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Ⅴ. 의열투쟁의 전개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가. 세출
              • 나. 세입
            • (2) 금융
              • 가. 식산은행
              • 나. 일반은행
              • 다. 금융조합
              • 라. 전근대적 금융기관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가.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 나.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가. 연통제의 시행과 운영
              • 나. 임시교통국의 설치와 운영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가. 군사외교의 강화
              • 나. 독립전쟁 방침과 군사제도의 정비
              • 다. 재만독립군과의 관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가. 대한군정서
              • 나. 대한국민군
              • 다. 대한군무도독부
              • 라. 대한북로독군부
              • 마. 대한의군부
              • 바. 훈춘한민회
              • 사. 대한광복단
              • 아. 대한신민단
              • 자. 대한의민단
            • (2) 서간도지역
              • 가. 서로군정서
              • 나. 대한독립단
              • 다. 대한독립군비단
              • 라. 광복군총영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가. 백운평전투
              • 나. 완루구전투
              • 다. 천수평전투
              • 라. 어랑촌전투
              • 마. 천보산전투
              • 바. 고동하곡 전투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1927년 장진홍의 의거 이후로 국내에서는 의열투쟁의 사례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1929년 4월에 비행학교 설립 기금 마련차 중국에서 귀국한 共明團752) 단장 崔養玉 등 3인이 서울 망우리에서 경춘간 우편차를 습격해서 거액의 현금을 탈취한 후 잠적했으나 군경의 추격을 받고 피체된753) 사건과, 1935년 겨울에 서울의 양조장 종업원 曺安得이 친구 5명과 함께 폭탄을 만들어 총독 폭살을 두 번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다시 기회를 엿보던 중 전원 피체된754) 사건을 꼽을 수 있을 따름이다.755)

 이는 1930년대 들어 일제의 사회통제가 갈수록 강화되는데다 국내 운동조직들은 노동자·농민 중심의 대중투쟁 진작을 위한 지하활동에만 주력했지 의열거사의 운동방식에는 좀처럼 눈을 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일전쟁 발발 이후로는 주민생활과 민족운동에 대한 일제의 파쇼적 탄압이 극악해져서, 국내 민중이나 지식인층 모두 고난과 형극의 길을 걸어야만 했다. 그런 상황에서 의열투쟁의 준비나 기도는 사실상 불가능했다. 국외 독립운동진영도 1930년대 후반기부터는 조직적 무장대오의 확립과 군사력의 확충을 통하여 독립전쟁 준비에 거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 간 반면, 종래의 의열투쟁 노선은 방기되었다.

 이리하여 의열투쟁의 맥은 거의 단절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의열투쟁의 시도나 기운까지 완전히 소멸한 것은 아니었다. 의열투쟁은 오히려 예기치 못한 시점에 예기치 못한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1943년 초여름 국내의 일제 요인과 친일파 처단, 관공서 및 형무소 습격, 군사시설 및 군수산업체 파괴 등을 활동목표로 삼은 비밀결사 朝鮮民族解放協同黨이 일본 동경에서 결성되었다. 유학생 金鍾柏 등이 중심이 된 이 조직은 1944년 봄에 국내로 본거를 옮겨 경성에 비밀 아지트를,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에 유격전 거점을 구축하고, 300여 명의 무장행동대를 훈련시킴과 동시에 고관과 친일파의 명단·주소를 파악하고 폭발물을 구입하는 등 봉기와 거사를 준비하였다. 그러나 비밀 누설로 그 해 11월에 관련자 120여 명이 대거 피검되면서 계획의 실현은 좌절되었다.756)

 일제가 단말마의 마지막 몸부림을 치고 있던 때인 1945년 7월 24일 일제 강점기 최후의 폭탄거사가 柳萬秀·趙文起·康潤國에 의해 京城府民館에서 결행되었다. 폭력배 출신의 일제주구 朴春琴이 항일·반전사상의 격파를 목적으로 급조한 大義黨이 일본과 만주국, 친일 남경정권 대표들을 초치하여 아시아민족분격대회라는 선전극을 개최함에, 세 청년이 직접 제조한 도화선식 폭탄을 행사장인 부민관 내 두 곳에 미리 장치하여 폭발시킨 것이다.757) 총독과 조선군사령관 폭살이라는 원래의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일제 고관과 괴뢰정권 대표들을 혼비백산하게 하고 한민족의 끈질긴 항일 의지와 독립열망을 다시금 분명히 확인시켜 준 쾌거였다. 이로써 항일 민족의열투쟁사의 종장은 멋지게 장식되면서 큰 매듭을 지었다.

<金榮範>

752)지금까지는 ‘共鳴團’으로 표기되어 왔으나, 최양옥이 피체되었을 때 ‘울 鳴字’가 아니라고 기자에게 설명했다 하므로 ‘共明團’으로 적는다.
753)≪東亞日報≫, 1929년 4월 22일.

김용국 외,≪독립운동사≫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 674∼676쪽.
754)김용국 외,≪遺芳集≫(亞細亞文化史, 1992), 802∼803쪽.
755)1929년 원산에서 金壽岳 등 세 소년이 爆彈起義하여 체포되었다는 기사가 보이나(趙素昻,≪遺芳集≫, 亞細亞文化社, 1992, 81쪽), 자세한 내용이 없어서 불확실하다.
756)金大商,≪解放直前史의 再照明≫(해성출판사, 1990), 177∼182쪽.
757)김용국 외, 앞의 책, 805∼811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