의 결심대로 야마가미(山上) 대만총독을 격살하고자 보검을 구입하여 독약을 발라놓고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구미노미야가 대만으로 온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야마가미 대신에 구미노미야를 처단하기로 작정하고 거사를 준비했다. 거사 당일 환송군중 속에서 뛰쳐나온 조명하는 구미노미야에게 일격을 가하려다 수행원의 제지를 받자 재빨리 독검을 구미노미야에게 던졌다. 칼에 맞아 어깨 부상을 입은 구미노미야는 온몸에 독이 퍼져 앓다가 8개월 뒤에 사망하였다. 거사 현장에서 체포된 조명하는 대만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형이 집행되어 24세를 일기로 순국했다.729)

<金榮範>

729)趙恒來,<趙明河의 臺灣義擧와 그 意義>(≪韓國學硏究≫2-別冊, 淑明女大, 1991), 48∼57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