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5. 청년운동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한국의 사회주의 청년운동은 국제공산청년동맹(킴 КИМ)과 국제공산당(코민테른 Коминтерн)의 영향 아래 발생, 성장하였다. 1921년 5월 상해와 이르쿠츠크에서 각각 고려공산당이 결성되었다. 1921년 8월 경에는 북경에서 ‘고려공산청년회 중앙총국’이 결성되었다. 공청의 기반은 상해의 공청조직과 북경·연해주의 사회주의 청년이었다.

 국내에는 1919∼1920년에 걸쳐 ‘서울공산단체(1919. 10)’·‘조선공산당(1920. 3)’·‘마르크스주의 크루조크(1920. 5)’·‘사회혁명당(1920. 6. 상해파)’ 등의 사회주의 비밀단체가 출현하였다. 1922년에는 무산자동지회(1922. 1)와 신인동맹회(1922. 2)가 합동하여 서울에서 사회주의사상단체 무산자동맹회(1922. 3)를 결성했다. 일본 도쿄(東京)에서도 한인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사회혁명당(1921. 10. 서울파)’이 조직되었다.719)

 1922년에 들어와 사회주의 비밀단체들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조선공산당(김한그룹)’과 ‘사회혁명당(김사국그룹)’ 세력이 결합하여 중립당을 건설하였으며, 李括을 중심으로 한 ‘조선중앙공산당’이 출현했다. 1923년 초에는 김사국 그룹이 중심이 되어 고려공산동맹(1923. 2)을 결성했다. 이들 공산주의 비밀결사들은 한국에서 사회주의 청년운동이 출현하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중심기관을 국내로 옮기려고 노력하던 고려공청 중앙총국은 1922년 8월 경 ‘조선공산당(중립당)’과 결합하여 새로운 중앙간부를 구성했다.720) 중앙총국의 중요한 임무는 고려공산청년회의 완성과 함께 전조선을 대표할 ‘민족혁명적 청년단체’를 만드는 일이었다. 그런데 1922년 가을 중립당 내에서 국내외 공산주의 그룹의 통일당 결성 문제를 놓고 김한 그룹과 김사국 그룹이 분열되었다. 이는 곧 고려공청 중앙총국에도 영향을 끼쳤다. 김사국 그룹은 중앙총국을 탈퇴하고 서울청년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공산당 및 공청 기관을 만들었다. 고려공청 중앙총국은 무산계급 청년단체로 서울에 ‘무산자청년회(1922. 10)’를 조직했다.

 고려공청 중앙총국과 고려공산동맹은 서울청년회를 앞에 내세워 1923년 3월 전조선청년당대회를 열고 무산계급 청년을 중심으로 한 민족혁명적 청년단체의 결성을 추진했다. 대회에서는 부르주아 문화를 배척하고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무산계급의 단결과 조직적 훈련을 전개할 것을 주장했다. 민족주의를 반대했으며 그동안의 민족적 투쟁을 계급투쟁으로 전환하고 종교를 부인할 것 등을 결의했다. 전조선청년당대회는 부르주아 민족주의 청년운동이 무산계급 청년운동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24년 4월 서울파와 고려공청 중앙총국의 사회주의 청년들이 결합하여 조선청년총동맹을 결성했다. 마르크스주의 이념 아래 조선의 혁명적 청년단체가 조직된 것이다. 청총결성 이후 무산계급 청년단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새로이 조직된 청년단체 대부분이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과 계급의식에 기초한 교양과 훈련을 강령으로 내걸었다.

 합법적인 공간에서 사회주의 청년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단체는 서울청년회와 신흥청년동맹·경성청년회·경성무산청년회였다. 이들 청년단체는 각 공산주의그룹, 즉 서울청년회는 고려공산동맹(서울파), 신흥청년동맹(1924. 2)은 고려공청 중앙총국(화요파), 경성청년회(1924. 12)는 까엔당(북풍파), 경성무산청년회는 스파르타쿠스당(조선노동당파) 등과 지도-피지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들 네 단체는 서울을 중심으로 하면서 지방의 선진적인 사회주의 청년들과 연대하여 지방의 청년운동을 사회주의적으로 이끌었다.

 사회주의 청년단체들은 각각 기관지를 가지고 있었다. 서울청년회는≪청년조선≫, 신흥청년동맹은≪신흥청년≫, 경성청년회는≪청년의 聲≫을 기관지로 발행했다. 기관지 발행을 위해 출판사를 설치하고 편집부·사업부·선전부 등의 부서를 두었다. 이들은 회보를 발행하였으며, 동시에 벽신문이나 산신문을 발행하여 회원 및 일반 대중이 청년운동 문제나 시사문제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들은 레닌이나 칼·로자의 사망 기념일, 세계부인데이, 메이데이, 국제청년데이, 러시아혁명 기념일 등을 이용한 강연을 통해 청년대중에게 사회주의사상을 선전했다. 청년단체 내에는 러시아어 연구반·학술연구반 등을 설치하고 청년운동 이론은 물론 세계정세 인식, 국제혁명운동사, 레닌이즘 등을 공부했다. 여기에서는 기관지에 게재하려다 금지된 내용들도 같이 학습되었을 것이다. 지방의 무산계급 청년단체들도 학술강좌의 이름으로 한 곳에 모여 마르크스 유물사관,<공산당선언>등을 공부했다.

719) 1920년대 전반기 국내 각 공산주의 그룹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 참조.

임경석,<서울파 공산주의 그룹의 형성>(≪역사와 현실≫ 28, 한국역사연구회, 1998) 참조.

박철하,<북풍파 공산주의 그룹의 형성>(같은 책).
720) 고려공청 중앙총국은 중심기관을 서울로 옮기려고 朴憲永(책임비서)·金丹冶(중앙위원) 등 공청 책임자들을 국내로 들여보냈으나 일제 경찰에게 검거되어 실패했다. 고려공청 중앙총국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 참조.

박철하,<고려공산청년회의 조직과 활동(1920∼1928)>(한국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 편, 앞의 책).

―――, 앞의 글(1999).

이현주,≪국내 임시정부 수립운동과 사회주의 세력의 형성(1919∼1923)-서울파, 상해파를 중심으로-≫(인하대 박사학위논문, 1999).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